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연구 위해 인구인재연구소 개소 인구은 '양' 인재는 '질' . 보건, 교육, 복지 등 연구
고성과자는 어디로 갈까? 일 많고 돈 더 받는 곳으로 미국 스타일 . 점심 시간도 줄이면서 일한다 . 약 먹기도 # 일이 더 즐거운 것일 수 있다 . 일이 없는 삶이 더 지루한 것 . 자신을 세상에 가장 잘 표현하는 방법이 일이 아닐까? .. 예술가가 예술하는 것이 일 인 것 처럼
유럽은 덜 받고 일 적게? 방향은 그랬는데 요즘엔 일 시간 늘리는 추세 미국과의 격차 의식
주4일제 가능? 생산성 문제 없나? 가능하지만 기업에 강제하면 부작용 넛지 스타일로 순차적으로 보조금 등 유동적으로 부드럽게 안착해야 부작용 최소화
궁극적으로 시간은 줄이는 방향으로 가나 획일적이면 안돼! 기업이 일 잘하는 사람을 뽑을 수 있고 일을 하고 싶은 사람은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어야
#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필요 그러려면 공통된 상식과 철학 등이 필요 논의, 담론 없이 일방적 느낌은 결국 법 같은 경직으로 이어져 자연스럽지 않아
1.당신의 상품은 한마디로 어떤 상품입니까? 그 특징적인 것을 2개, 20초안에 설명해주세요.
2. 이 상품을 20초 안에 설명한 것을 듣는 것만으로 "어떻게든 저에게 그 상품을 팔아주세요!"라고 머리를 숙여 부탁하는 손님은 어떤 손남들일까요?
3 여러 비슷한 회사가 있는데 왜 그 고객은 여러분의 회사를 선택했을까요? 비슷한 상품을 판매하는 회사가 여럿 있는데, 왜 그 고객은 여러분의 회사에서 그 물건을 구매하기로 한 것일까요?
4. 대체 고객은 어떤 장면에서 호통을 치고 싶을 정도의 분노를 느끼고 있을까요? 어떤 상황에서 밤잠을 설칠 정도의 고민, 불안을 느끼고 있을까요? 어떤 일에 자신을 억누를 수 없을 정도의 욕구를 가질까요? 그 분노, 고민, 불안, 욕구를 고객이 느끼는 오감을 활용해 묘사해불까요?
5.왜 이 상품은 그 고민을 간단하게 짧은 시간 안에 해결할 수 있을까요? 그것을 듣는 순간 고객은 어떤 의심이 들까요? 그 의심을 날려버릴 구체적이고 압도적인 증거는무엇일까요?
위 5개의 질문에 대한 답을 알면 다음 항목을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자신의 상품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대부분 회사는 자사 상품에 대한 지식이 부족합니다).
자사의 고객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대부분 회사는 자사 고객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자사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대부분 회사는 자사의 우수한 점에 대해 잘모르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자기 자신, 그리고 상대를 이해하려 하면 할수록 반응은 높아집니다. 그리고 돈이 벌립니다. 또한, 인간으로서 더 풍요로워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