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류의 조건> 책에서 언급되어 찾아 봄
머리말_아이의 학교성적은 집중력에 달려 있다
1.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집중력은 몸에서 나온다
17
어떻게 하면 아이에게 공부 집중력을 키워줄 수 있을까?
18
해답은 바로 아이들의 잠시도 가만히 있지 않는 그 활력에 있다.
이 활력과 호기심을 꺾지 말고 배우는 자세로 바꿔주는 것이다.
몸에 활력이 넘쳐야 두뇌도 활력이 넘친다.
공부 집중력은 몸에서 나온다.
‘배우는 자세’를 만들어주어라
몸에 활력이 넘쳐야, 뇌도 활력이 넘친다
21
적극적인 수동성은 뇌가 활성화 돼 있을 때 생겨난다. 의식이 정체되어 있을 때 사람은 이질적인 것이나 싫은 것을 거절한다.
특히 아이는 이게 확실하다.
뇌가 정체되어 있으면 남을 거부하는 경향이 강하다.
집중력을 키워주는 분위기를 만들어라
25
배울 자세가 안 된 반은 어수선하고 에너지가 항상 들어져 있다.
뇌가 가사 상태인채로 시간만 지나기 때문에 아이 자신이 가장 지루해야 한다.
26
몸은 편안하고 정신은 예민한 상태
사냥감을 노리는 듯한 상태가 바로 최고의 집중 상태
공부는 타고난 재능보다 노력에 달려 있다
10살, 공부의 황금기
31
초등학교 3~4 학년 시기에 뇌는 어떤 것이든 쏙쏙 빨아들인다.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고 무엇을 몸에 익혔는지가 평생의 재산을 만들어낸다.
황금기 전에 공부하는 즐거움을 가르쳐라
33
부모는 아이들에게 적극적으로 몸을 부딪치고 접촉하는 놀이를 일상적으로 행하고 의사소통을 꾀하는 것이 중요하다.
말뿐만 아니라 몸을 써서 같이 즐기면 반응이 좋은 몸 적극적인 몸을 만들 수 있다.
아이들의 공부 잠재력을 얕보지 마라
2. 집중력 있는 몸 만들기
에너지는 다 닿아질 때까지 쓰자
41
70~80%만 써서는 안 된다. 할 수 있는 한 아이의 에너지를 전부 쓰도록 해야 한다.
완전히 비을수록 더 많이 에너지가 뿜어져 나온다.
피곤해라고 말하고 나서도 세 배이상 해낼 수 있는 힘이 있다.
피곤해 힘들어라는 말은 몸이 겪지 않은 미지의 상태를 피고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부모가 극복하도록 도와줘야 한다.
집중력 있는 몸을 만들자
①호흡법에 의한 집중
②자연체에 의한 집중 몸으로 익히는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어깨 넣기’ 자세
. 스모선수처럼 서서 어깨를 넣는 것 같은 느낌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땅 구르기
. 스모선수가 발로 땅을 밟는 자세 같은 느낌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발바닥 마사지
51
뇌를 쉬게 하는 것은 당분과 산소다. 발바닥을 마사지하면 긴장이 풀어져 산소가 뇌로 공급된다.
아이들은 가능한 맨발로 있게 하는 편이 좋다.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씨름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줄다리기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단체 줄넘기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음독(소리 내서 읽기)
61
돌아가면서 읽기
내가 먼저 한 문장을 읽고 다음 한 문장을 아이에게 읽게 한다.
의식이 흩어져 멍하니 있지 않게 한다.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가벼운 점프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패 찾기 놀이
. 같은 카드 찾기 같은 느낌
. 상대가 말한 카드 찾아보기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호흡 놀이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산책
71
아이들과 걸으면서 이야기할 때는 아이들이 가지고 있는 막대한 에너지를 더 쓰게 한다. 는 의미에서도 꽤 긴 거리를 걷는 것이었다.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공 주고받기
72
공 주고받기 놀이는 눈과 손에 고도의 조화가 필요하다.
수를 셀수만 있으면 바로 할 수 있다.
몸으로 익히는 공부집중력 : 업기 놀이
77
스포츠든 무엇이든 인류라 불리는 사람들의 움직임이나 기량은 말로는 배울 수 없다.
상상력을 이용해 상대 몸 안으로 들어가 봐야 한다.
실제로는 바깥쪽에서 보고 있지만 자신이 방망이를 휘두르는 것처럼 상대의 느낌을 느껴야 한다.
. 자기 몸에 대한 이해 스킨십에 대한 경험 도움 된다.
3. 몸의 중심 감각이 공부집중력을 만든다
중심 감각의 상실
전통적인 몸의 문화는 허리와 배 문화라고 할 수 있다.
허리나 배는 정신적인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그 기반에는 허리와 배의 신체감각도 실제로 있다.
몸의 중심 감각
제대로 서지 못하는 아이들
공부집중력의 원천은 놀이집중력이다
생명력의 기본은 배에 있다
허릿심이 없으면 집중력도 없다
집중력은 발바닥에서부터 시작된다
100
새는 공기 저항 없이는 날지 못하고 사람은 띠 없이는 배에 힘을 느끼지 못하고 공부도 적절한 상황이 있어야 아이들 힘이 발휘하게 된다.
반듯한 허리 자세가 집중력을 높인다
집중력의 왕도는 없다
106
자연채로 서고 단정하게 똑바로 앉는 감각을 몸에 익히면 마음을 다잡아주고 기분 좋은 상태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훈련과 단련이 힘들다. 그렇게 함으로써 자기 내부에 생겨나는 충만감을 느낄 수 있다.
적절한 긴장이 아이의 그릇을 키워준다
110
교육은 적절한 긴장을 주어야 한다.
공부의 진짜 목적
111
학교는 할 수 없는 상태에서 할 수 있는 상태로 나아가는 향상논리를 몸에 익히기 위해서 존재한다.
강한 호흡이 끈기를 만든다
깊은 숨으로 목소리의 울림을 즐긴다
..소리 내어 읽기
학교 교육 이렇게 변해야 한다
119
. 학교가 좀 더 긴장감 가득한 장소로 변해야 한다.
몸의 중심 감각이 왕따 현상을 없앤다
124
에너지가 넘쳐서 친구를 괴롭히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를 제대로 내뱉지 못해서 그런 것이다.
인사하지 않는 아이들
127
자기 가치관에 머물고 싶은 아이들
폭 좁아 더 가난해져
좁은 공간일수록 집중력은 더 활성화된다
129
응축됨 에너지 달아나지 못해 상호 반응 능력 높여
# 스트레스가 되기도
4. 파드마 유치원의 집중력 향상법
# 환경을 만들어라
살아 있는 교육의 장, 파드마 유치원
머리에 새기지 말고 몸에 새겨라
전뇌 교육_두뇌 전체를 발달시켜라
스킨십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만든다
몸 안에 의지처를 만들어주어라
. # 몸 쓰서 효용감 높여야
흐름을 가르치는 교육
. 로테이션
게으름을 좋아하는 아이는 없다
아이들은 에너지를 다 쓰고 싶어한다
전체가 개인을 이끌어준다
. 로태이션
파드마라는 커다란 몸
일체감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키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수업
장소가 아이들을 단련시킨다
모방하는 힘을 기른다
몸에 보석을 묻어주어라
우수한 문화를 몸에 새긴다 . 암송 명곡
마음속에 거인을 살게 하라 . 고전 암송
고무호스 같은 아이들 . 물결치듯
귀중한 호흡 문화
인격 형성에도 중요한 호흡 문화
아침부터 아이들의 에너지를 쏟아내라
아이들에게 에너지 연소감을 맛보게 해주어라
아이들에게 일류를 가르쳐라
때로는 어려운 것이 좋다
교사는 몸으로도 교육한다 . 기세
아이들에게 강한 동경을 주어라
맺음말_교육은 유행이 아니다
'★ 교육 > 자녀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훈. 사교육의 역사 (0) | 2025.03.24 |
---|---|
정진. 학생 참여 이끌어 내는 방법 5가지 (0) | 2025.03.14 |
책. 일류의 조건. 사이토 다카시. 2001 (1) | 2025.02.02 |
유퀴즈. 김주환. 친절함이 나를 행복하게 한다 (0) | 2025.01.25 |
입시문제는 심각한 사회문제 (1)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