30대 부터 돈의 중요성 알게되서 투자 시작 하는 것 마다 실패 모르는 기술에 투자 실패 경험을 잊지 않고 원칙으로
[플러스] 12/05(화) 타이어왕국에서 벌어진 형제의 난 2023-12-05
2부
[대가들의 투자노트]
버핏의 단짝, 찰리 멍거를 기억하며
- 신기주 카운트 대표
[플러스] 12/12(화) 자이·래미안 공공주택 나온다? 외 2023-12-12
2부
[대가들의 투자노트]
찰리 멍거의 끝사랑, 코스트코
- 신기주 카운트 대표
찰스 멍거 Charles Munger, Charles Thomas Munger기업인, 전 변호사
1924. 1. 1. 미국 사망 2023. 11. 28. 경력 2005 웨스코 파이낸셜 Wesco Financial 사장 1999 코스트코 홀세일 Costco Wholesale 이사회 이사 1997 코스트코 Costco 이사회 이사 1984 웨스코 파이낸셜 Wesco Financial 이사회 의장
구성의 오류 제거로 파리 유명해져 # 전체적 마인드 필요. 내가 제일 편해야하는 이기적인 사회는 힘들 것 # 한국, 학교부터 경쟁 주의 사회인데 가능할까?
한국 초기 건축 기술 부족으로 집이 서로 벽을 기대어 지어 사람 늘어 용적 늘렸다가 너무 많아져서 용적 줄여 여의도는 국회 있으니까 서초는 법원 있으니까 . 국회. 법원보다 크게, 높이 못지어 요즘엔 민주시대 그리고 땅이 없어 다시 용적 높이는 추세 시대 분위기에 따라 들쭉날쭉 미관 엉망
# 전체적으로 수필 느낌으로 적었는데 현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확고하신 듯, 공감되는 내용만 공유
63
5. 수업만 하기를 원하는 교사
첨단 기술을 이용하는 교사만을 우대하지 마라. 학생, 학부모, 지역을 공부하는 교사를 존경하라. 교육과 세상과의 관계를 공부하는 교사를 존중하라. 교육으로 사회에 참여하고 교육의 진보를 위해 정치 참여하는 교원을 격려하라. 교육 전문가인 교사는 연구하는 교사다. 수업 기술만 익히는 '전문적학습공동체'를 멀리하고 학교와 교육을 연구하고 실천하는 교사가 되어라.
117
9. 교사와 학생에게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놀이시간은 학생들의 쉬는 시간을 늘려주어 다른 학생과 자기 주도적 관계를 맺으며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위함이다.
교사의 지도, 사실상 체육시간으로 해석해 안전을 위한 관리해 학생 주도의 관계 맺음이 제거되어 놀이마저 교사 안내와 지도로 놀 수 있는 학생 만들어
125
안전한 공간
학교는 다른 곳보다 안전한 공간 과도한 행위를 일부러 하지 않는다면 다치더라도 가벼워 가볍게 다치는 경험으로 위험성 행동이 줄어든다. 그런데 날이 갈수록 가벼운 상처를 문제 삼는 사회가 되어 학생의 안전을 위해 늘 감시하고 통제하며 감독해 학생의 주도적 놀이 시간 사라진다.
210
15. 현재 교육을 미래 교육이라고 우긴다
교육을 도구적인 것으로 강화하면 경쟁에서 승리한 학생은 기술을 창조 운영하는 계급으로 실패한 학생은 기술을 뒷받침하는 계급으로 고착
도구적 교육은 산업화 시기의 계급화 교육이다. 인본주의 교육, 인간성 교육, 생태 교육 등이 인간을 성장 시키는 미래 교육이다.
217 미래 교육은 사람이 사람을 위하는 모든 교육 아울러야 기계보다 사람 우선 사람이 기계에 희생되지 않는 기계가 사람을 해치지 못하게 하는 사람이 사람을 위하는 사람이 지구 생물과 공생하는 기계가 벌어들인 돈 사람에게 분배하는 자신의 미래 당당하게 요구하는 교육
그런 교육으로 지식을 쌓는 과정과 그 지식으로 성장한 지적 인간이 자유와 평등의 사람 살기 좋은 미래 사회 만든다.
매년 성적 비관으로 150~160명 = 이태원 참사 사망자와 비슷 개인으로 인식해 심각성 인식 못하고 있어
병목 없애야 대학(명문대), 공간(지리적), 시험(상대평가), 계급(고급 학원), 직업 한국,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비교해 보면 한국은 모두 병목 높고 독일은 모두 낮아
해결책 . 서울대 10개 만들기 . 절대 평가 . 대학무상교육 . 직업 전문 교육
[영상2] 대학서열체제의 기원
한국 대학의 역사
일제시대 제국 대학 . 전국에 1개 , 학과는 법대 하나 . 약 700~800명 전부 일본인 .. 대학이 적어서 병목 현상 발생 . 한국인은 들어갈 수 없어 일본으로 유학가야 했다. . 당시 일본은 전국에 10개 이상 대학 분포
해방 이후 5년 동안 . 약100개 이상 대학이 생겨 난장판 = 미국도 초기에는 우후죽순 대학이 생겨나 난장판
[영상3] 대학이란 무엇인가?
대학은 지위 권력과 창조 권력을 만든다.
1088년 이탈리아에서 대학 시작 . 법학, 의학, 신학 .. 신학이 가장 중요한 학문 .. 신을 다루는 지위 권력 획득이 중요
1810년 독일 베를린대 . 연구중심대학으로 . 학사 석사 없이 박사만을 수료 시켜 . 특정 분야의 전문가 양성 .. "왜"를 끝까지 물고 늘어져 전문가 만들어져 # 왜 라는 질문 스스로 해야 지속 가능 vs 시켜서는 장기적으로 불가능 . 미국, 영국 등 모든 나라 지식인들 독일로 와서 공부하고 박사 받아 . 창조 권력 획득
1870년대 미국 연구중심대학으로 변화 박사학위 시작 . 존스 홉킨스, 시카고, 하버드,
1940년 2차대전 거치며 미국이 대학에 집중 투자 . 기존 지원비의 100배 투자 . 현재 연 3~4조 투입 .. 한국은 1~2조(서울대 기준), 3억~(지방대) #경쟁이 안된다
1957년 소련 우주 산업 발달에 미국 사회 충격 받아 대학에 투자 9배 더 늘려
[영상4] 어떻게 우리는 우리를 구원할 것인가?
왜? 한국의 교육 문제가 뭐냐? 병목 현상이다.
그럼 어떻게 병목을 해결하지? 병목 해체해야 한다.
서울대 10개 만들기 = 디플레 일어나면 양적완화 하잖아, 유사한 것
혁명 1차 18세기 영국 2차 19세기 중반 독일 3차 1960년대 미국 실리콘밸리 . 캘리포니아의 1등 버클리대 . 정치인과 시민들 LA에 대학 만들어 달라 항의해 두번째로 UCLA 만들어져 .. 10년의 투쟁
미국의 모든 대학은 지방대 지방대가 서울대 수준으로 투자되어 육성 모두 같은 것이 아니라 특성화
[영상5] 서울대 10개 만들기 전략
서울대 학위의 양적완화 필요
대학의 통폐합과 특성화로 . 세계적 흐름 .. 대학들이 트라이앵글 처럼 묶여서 창조 권력 만들어 . 약20%에게 학위 줄 수 있어 .. 지금은 1%에 집중된 병목
기본자세 상하체 길게 위아래로 . 수건 꼬리뼈에 놓으면 수월 턱 당기고 눈은 미간 사이 혀는 윗니 뒤 천장에 어깨는 귀에서 멀리 가슴과 등 뒤는 넓게 확장 손은 남자는 왼손, 왼발 위로, 여자 오른손 오른발 . 음양의 이치에 따라 기혈 순환 원활해서 손은 배 위나 무릎 위
단계별 복식 호흡 첫 번째 편안한 호흡 두 번째 5초 마시고 5초 내쉬기 세 번째 5초 마시고 10초 내쉬기 네 번째 5초 마시고 20초 멈춘 후 다시 10초 내쉬기 마지막 복식 호흡과 함께 괄약근 조이기 # 괄약근 조이면서 하기 힘들다.
다양한 호흡법
정뇌호흡 . 뇌 정화 . 복식호흡 1분에 60~120회 급격하고 리드미컬하게 교호호흡 . 부교감활성화, 기 흐름 원활 . 한 쪽 코로 마시고 다른 쪽 코로 내쉬고 20~30회 풀무호흡 . 몸 정화 작용, 스트레스 해소 . 빠른 호흡 10~12회 3세트 #방법 모호한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