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배울 것인가

2014년



"살다보면 이길 때도 있거 배울 때도 있지"

인생은 성공보다 실패가 더 많은데
우리는 성공만을 보려 한다
성공하려면 실패를 잘 다뤄야 한다


실패에서 배울 방법 - 목차


겸손.배움의 정신
. 자신의 그릇이 작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 대한 생각을 덜 하는 것이다 - 켄 블랜차드
. 겸손하지 못한 성공한 사람이 겸손했다면 더 성공했을 것
. 책.성공한 실패들
.. 머리가 좋다는 것은 실수를 안하는 것이 아니라 재빨리 실수를 호전시키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 위대한 발명도 실패가 다른 쓸모가 있을 거란 생각에서 나온다


현실.배움의 토대
. 쉽고 빠른 방법은 없다
. 가치 있는 것은 노력 없리 얻을 수 없다
. 책.아직도 가야할 길.삶은 힘들다
. 인생이 힘든 사람
.. 성장과 배움 멈춰
.. 효율적 생각을 안해
.. 현실 직시 못해
.. 변화에 느려
.. 도전 회피
# 문제를 알려면 지금을 알아야
# 풀려면 행동해야


책임감. 배움의 첫 단계
. 사람의 가장 중요한 능력
. 책임지지 않는다면, 자신의 삶의 주도권을 포기하는 것이다
. 나는 옳은 사람이 되길 선택한다 < 관계맺기를 선택한다
# 나는 전자였네...
. 통제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고 책임지면 더 배울 수 있고 힘도 덜든다
. 변명이 아닌 책임 그리고 행동


향상. 배움의 핵심
. 실수는 실패가 아니다
. 실수는 노력하고 있다는 증거
낮은 단계에서 차근차든 높여가며
.. 집중적이고 지속적 노력
# 꼼수는 없어
. 지식은 공부로 되나 지혜는 실수로 배우고 발전해야


희망. 배움의 동기
. 열쇠 세가지
.. 희망도 선택이다
.. 긍정적 생각 : 기대한대로 받게 된다
.. 긍정적 행동 : 작지만 이기는 경험


학습능력. 배움의 길
. 살아가면서 계속 의식적으로 배우고 성장하려는 태도와 행동을 가졌다는 뜻
. 성공은 태도 85%, 능력 15%
. 배움의 습관 
.. 순간을 준비 : 오늘은 어디서 배울까?
.. 스스로 질문 : 답하기 보다 질문하기
.. 현실에 적용 : 매일 꾸준히 실천


역경. 배움의 기폭제


문제. 배움의 기회
. 문제를 말하지 말라 사람들 중 80은 신경 안쓰고 20은 고소해할 것이다
. 문제를 처리하는 방식은 긍정적 생각과 열정적 느낌이어야
. 소통 : 대부분의 갈등은 오해에서 비롯
.. 내가 원하는 걸 상대가 모르거나
.. 상대가 원하는 걸 내가 모르거나
.. 환경을 모른는 그런거


나쁜 경험들. 배움을 위한 균형 잡힌 관점
. 인간은 누구나 실수를 한다
. 실수가 쌓여 경험이 된다. 시련은 경험이다
# 아이들도 그렇게 성장한다
. 나쁜 경험은 교훈을 배우지 못할 때 그대로 나쁜경험이다
.. 좋은 경헌들은 거의 그 전에 겪은 나쁜 경험애서 비롯된다
# 나쁜 경험을 바탕으로 좋은 경험을 기대


변화. 배움의 대가
. 대부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도망칠 수 있을 정도로만 변화한다
. 환경을 바꾸려 말고 자신을 바꿔라
. 유유상종
.. 나쁜 사람들과 보낸 시간만큼 좋은 사람들과 보낼 수 있는 시간을 앗아 간다
# 기존의 사람도 내 변화를 인정하지 않으면 포기
. 질문 : 나는 누구인가? -> 나는 어떤 사람이 되어 가고 있는가? 
. 모르는 것을 배우기 위해 아는 것을 잊어라
.. 배운 것 중 틀린게 많다


성장. 배움의 가치
. 선한사람이 선한 이유는 실패를 통해서이다
.. 성공만해서는 지혜로워 지기 어렵다
. 성장이란 기분에 상관없이 반드시 해야할 일을 하는 것이다
. 미래를 위해 현재의 뭔가를 포기할 수 있어야


성공. 올바른 배움의 결과
. 아이들은 말한다 "배우고 싶지 않아요. 그녕 이기고 싶어요!"
.. 이기는 것 보다 중요한 것은 배우는 것이다
.. 아이 같은 이기는게 중요한 사람은 삶이 고단
. 배움의 사고방식
.. 초심자의 마음 : 나는 계속 궁금하고 배워야 한다
.. 긍정적 자세 : 긍정적 자료를 계속 접해
.. 창의성 : 정해진 것도 제약도 없다고 생각

순환
. 능력 - 행동(도전,모험) - 실패 - 배움 - 성공









'♥평생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를 멈추면 추락 시작  (0) 2016.09.26
책. 교사는 지성인이다 - 헨리 지루  (0) 2016.08.31
공자가 말한다. 왜 배우는가?  (0) 2014.10.13



공부를 멈추는 순간, 인생의 내리막길은 시작된다

가장 탁월한 인물은
자기연마와 공부를 멈추지 않았던 사람,
지금도 멈추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노력 없이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
인생은 영원한 공부다.
- 샤를 페기



모든 것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세상,
과거의 지식이 오히려 미래에 걸림돌이 되는 세상에서
학습을 멈춘다는 것은 곧 추락을 의미합니다.
과거에 배운 것을 일부러 잊어버리는 언러닝(unlearning)과
끝없는 호기심과 지적 겸손에 바탕을 둔 평생학습 습관이
미래 경쟁력의 원천입니다.





'♥평생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어떻게 배울 것인가?  (0) 2017.04.18
책. 교사는 지성인이다 - 헨리 지루  (0) 2016.08.31
공자가 말한다. 왜 배우는가?  (0) 2014.10.13







교사는 지성인이다


2001년


방통대 시절 학보에 권장 도서로 적혀있던 책.
이제야 읽게 되었는데...
옛날 책은 말이 참 어려워요
쉽게 이해가 안돼

암튼 제가 관심 가는 것만 정리하는 것이니 
큰 문맥은 저자와 다를 수 있어요.




<내용>


[추천사]

"어떤 질문도 받지 않는 역사는 결국 침묵에 휩쓸리고 말 것이며
그럼 침묵의 피난처 아래 서 있는 역사는 
과거의 세계를 위험으로 몰아넣었던 불의와 비인간성을 다시 맞이하게 될 것이다"
- 헨리 지루

# 추천사 참 어렵게 쎃네... ㅡㅡ


[서론] 

학교는 민주적 공공영역
. 대화, 존중, 비판적 탐구 활동
. 억압에 저항하기 위한 교육

해방적 기억 : 대중이나 개인이 살면서 겪어온 고통의 사례를 재인식하는 것
. 과거로 부터의 극복 그런 타자와 교감 연대

# 비평적 시각으로 새롭게 보기?

어떤 담론도 비판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야 소중히 생각하며 특수하게 사용할 수 있다


[차례] #사진 




[1부 학교 언어 다시 보]


전통적관점은 (지식의) 소비
대안은 비판적 사고로 비판-저항-파괴-창조

# 그래서 생산적이다!!


지식은 권력과 결합되어 있다
배우는 지식이 누구에게 이익이 되는지 고민해야
지식의 가치는 교육전문가가 정해준다
즉. 현 지식이 진정한 가치는 아니다


교사는
. 권력, 철학, 사회이론, 정치를 치밀하게 연구해야
. 서로 연대해야
. 열정과 신념
을 갖추고
학생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경험을 긍정하는 방법을 배우고 
더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개인과 집단이 더 투쟁할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가르쳐야 한다
...

#교육은 지금 과학 위주의 방법론
윤리적, 정치적, 철학적 방법은 퇴보 중


지식을 외부에서 주입하는 것으로 볼 때
질문의 범위 폭이 줄어든다
"왜 이 지식을 배우는가?" 에서
"이 지식을 잘 배우는 방법은 무엇인가?"로 폭이 줄어든다
사회-지식-자신 과의 관계를 생각하지 못하게 한다. 즉 교육이 확장된 사고를 가로막고 있다

그래서
새로운 교육과정은 새로운 언어로.
다른 학문의 개념과 도구 빌려 논점을 풍부하게.
비판적 감수성은 역사 의식의 확장.
개인적이며 집단과 중재할 수 있는 다양성 인정.
문제제기와 토론, 의사소통 허용.
수단의 문제는 윤리적 결론에 종속.


민주적인 교실을 위한 실천
. 능력별 편성 없애야 권력분산 가능
. 권위와 성적 문제로 외적보상을 줄여야 대화가능
. 진도를 위한 시간 관념은 사회관계 방해
.. 자기진도 조절학습, 또래 지도자 학습 등 수평적 모델 필요
# 수평적 문화를 만드는데 필요한 실천들

관심과 지식은 이론과 실천의 관계 
둘이 서로 분리되면 자신의 성격을 바꿀 수 없다



거시적 목표 접근 관점 = 세계관, 참조체계
. 학교 과정에 얽매이지 않음
. 다양한 목표에 활용하는 유연성
. 사회와의 연결, 정치적 관점 개발 됨
. 이론과 실천의 연결



[2부 문해, 글쓰기 그리고 목소리의 정치학]


말과 글은 둘다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이들을 이용해 우리는 배울 수 있다
그러나 차이점은 
말이 표정, 음성 등 더 풍부한 내용을 담는다.
글은 작가와 독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 전달한다.

현재까지는
영어교사만 글을 가르친다 #기술적
글로 배울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3가지 관점 소개 (기술, 모방, 낭만)
모두 글을 정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

현재 사회교과교육은 
- 역사 사회 현실에 대한 해석적 규범적 관심 반영
- 이론과 사실 관계 무시

니체 "위대한 진실은 비판 받기를 원하지, 우상화를 원하지 않는다"



역사-글쓰기 모델

역사에 대해 글쓰기는 역사를 이해하는 비판적 능력을 낳는다.

선택(#가정) -> 증거 -> 통합적 증거 확증 -> 계열 제시 (#정의)
#=> 이 모든 과정으로 관점이 형성, 논리적 비판적 합의
# 사진 p152
# 학습에 적용 가능한 예시 있음 #사진 p153~160


프레이리
"사람들이 (당대의) 주제를 물어 안을 때만이 방관자로 머물지 않고 현실에 개입하게 된다
비판적 태도를 계속 발휘해야 사람들은 순응의 자세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새로운 비문해
기술 발전
-> 노동을 해방
--> 소통 경험 증대 -> 삶에 대해 -> '인간' 조건의 향상 고민
--> 자본주의 발달 -> 기술 합리성 강조 -> '물질' 조건 향상 고민 -> 길들임, 통제 (문화-방송,글 등) -> 즉흥적이나 깊이있는 사고 비판은 무뎌져
# 인간조건 < 물질조건으로 시대 흐름이 흘러버렸다.

영상매체는 자신과 유사현실을 만들어 통제하기 쉽게 한다
의식을 산업화하여 질서를 '판매'한다


문해 재정의
- 경험한 것이든 아니든 비판적으로 그리고 개념적으로 읽는 능력 또는 읽을 수 있는 능력

현재 학생들은 사물을 개념적으로 보기보다 글자 그대로 보는 경향
(큰 맥락을 보지 못하고 대상과 사건의 연관성도 보지 못함)

# 결론적으로 현재는 비문해자가 많은 것




파울로 프레이리 - 교육의 정치학

지식인은?
- 모든 인간은 지성인이라고 주장
- 사회적 경제적 함수와 무관하게 모든 인간은 
- 세계에 대한 의미를 계속 해석하고
- 그 세계에 의미를 부여하며
- 그 세계에 대한 특정한 개념에 참여하면서 지성인의 역할 수행을 하는 존재
=> 문화(지식)와 실천(어울림)의 유기적 통합 => 정치적 역할


역사란?
- 비판적 감수성이 역사적 감수성의 확장
- 모든 교육 맥락은 역사적 맥락 속에서 봐야
- 현존 제도와 사회 관계 의미를 알려주며 그것의 정치적 기능을 은폐 혹은 명시하는 '유물'
- 역사 사회적 존재인 우리(문화적 형식)


교육이란?
- '선택하는 삶'을 위한 것





[3부 교육은 지성적 활동이자 문화정치학이다.]


관리 교육학
- 예비 교사는 전문지식만 퍼 담기만 하는 수동적 그릇
- 프로그램은 외적 보상과 처벌, 조용한 아이가 좋은 아이, 익힘책 공부가 읽기, 시간 안에 마치기가 학습, 시간 안에 파악하기가 교수의 목적


변혁적 지성인
- 비판의 언어와 가능성의 언어를 통합한 담론 개발
- 교육자들의 변화를 일구어야 함을 인식
- 정치/경제/사회적 불의에 대항
- 지식과 투쟁의 용기가 넘치는 시민이 될 기회를 학생에게 제공
=> 정치적인 것을 교육적인 것으로 만드는 사람 (정치적인 것은 미래에 대한 전망, 희망)




[4부 연대와 가능성의 교육을 위하여]


안토니오 그람시
"사람들은 문화가 백과사전 처럼 지식을 담는 그릇이라 생각한다. 
이런 문화는 해롭다. 특히 프롤레타리아에게
이런 형식은 자신과 타인의 장벽을 없애려는 순간에 꺼낼 지식을 쌓아두고 있기 때문에
자신이 우월하다는 생각의 부적응을 만든다.

# 문화는 단순한 그릇에서 꺼낸 무엇이 아닌 창의적 사고의 결과?

웰치
"만약 자신의 역사와 문화가 자신의 자유를 정의하는 일차 자료로 쓰이지 못한다면 
사람은 '자유롭게' 한다는 것이 오히려 억압이 된다"




# 사진들


















'♥평생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어떻게 배울 것인가?  (0) 2017.04.18
공부를 멈추면 추락 시작  (0) 2016.09.26
공자가 말한다. 왜 배우는가?  (0) 2014.10.13




교육을 받는 인간은 계속 공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자각하고 있는 사람이다.

예전에는 어느 대학을 졸업했는지

어디에서 유학 했는지가 교육 받은 인간의 지표였지만,

현대사회에서 지식은 바로 진부해지고 만다.

지금은 끊임없이 공부하는 사람이 아니면

교육을 받은 인간이라고 할 수 없다.


- 피터 드러커 



“나는 아직 배우는 중이다. 모든 것을 알 수는 없으며

‘배움에는 끝이 없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

훌륭한 리더가 되기 위한 조건이다.”

앤 멀 캐이 제록스 회장 말입니다.


지식이 급속도로 진부화 되는 현대 사회에서

끝없이 학습하지 않고서 성공하는 방법은 없습니다.

평생학습의 즐거움을 누려야 하는 이유입니다




필요해서 공부하지만

공부하다 보면 즐거움도 있습니다

그 즐거움을 알게 되면

삶의 기쁨도 목적도 행복도 모두 찾을 것 만 같아요.







존 홀트의 학교를 넘어서

 

존홀트의 학교를 넘어서

존 홀트

 

학교 밖에서 찾는 능동적 배움의 길

 

 

책 내용이 마음에 들어서 전체적으로 정리해 봅니다.

 

 

추천사 페트릭 파렌가 (존홀트연구소 소장)

 

그는 교사로서 지낸 그 시기는 의문의 나날들이었다 한다.

 

교사인 그 자신의 존재가 오히려 아이들이 배우고 익히는데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알아차린다.

 

아이들은 진짜 주제에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교사가 뭘 원하고 있는지에 대해 더 많은 궁리를 하게 된다.

 

학교교육 schooling은 교육education과 다르다. 나아가서 교육은 배움learning과 다르다

 

대부분의 교육이란

어떤 사람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들을 모양 짓고 짜 맞추어, 그들이 알아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바를 다른 사람들이 배우게 만들려고 애쓰는 그 무엇이라고 정의한다.

# 이반 일리히와의 대화를 통해 전세계가 상기 교육의 정의를 따르며 학교가 정신병원, 교도소와 같은 폐쇄성을 가진 강제기관으로 위기를 인식한다.

 

우리에겐 배움의 공동체가 필요하다.

 

내가 우리 아이들과 모든 사람들을 위해 진정 바라는 것은 더 나은 교육이라 불리는 어떤 대단한 것이 아니라 살 만한 가치가 있는 삶, 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일, 바로 그것이다.”

 

 

1.  교육 대신에 하기

Doing, Not ‘Educatoin’

 

교육(Education)에 반대하며 하기(Doing)를 지지한다.

 

 

2. ‘배움’(Learning)이라는 신화

 

호기심이란 절대로 게으른 법이 없다.

호기심은 진정한 관심과 진정한 필요성으로부터 자란다

강제된 경험으로부터는 어떤 훌륭한 배움도 얻지 못한다.

 

짐 헌돈 [당신의 조국에서 살아남는 법]

학교 에서 지진아 인데 학교 밖에서는 잘 하는 아이들?

이유는 사람들이 스스로 배움 속으로 과감하고 자신감 있게, 또 열렬하게 뛰어들 때에만 비로소 진짜 배우게 되는 이유다.

 

하기는 배우기다

 

우리는 하면서배운다

 

아기들은 말하기 기능을 먼저 익힌 후 그것을 말하는 데 활용하는 식으로 배우지 않는다.

걷기도 마찬가지

아기가 머뭇거리는 모습은 연습 중인게 아니다.

아기는 지금 당장 걷고 싶기 때문에 걷는 것이다.

아기는 이미 걸음에 대해 생각했고 마음속으로 해답을 냈고, 어떻게 걸어야 할지를 알고, 또 걸을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래서 이제 걸음마를 하려는 것이다.

기능과 행위를 분리해서는 안된다

 

(아이가 못 읽는다면}

자기만의 방식과 자기만의 이유로 글자들의 의미를 찾게 해주어야 한다.

또 아이가 원하는 만큼만 도움을 주어야 한다.

 

 

모든 지식은 행동이다.

 

세계 속에 지식이 있는 것이 아니다.

세계는 있는 그대로일 뿐. 지식은 이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하나의 과정이다.

지식은 우리가 무엇인가 발견하려고 할 때 하게 되는 일이다.

 

 

 

3. 하미를 위한 학교, 교육자를 위한 학교

 

하미 : 자기가 선택한 방식으로 세계를 탐색하는 아이들

 

학교 : 교육자를 위한 학교, 자기 학생들을 감옥이나 무능함, 가난 따위의 말로 협박하여 붙잡아 두는 학교

 

[학교] : 하미를 도와주는 학교

 

(어른들이 제안하는 일들)

아이들이 그 창조적인 일 중 어떤 것도 하고 싶지 않는 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전에는 단지 말도 안 되는 엉터리 중에서 그나마 그것이 제일 낫다고 생각해서 그 일을 한 것 뿐이었다.

 

선택권이 배우는 사람에게 있다면

 

스스로의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그 계약의 최종 산출물을 얻을 수도 없고 얻으려 해서도 안된다

 

 

교사와 [교사]

 

교사는 교육의 측에 있는 사람들이고 다른사람들이 배워야만 한다고 결정한 일을 배우게 하려고 애쓰는 사람

[교사]는 하미들이 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 자유롭게 결정해서 하는 일을 돕는 사람

 

지식/기술이 뛰어나지 않아도 나누는 데 뛰어나다면 그 모든 결점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좋아서 그에게 오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아이들과 교사의 진실한 만남

 

현재 아이들과 교사 사이에 진실한 만남이 없다는 것이다.

교사들은 자기 자신으로 행동하는 대신 주어진 역할을 연기한다.

교사들은 아이들의 행동과 요구에 자연스럽고 솔직하게 반응하지 않는다. 단지 지시된 규칙에 따라 반응할 따름이다.

아이들에게 진실을 숨겼다고 해고당한 사람은 없지만 진실을 말했다는 이유로 쫓겨난 사람은 많다

(아이가 그린 이상한 그림을 보고) 교사답게 행동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없었다면 십중팔구 왜 나에게 그 그림을 보여줬는지 물었을 것이다.

아이들은 우리 어른들을 통해 세상에 대해 배우고 싶어 하지만 대개의 경우 어른들은 가장하고 무언가를 숨기며 거짓말을 한다는 사실만을 배울 따름이다.

한편에서 다른 편을 지배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만남, 진실성, 솔직함 같은 진정한 덕목을 실현될 수 없다.

(성적)A를 얻어내는 길은 교수의 의견과 자기 의견을 꼭 맞추고, 단지 교수가 자기 말을 그대로 돌려준다는 생각을 하지 못할 정도로만 표현을 살짝 바꾸는 일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이야기한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며 화를 낸 선생님)

저자 ; “선생님 학교나 학교 체제 내에서 선생님께 권력을 행사하는 사람이 있나요? 승진이나 해고, 봉급 인상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 말입니다.”

선생님 : “

저자 : “방금 전 저에게 말씀하신 것처럼 그분들 중 한 분과 얘기해보실 의향은 없습니까?”

선생님 : “아뇨. 그러고 싶지 않군요.”

저자 : “그런 경우라면 저도 그렇습니다. 그게 바로 제 말의 요점입니다.”

# 선생님도 권력에 맞서지 못한다. 그런데 아이들이?

 

 

4 하미들을 위한 다양한 자원

 

교육통화 (learning exchange) :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고 싶은 사람을 연결하는 역할

 

일리노이 주 시카고 북쪽 에반스톤

19715월에 데니스 젤(Dennis Detzel)과 로버트 루이스(Robert Lewis)가 시작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은 곳에서, 하고 싶을 때, 하고 싶은 만큼,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길

 

이 곳에는 잘난 척하는 사람이 없다.

 

 

5 하미들을 위한 또 다른 자원

 

공공도서관

도서관은 우리가 원할 때 그저 거기 있을 뿐

 

일단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이 읽을 수 있도록 자기의 생각을 글로 쓸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 현대사회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 지금 인터넷이 그러하다

 

 

추후 계속 정리 예정

 

 

 

부천 방과후 학교  http://cafe.naver.com/bcforestschool

 

 







'논어'의 첫머리 문장은 "배우고 때로 그것을 익히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이다. 이 말에 '논어' 사상의 기초가 모두 들어 있다고 생각한다.
인간에게는 뭔가를 배우고 싶은 호기심이 있다. 그 호기심으로 외부에서 지식을 얻어도 그 단계에서는 아직 자기 것이 되지 못한다. 심지어 얻어 들은 것에 자기 자신을 맡겨 '휘둘리기도' 한다. 수련을 거듭하면 문득 확실히 자기 것이 되는 순간이 찾아온다. 이때 배우는 자는 배우는 일에 휘둘리지 않고 주체성을 회복한다. 이것을 '익힌다'고 한다.
그렇게 되면 사람은 큰 기쁨을 느낀다. 인간은 그렇게 살아 있는 존재다. 공자는 이 '배움'의 기쁨으로 인간의 존엄과 사회질서의 근원을 보았던 것이 아닐까? (284쪽)
 
 

 

學而時習之 不亦悅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논어 '학이'(學而)편에 나오는 유명한 세 문장입니다. 그런데 한 일본인 교수가 조금은 특이한 해석을 한 것이 있더군요. 한번 보시면 좋을 듯해 소개해드립니다.
 
우선 일반적인 해석은 이렇지요.
"1.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하랴.
2.벗이 있어 먼 곳에서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하랴.
3.사람이 알아주지 않아도 원망하지 아니하면 어찌 군자가 아닐까." (표문태 역,현암사)
 
도쿄대 야스토미 아유무 교수는 이렇게 해석했습니다.
 
"1.뭔가를 배우는 일은 위험한 짓이다.
자기 감각을 팔아넘기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배우는 일을 자기 것으로 하려고 노력을 거듭하면 어느 때 문득 진짜 의미를 이해하게 된다.
배우는 일을 자기 것으로 해서 감각을 되찾는다.
그것이 '익힌다'는 것이다. 그러니 진정 기쁘지 아니한가.
 
2.배우는 기쁨은 연락도 없던 옛 친구가 오랜만에 멀리서 갑자기 찾아오는 듯한 즐거움 아닌가.
이 기쁨만큼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없다.
 
3.배우는 기쁨을 아는 사람은 그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보면, "쓸모없는 녀석이군"이라고 생각하고 말 일이다.
그러나 그런 때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이 '군자'이다."
 
책이나 스승으로부터 배우고(학), 한걸음 더 나아가 배운 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면(익힐 습), 그것이야말로 커다란 기쁨입니다.
그렇게 배우고 자주 익혀서 진정한 내 것이 되었을 때의 기쁨. 그것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지 고민하던 공자가 생각해낸 비유가 '유붕자원방래'라고 야스토미 교수는 해석합니다. "배우는 기쁨은 연락도 없던 옛 친구가 오랜만에 멀리서 갑자기 찾아오는 듯한 즐거움 아닌가." 특이한 해석이지만 흥미롭습니다.
세번 째 문장도 '학습'과 연결시킵니다. 그런 배우고 익히는 기쁨을 아는 사람이 그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을 보면, "쓸모없는 녀석이군"이라며 생각하고 말 일이며, 그런 때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는다면 그가 '군자'라고 해석했습니다.
 
오늘 특이한 논어 해석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이번 기회에 세 문장을 다시 한번 읽어보시지요.
 
學而時習之 不亦悅乎(학이시습지 불역열호)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유붕자원방래 불역락호)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호).
 

특이한 해석에 깊이 공감합니다.

해석보다 배움에 대한 이야기니까요 ^^ 

 

배움에 끝이 없다고 한다

그럼 왜 배우는 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더 잘 살고 싶어서다.

더 잘 산다는 것은 기쁨의 삶이다.

그래서 배워야 한다.

 

지식을친구를 만난 것 같고

그 지식을 익혀 지혜를 얻어가면

기쁘지 않을 수 있을까?  





'♥평생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어떻게 배울 것인가?  (0) 2017.04.18
공부를 멈추면 추락 시작  (0) 2016.09.26
책. 교사는 지성인이다 - 헨리 지루  (0) 2016.08.31



행복한 진로학교

행복한 진로학교


저자    박원순 , 임경수 , 박기태 , 주상완 , 임영신 지음 

출판사  시사IN북 | 2011.06.07 

형태    판형 A5 | 페이지 수 256 



사람들은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모른다.

그래서 항상 물어보기도 하고

묻지도 않고 그냥 살기도 한다


일단 묻기 시작하면 답을 찾기위해 끊임 없이 되뇌이며 

고통 받기도

즐기기도 한다.


이 물음의 길잡이가 되어줄 강의를 책으로 묶었다.

# [사교육걱정없는세상]에서 열은 강의이니 내 가치관을 많이 보완할 것 같음 

# 편협하다 할라나 ㅎㅎ 그래도 난 이게 좋은 걸



연사별 정리~


[박원순] 당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지금은 서울시장


윤리가 돈이 되고 일자리를 만드는 사회

리사이클, 스토리텔링, 모금 전문가


정부/기업/시민사회의 경계가 사라진다.


하고 싶은 건 한가지만 깊이 해라


# 사회가 발전할 수록 비영리기관이 늘어난다고 생각

# 선진국은 정부:기업:ngo가 1:1:1의 관계라 들었다.



[임경수] 사회적 기업 '이장' 대표


# 농업에 대한 새로운 시각

사람이 하는 일 중 사람과 자연에 도움이 되는 것은 '농업'뿐


루돌프 슈타이너 - 생명동태농업

호주 생태마을 - 퍼머컬처 : 지속가능한 농업(사회, 문화, 경제)


농촌을 살리는 것은 공동체를 살리는 것

# 지역 경제를 살리는 것이 전체 공통체 인원을 살리는 것

# 내부 생산과 소비를 활성화하여 순환하는 것이 주 목적



Q 사회적기업을 하려면?

A 이윤을 내는 방식도 사회적이어야하고 이걸 찾아내기 위해서는 인문학적 소양 중요

Q CSA : Community Supported Agriculture

A 식량안보를 위해 농민이 생산하는 양에 맞춰 먹는 시스템

   식단을 생산량에 맞춰짜는게 쉽나요? 식단에 맞춰 생산하는게 쉬울까요? 



[박기태] 사이버 외교사절단 '반크'설립자


언어에 대한 장점과

인문학이 결함하여 반크가 설립되었고

다수의 의견이 규합 융합되어 발전 유지된 사례


#무엇이든 자신의 재능을 깊이 있게 닦으면 인문학과 결합하여 무언가를 이룬다는...


[주상완] (주)씨앤엠 로보틱스 대표


엄청난 노력으로 키워낸 기술력!

실력을 바탕으로 해쳐온 수많은 일들

그리고 교육에 대한 열정


Q 사장으로 어려운 점

A 현실과 이상과의 괴리인데 이는 상호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소통과 토론 문화 필요

A 문제는 항상 사람, 돈이 문제라지만 그건 아닌 것 같다. 지금도 시행착오 중

Q 어떤 사람을 뽑나오?

A 일단 인품



[임영진] 공정여행가


진정한 여행이란 함께할 수 없지만 기억할 수 있다는 걸 깨닫는 과정


좋은 여행은 나를 바꾸고 성숙한 여행은 세상을 바꾼다고 믿어요


인도의 맨발대학, 학위를 주지 않는 이유

그 사람이 정말 그것을 배웠는지를 증명해줄 수 있는 권위는 이 세상에 없다.

그 사람의 배움은 그 사람의 삶을 통해 증명될 수 있을 뿐이다.


여행은 소비가 아닌 만남이라는 것

구경이 아닌 소통이라는 것


# 근래 '희망을 여행하라' 라는 책 보는데 이분이 쓰셨던데 ㅎㅎ 우연의 일치?



[최영우] (주)도움과 나눔 대표


미래에 필요한 능력?

끊임없이 학습할 수 있는 능력, 자기학습 욕구

소통하는 능력


왜 아이에게 캠핑을 시키는가?

때때로 삶을 매우 단순하게 보는 감각이 있어야 살아갈 수 있기 때문

# 삶은 매우 단순하다.


트리비움 : 문법, 수사학, 논리학

부모가 트리비움 관련 책을 봐야. 모든 교육의 대안은 가정

문법 : 학문의 기본 구조

논리학 : 통합적 사고

수사학 : 커뮤니케이션


아이에게는 지식을 대하는 태도, 세상에 대한 책임감, 애정이 가장 큰 경쟁력입니다.



[송인수] 사교육 걱적없는 세상 공동대표


'기질'은 놔두고 '가치'와 관계된 것만 고쳐야 합니다.

거꾸로면 큰일. 아이를 인정하세요


내가 계속 운동을 하는 이유는? 삶에서 풀어야할 문제가 있어서 입니다.

#나도 관심있고 하려는 이유는 풀어야할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







1.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1) 개념

한 집단 내에서의 어떤 문제나 요청에 대하여 자유롭고도 제한 없는 의견 또는 대안의 교환하는 것으로 한 의견이 다른 의견을 불러일으키는 암시 역할을 하여 연속된 의견 속에서 기발한 아이디어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방법

(2) 특성

토의방법은 비형식적, 자유로운 발표

구성원에게 어떠한 제약도 없다. (가능한 많은 내용이 나오도록 유도)

집단 사기와 단결심 높임

(3) 유의사항

집단 구성원들끼리 잘 알고 자유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

구성원 모두가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함

사회적 지위 무시, 각자의 아이디어는 모두 가치 있다고 전제 함 (ex 새마을 운동)

장기적 융통성 있게 결론을 내릴 주제가 좋음

토론 시간은 40~60분 정도

장소는 자유롭고 진지하게 토의할 곳

그밖에

사회자는 논제 정확히 숙지, 기록자 선출(1~2명), 아이디어 표출 최대 보장, 모두가 발언할 수 있는 규칙과 기준을 세우고 토론, 최종적으로는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참가자는 주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비평과 논쟁, 의심을 하지 않으며 상대방에 대한 격려 등을 해야 함

2. 역할연기(Role Playing)

(1) 개념

소집단원에게 개인별로 다른 역할을 주고 인간관계의 일반적 어떤 상황에서 서로 협의하여 어떤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다른 역할을 맡은 사람들과 원만한 타협을 보도록 하는 기법

(2) 특성

적극적 참여를 마련한다.

집단성원간의 친근감을 증대 시킨다.

융통성이 있는 연습이 가능하며 연습자체가 교육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참여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역할연기자는 변장으로 심리적 억압을 풀 수 있다.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역할연기가 결론을 목적으로 하면 비효과적 방법이 될 수 도 있다.

효과적인 역할연기 장면은 짧다.

부적격자가 배역을 받으면 비효과적이다.

답이 하나밖에 없을 경우엔 효과가 없다.

(3) 유의사항

역할극의 해야할 내용을 일정하게 한정화 시킨다.

참여자의 의사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배역을 결정한다.

역할 담당자의 임무를 명백히 하나 역할수행은 미리 연습될 수 없다.

그 집단이 상황과 방향을 분석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지면 중단한다.

토론은 역할연기자에 대한 내용보다 ‘나타난 사실’이나 ‘원칙’에 초점을 둔다.

3.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

(1) 개념

20~30명의 소집단원에게 감정을 소통시킬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 상황에서 피교육자가 어떻게 처신하고 행동하는지 살피면서 스스로 반성하고 평가, 결심하여 생활에 적응하도록 훈련하는 일종의 임상심리치료 방법

인간 심성 변화를 위한 교육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2) 특성

10~15명 소집단 형성하는 것이 좋다.

참가자 특성은 이질적인 성향일수록 효과적이다.

화제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 계획도 꽉 짜여있지 않다.

참여자의 자유로운 감정표현을 보장해야 한다.

1~2주 동안 집중적이고 지속적으로 시행한다.

전문가가 필요하다.

(3) 유의사항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

참여자 간 문화적 독립성을 가진 경험자일수로 좋다.

변화의 저항이나 폐쇄적 태도를 버리도록 한다.

훈련지도자는 표면에 나타나지 않고 비회원이면 더 바람직하다.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 화제가 되어야 한다.

상황에 대하여 노골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상대의 기분과 언어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

4. 연시방법(Demonstrative Method)

(1) 개념

새로운 정보 또는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을 피교육자가 직접 관찰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선택하는 방법

피교육자가 과정과 결과를 직접 보고 평가하기 때문에 평생교육방법 중 가장 실증적이다.

▶ 종류

- 방법연시 : 단계적 행동을 설명하면서 하나하나 보여주는 방법

- 결과연시 : 보일 수 있거나 들리거나 느낄 수 있는 증거를 직접 보여주는 방법

(2) 특성

재미있고 쉽게 이해된다.

교육에 대해 피교유자 스스로 확신한다.

지식의 실제적 적용을 보여준다.

지역적 수준 특성을 제시한다.

상당한 시간과 경비가 소모된다.

(3) 유의사항

효과적 과정을 위해 훌륭한 연시자가 필요하다.

특정 조건의 교육상황에서만 가능하다.

장소는 지역을 대표하거나 문제가 있는 지역에서 실시한다.

연시 사전에 연시에 대한 설명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5. 현장견학

(1) 개념

한 집단이 특별한 목적으로 현장을 방문 목격하여 배우고 확인하는 행동

근본 취지는 실제 있는 그대로의 활동‧기술 등을 관찰하는데 있음

(2) 특성

새로운 경험과 정보획득의 기회 마련해 준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어야 한다.

피교육자의 흥미와 관찰력을 자극한다.

행함으로써 배우는 기회 제공한다.

배운 그대로 이용 가능하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요소 제공한다.

직접 관찰을 통해 쉽게 이해한다.

참여자간 협동사업 가능하다.

(3) 유의사항

1) 현장학습 계획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계획을 세울 때에는 피교육자의 참여하에 수립이 효과적이다.

사전에 현장 책임자의 참여 요청해야 한다.

2) 견학의 실시

집단 규모가 큰 경우 리더를 배치해 소집단으로 견학한다.

피교육자의 신체적 편의 고려한다.

6. 시청각 교육방법

(1) 시청각 교육의 의의

1) 시청각 교육의 개념

영국의 Aoudio-Visul Education의 번역어로 6.25사변을 전후로 사용

교과서 위주의 언어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출발하여 언어적 추상적 경험에 대하여 비언어적 구체적 경험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쓰여진, 그리고 인쇄된 언어 이외의 보다 구체적인 시청각 교재나 교구를 가지고 사람의 감각에 호소함으로써 학습의 성과를 더욱 능률적으로 거두려는 교육방법」이라 하였다.

이후 시청각 교육이 통신과 결합하여 「학습과정을 통제하는 각종 메시지의 고안과 사용을 주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론과 실천의 한 분야」인 시청각 통신으로 발전하였고

현 시청각 교육이라 함은

「시청각 자료를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학습과정을 효과있게 해주는 것이다.」라고 하겠다.

2) 시청각 교육의 의의

가. 시청각 학습의 의의

전혀 생소한 학습상태에 부딪쳤을 때 (구체적 Image가 없는 상태)에 효과적인 학습

언어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 올바르게 이끌 수 있음

복잡 다양한 현대사회에 개념형성의 힘과 일반화의 능력을 길러줌

나. 시청각 자료의 의의

생생하고 구체적인 경험을 줌

동기를 유발하여 자발적인 학습활동을 자극하고 학습결과의 지속성에 기여

정확한 사고와 그 사고의 발전을 도움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 형성과 현대사회에 적응에 도움

다. 시청각 교육의 가치

개념 형성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 차지

학습경험 내용을 풍부하게, 활동을 활발하게, 목표 명확히, 흥미 유발 등

(2) 시청각 교육의 제이론

1) 호오반(Hoban)의 교육과정의 시각화

1937년 처음으로 시청각 교육의 이론체계 기틀 마련

교육의 목적은 경험의 일반화에 있음

언어와 실 경험의 양극을 잘 조절하여 반구체적이며, 반추상적인 교재를 의미있게 제공함으로써 교육이 실제적으로 이루어 짐.

말, 도표, 지도, 슬라이드, 입체도, 영화, 표본, 실물, 전체장면으로 나열하여 추상적에서 구체적 순으로 배열 설명

2) 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

‘경험의 삼각추’ 제창, 교육의 목적은 개념의 형성

개념형성의 기초로서 풍부한 경험이 필요하며 그 경험을 단계별로 도식화

시청각 교재의 상호관계를 도식화한 것에 지나지 않음

언어적 상징

11

상징(추상)적 영역

시청각 상징

10

라디오 사진 레코드

9

영화

TV, 영화

7‧8

관찰적 영역

전시

전시

6

견학여행

견학여행

5

연시

연시

4

극화경험

극화경험

3

행동적 영역

구성된 경험

구성된 경험

2

직접적‧목적적 경험

직접적‧목적적 경험

1

(경험의 삼각주)

(경험의 원추)

그림1. 경험의 원추형

3) 올센(Olsen)의 시청각 자료

학교와 사회를 연결하는 교량으로써의 현실을 기계적 조작에 의해 변형, 편집하여 제시하는 대리경험을 위한 학습자료로 규정

대리학습은 ‘상징화’와 ‘재현’으로 나눌 수 있음.

시청각 자료는 학습지도를 위한 보조물로 이용되어지며 교육의 대용물은 아님

4) 킨더(Kinder)의 시청각 자료와 기술

학습의 목적은 개념형성에 있고 그 과정과 피교육자의 발달단계에 알맞게 시청각적인 자료를 제시해야 함

감각, 지각, 기억, 심상‧상상, 사고, 개념, 추리‧사고 순으로 단순 직접에서 복잡 간접으로 단계화 하여 학습과정을 도식화

(3) 시청각 교육의 제한점

1) 학습문제를 추상적과 구체성으로 단순화시키는 문제다.

시청각 자료의 활용은 학습과정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하여 이해되고 실천되어야 함

2) 학습지도는 일반적으로 교육목적 달성에 필요한 경험의 선택, 조직, 제시이다.

기술성에 현혹되어 교육의 목표 및 근본 문제를 파악하지 못하면 안 됨

3) 언어의 문제가 단순히 추상과 구체의 차원에만 다루어질 수 없더,

언어만의 적절한 사용도 학습지도에 중요하며 추상과 구체의 적절한 조합 필요

4) 통신교육의 기계적 사용은 효과를 보장하지 않는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바탕으로 지도해야 함

5) 학습심리학이 빠른 속도로 교육현장에 응용되고 있다.

프로그램 학습, 자동수업, 작동적 조건화 등 인간 학습에 응용

(4) 시청각 교육의 종류와 활용

1) 시각 교구

가. 칠판

나. 융판 : 교재물을 임의로 붙였다 떼었다 함으로 활용

다. 괘도 : 간략화, 계통화하여 알기 쉽게 분류 정리, 대조‧대비‧요약‧설명의 보조자료

라. 실물 : 현장교재를 자원으로 현장학습 효과 볼 수 있음

마. 모형 : 실물로 관찰이 어려운 경우나 복잡한 경우 중요한 부분만 작게 단순화 함

종류로는 단면모형(내부관찰), 조립모형(전체나 부분 상호관계 이해), Mock-up(필요한 부문만 실물과 동일하게), 활모형(실물과 동일하게) 등이 있음

바. 슬라이드 및 환등기 : 움직이지 않는 화면을 확대하여 다수가 동시 관찰

종류 - 투사 환등기(OHP : Over Head Projector), 실물환등기(Opaque Projector)

2) 시청각 교구

가. 교육영화 : 암실성, 연결성, 극화성으로 피교육자의 몰입도 높아 효과적

나. VTR(Video Tape Recorder) : 찰영카메라 + 녹화기 + 모니터용 TV => VTR셋트

기록재생성, 반사반영성, 즉시성, 보존성, 반복성, 분배성등의 특징이 있음

종류는 녹화테이프 폭, 자가헤드 상태, 외형상 등으로 분류 됨

3) 청각 교구 : 라디오, 카세트테이프

9. 문제해결식 방법

(1) 문제

1) 구성요소

가. 내적욕구인 ‘동기’ 혹은 외적 요구인 ‘필요성’

나. ‘목표’ 설정 또는 결과의 성취

다. 동기와 목표간의 ‘장애’ 발생

2) 사고의 기능

사고란(Thinking) 「인간의 두뇌를 쉴 사이 없이 통과하는 관념」으로 흡수력(감지 전달), 기억력(보존 재생), 추리력(분석 판단), 상상력(생산)의 기능을 가진다.

3) 발생형태 및 유형

가. 형태 (발생원인에 따라)

- 부여되는 문제 : 제3자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 부닥치는 문제 : 운명적, 우연적으로 불가피하게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

- 발견 혹은 자작하는 문제 :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는 경우

나. 유형 (성질에 따라)

- 이론적 문제(논리적 문제) : 논리적 절차에 의해서만 해결되며 답안이 정해져 있음

- 창조적 문제 : 상상력에 의하여 다양한 방안으로 해결 가능

4) 해결의 제 종류

가. 본능적 해결 :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와 선천적인 행동이 수반되는 경우로 해결

나. 실습에 의한 문제해결 : 기계적‧반복적(고착)행위에 의해 우연히 해결

다. 시행착오적 문제해결 : 목적 발견을 위해 가능한 방법을 반복하다가 우연히 해결

라. 통찰적 문제해결 : 종합적 판단력과 직관적 통찰력이 작용하여 추리 판단 해결

마. 대행적 문제해결 : 본래의 난점을 다른 대상으로 해소시키는 것

바. 과학적 문제해결 : 정보를 수집 검토, 분석, 종합하여 합리적 근원적 해결

(2) 문제 해결식 방법

1) 의의

집단을 통해 주어진 문제상황을 분석 검토하여 어떤 원리원칙을 적용, 집단 스스로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발견 제시하게 함으로써 학습성과를 얻는 교육방법

2) 특성

가. 학습의 전이(Transfer of Learning)

학습자들이 이전에 경함한 것을 토대로 동일한 종류의 새로운 환경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으로 교육자는 문제해결 환경을 조작하는 일이 매우 중요

나. 의지의 개재(열의있는 반응 : Emotional Involvement)

장애 극복을 위해 학습자의 내용에 대한 의지적인 반응이 매우 효과를 발휘

교육자는 학습자들에게 학습 필요성을 느끼게 해줄 충분한 장애를 제공

다. 문제해결(방법)법 활용상의 융통성(Flexibility in using the problem Discussion)

적용력 향상, 적용력 측정, 학습에 대한 인상 강화 등을 위해 활용

3) 교육방법의 준비 절차

가. 학습목적의 설정 : 필요한 윈리원칙을 적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설정

나. 학습성과의 결정 : 원리원칙 적용 시 구체적 행동까지 명시하여 기술

다. 사실과 조건의 서술 : 원리원칙을 활용할 현실적 문제상황을 문장으로 작성

라. 문제의 진술 : 학습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는 것을 기술

마. 계획된 토론 순서의 준비 : 토론을 전개할 특정한 주요 질문 배열

4) 교육방법의 진행 요령

가. 토론을 위하여 학생을 준비시킴 : 문제설명서 배포

나. 문제를 전개할 것

다. 집단의 역할을 수립할 것 : 마치 실제 참여한 듯한 현장감 조성

라. 토론에 참여하도록 학습자를 자극할 것 : 교육자가 아닌 참여자로 접근

마. 사실과 조건을 검토할 것 : 참여자로 함께 검토

바. 문제의 기술에 대한 합의를 볼 것

사. 부수적인 사실과 조건을 설명할 것

아. 집단을 토의사항에 적용시킬 것

자. 집단으로 토론을 시작할 것 : 문제의 검토와 분석을 바탕으로 과업 결정 수행

차. 집단건의를 요약할 것

카. 학습목적과 학습성과 요약할 것 : 참여자에서 교육자의 역할로 돌아가 성과를 공유

타. 재동기 부여를 하고 결론을 지을 것











10장 평생교육 프로그램 마케팅

1. 프로그램 마케팅 이해

▶ 프로그램 마케팅

학습고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취해지는 여러 조치에 대해 연구, 분석, 판단, 실행

학습 고객의 필요를 결정하고 이러한 필요들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하며, 그것의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포괄적 과정

▶ 마케팅과 구별되는 용어

광고 : 비용 지출 (신문, 우편물 등)

홍보 : 비용 없음 (신문 방송 기사, 기획물, 인터뷰 등)

2. 프로그램 마케팅 모형

<10-1> 모형 비교 참조

2.1 전통적 모형

평생교육기관의 요구와 필요가 우선, 학습고객 설득에 집중, 내부지향적 성격

장점 고려 요인이 거의 없음

단점 외적 변화 무시, 학습고객에 무관심

2.2 교환 모형

개발한 프로그램의 가치를 학생고객의 요구와 필요의 교환을 통해 획득

평생교육기간과 학습고객간의 균형적 관점 강조

기관의 지속적인 변화 촉진

변화가 점진적(빠르지 않음)

2.3 적응 모형

학습고객 요구와 필요가 우선, 기관의 목적/가치/기준 무시 경향

변화가 빠름

전통적 경향 도외시

현재 많은 기관이 적용하는 모델

3. 프로그램 마케팅 구성 요소 (4P + 3P)

4P

3.1 생산물(product) :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3.2 진흥(promotion) :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법 (신문,라디오,현수막,포스터 등)

3.3 장소(place) : 접근 용의서 중요

3.4 가격(price)

▶ 가격 결정 접근 방법

▷ 지출 중심형 총비용과 참여자수 예측, 고정+가변 비용, 고정비용 중심 책정

▷ 수용 중심형 수요 기준, 수요가 높으면 고가

▷ 경쟁 가격형 경쟁도 기준, 경쟁력 높으면 고가

▷ 기타 접근 방법 총비용 가격, 시세가격, 한계비용

3P

기관의 정책 (Policy)

타 기관과의 파트너십(Partnership)

외부 영향력-정치성(Politics)

4. 프로그램 마케팅 전략

▶ 효과적 수행을 위한 유의점

- 용어의 명확한 정의

- 기관의 임무, 목적, 목표의 성취와 직접적 관련

- 환경에 대한 검토와 분석

- 학습고객의 서비스 지향 체재 개발

- 심리학적▫인구통계학적 자료 활용

- 시장 분할 전략에 대한 인식 필요

- 마케팅 효과에 대한 추적

- 연속적 마케팅 계획 수립

▶ 현장 마케팅 원리 1~10

- 학습고객에게 알리라

- 학습고객을 분할

- 상품을 정치시키라 è 정치는 개방하라는 뜻?

- 경쟁 프로그램 및 기관 파악

- 학습고객이 오는 곳 체크

- 다양한 접근법 이용

- 집행을 위한 적절한 모델 사용

- 확인 검증

- 파트너십을 발휘할 대상 물색

- 나중에 더 좋게 할 수 있는 것을 바라보라

5. 프로그램 마케팅 절차

[그림10-2] 마케팅 단계 참조

5.1 문제 인지 및 문제정의 : 명확히 규정

5.2 목표 설정 : 문제를 목표로 전환, 조치 명확히 -> 평가에 도움

5.3 시장 분할 : 학습고객의 특성과 요구 기준 분할

학습지향, 프로그램 제공 선호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의해 구별

5.4 마케팅 전략 수립 : 세부내용 결정, 4P(생산물, 장소, 증진, 가격)

5.5 프로그램 마케팅의 수행 : 실행

5.6 마케팅 평가 및 조절 : 결과 확인 후 각 단계 feed back

6. 프로그램 마케팅 기법과 사례

6.1 프로그램 마케팅 기법

홍보, 광고, 우편물, 신문 및 잡지 광고, 방송매체, 전화, 구두, 팜플렛,

기타(지역 신문과 유선방송 등, 기관 소식지 및 신문, 상설 홍보물 배치 등)

6.2 프로그램 마케팅 사례

- 눈을 끄는 홍보 내용 필요 : 명확, 최소, 쉬운, 친숙

- 효과적 홍보 내용 필요 : 목표시장, 요구 충족, 혜택 강조, 처음3~4, 즉각 참여,

강한 메시지, 행동을 위한 카피 배열, 평가 계획 수립 등

- 적절한 홍보 매체 선정 : 주 매체를 보조하는 매체 다각적 활용,

단순(->) 복잡(->), 광범위 홍보 매체 선택 등











9장 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

1. 프로그램 설계의 이해

교육체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매체에 따라 적절히 설계

2.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원리 및 구조

2.1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 원리

- 학습자의 학습 촉진을 목적

- 단시/단기적, 장기적 국면

-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

- 체제적 접근

- 인간이 어떻게 학습하는가에 관한 지식에 기초

2.2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 구조

- 수직적 설계 방법 : 점차적인 순서

- 수평적 설계 방법 : 동시에 시행하여 선택권

- 대각선 설계 방법 : 수평적 방법과 수직적 방법 혼합

- 나선형 설계 방법 : 진행과정이 반복적이며, 연속적으로 효율적

3. 프로그램 내용 선정 원리와 방법

3.1 프로그램 내용 선정의 원리

- 합목적성/목표와 일관성 : 개인적/사회적 요구 및 철학적 이념 구현

- 능력수준과 흥미에의 적합성 및 자발성 (개인적 요구)

- 실용성과 다양성 (사회적 요구)

- 일목적 다경험 및 일경험 다목적의 능률성, 동시학습(concurrent learning)

- 교육/학습지도 가능성 및 자기주도성 : 지도 능력에 따라,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 지역성 및 유희▪오락성

3.2 프로그램 내용선정의 진행절차

- 목표 중심의 내용 선정 방법 : 일반적 방법

- 우선순위 설정에 의한 프로그램 내용 설정 방법 : 준거 기준을 정해 가중치 부여

è 요구분석 시 스크린 과정은 어떻게 하는가?

4. 프로그램 내용 조직의 원리와 방법

※ 교육 내용 조직이란 : 선정된 교육내용을 학습자의 발달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조직하고 계열화시키는 것

4.1 프로그램내용 조직의 기본원리

- 계열성의 원리 : 단계적 학습

- 계속성의 원리 : 많은 실습과 연습으로 반복 학습

- 통합성의 원리 : 내용 소주제들이 서로 통합된 성격

4.2 교육내용 조직의 방법

골격구성->계열화->설계 명세서->형성평가->적합도->의사결정->개발 or 구입 결정

▶ 단원길이의 잠정적 설계(골격구성)

프로그램 실시기간과 단원 및 레슨의 시간배정 등 구성

프로그램 시간표, 전체 순서도

▶ 교육내용의 계열화(sequencing)

▷ 계열화 중요성 이유

내용이 10시간 넘어설 경우 논리적이고 의미 있게 조직화시키는데 한계

인지구조 내 정보처리의 간섭작용을 예방

▷ 방법

- 절차적 :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 운동기술 학습

- 위계적 : 선수학습요소에 따라 (부분에서 전체로) -> 인지적 학습

- 주제영역별 : 선행주제와 분리되는 순서화, 복습과 종합 철저히 필요

- 나선형적 : 점차 심화 확대하는 중복적 제시

- 정교화 이론: 단순에서 복잡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하며 일반적

계열화는 내용 전문가와 프로그램 설계자의 공동 작업 수행의 질에 따라 성패 좌우

▶ 프로그램 설계 명세서 작성

설계과정을 통해 산출된 결과물들을 종합 작성

효과 : 개발 지침을 제공, 활동을 구체화▪가시화 함

구체적 내용 (Page 216 참고)

5. 프로그램 형태별 설계

교육체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매체 등에 따라 설계 방법 달라 짐

5.1 교육체계 설계

- 매트릭스 방법 : 선택할 수 있는 여지 부여

- 플로우 차트 방법 : 통로 제시, 코스별 흐름도를 Road-map으로 보여줌

- 위계적 방법 : 계층교육이나 절차 강조 기술교육에 적합

5.2 교육내용 설계

단기간의 교육일 경우 곧바로 코스설계와 동일한 행위로 간주

- 코스설계 방법 : 단일 주제를 가지고 실행될 교수▪학습과정과 관련된 모든 요소

약술형식으로 체계화,

- 교재설계 방법 : 18단계로 구분 (page 322 참조)

- 교안 설계

5.3 교육운영 설계 방법

▶ 교육매뉴얼 개발 : 미시적 수준의 작업

▶ 활동계획 설계 : 학습자의 신체적 활동 강조

▷ 수련활동 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

- 철저한 준비

- 목적달성을 위한

- 형편에 맞는

- 전체가 참여할 수 있는

- 내용이 균형 잡힌

- 학습자에게 무리가 되지 않는

- 장소, 행동 등 변화를 주어 권태감 없게

- 구체적으로

7가지 기본요소 참고 (page 329)

5.4 교육매체 설계 방법

교육방법 결정 후 구체적 교육매체 제작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자 단위로 교육방법 구분

<9-4>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자의 단위에 따른 교육방법 참고











8장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설정

프로그램 개발의 초점과 의도를 명확히

1.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의 이해

1.1 교육목적, 프로그램목적, 학습목표

교육목적-프로그램목적-학습목표의 위계화 개념도

교육목적 기관 수준 평생교육기관 임무/사명

프로그램목적 프로그램 수준 프로그램 의도 진술

학습목표 교육활동 수준 변화될 학습자의 구체적 행동특성

1.2 교육목적, 프로그램목적, 학습목표 기능

▷ 교육목적 : 기관의 성립근거와 정체성 명확히, 구성원의 방향성 확립

▷ 프로그램목적 : 참여자 기대감, 프로그램 홍보, 운영자 정체성, 운영과정 지원 촉구

▷ 학습목표

- 교수자 : 학습경험의 범위

- 교육 : 내용, 방법, 방향 규정

- 학습자 : 학습활동 촉진, 활성화

- 평가 : 방향, 내용, 결과 해석의 규준 결정

2. 프로그램 목적 설정과 진술

2.1 프로그램 목적의 설정

▶ 설정 시 근거 사실

- 사회적 이념

- 재정적 지원 제공 기관(정부,단체)의 의도

- 기관 환경 속성과 사회적 변화 및 동향

- 기관의 설립 취지와 이념

- 학습자의 성장, 발달, 요구, 필요, 문제해결 등

2.2 프로그램 목적의 진술방법

▶ 미국 확장교육(extension education)

To : to achieve specific objectives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결과

By : providing programs 제시될 프로그램 유형

For : identified learner 프로그램의 수혜자(참여자)

▶ 한국화

상황 : 학습자가 처해있는 상황, 상태

대상 : 프로그램 참여자 명시

내용 : 제공될 구체적 내용

직접적 결과 : 교육 후 즉시적 변화 특성

기대효과 : 교육 후 나타날 기대효과

=> 이걸 한 문장으로 표현

3. 학습목표의 영역과 유형

3.1 학습목표의 영역

학습자가 체험을 통해 변화되는 행동영역에 근거하여 진술

▶ 행동특성과 학습목표 <8-1>참조

인지적 행동특성 : 지식, 이해력, 적용력, 부석, 종합, 평가

정의적 행동특성 :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신체운동적 행동특성 : 반사운동, 초보적 기초운동, 지각능력,

신체적 능력, 숙련된 운동 기능, 동작적 의사소통

3.2 학습목표의 유형

일반적 목표 : 포괄적, 방향제시성, 내현적 동사, 비교적 폭넓게 진술

명세적 목표 : 구체적, 명시적, 행위 또는 동작동사, 아주 좁게 진술

주목표 : 우선, 포괄적,

하위목표 : 차선, 구체적 ≈ 명세적 목표

최소 필수목표 :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학습

심화 발달목표 : 최소 필수목표 수준 이상 학습

궁극적 목표 : 최종적 달성

직접적 목표 : 지금 당장 달성

출발점 행동목표 : 학습하는데 절대적 필요 지식/기술 달성

도달점 행동목표 : 획득되기를 바라는 학습자 행동

중도점 행동목표 : 학습 과정 중 필연적 발생 변화, 획득 행동

과정목표 : 과정의 절차 초점 ≈ 중도적 목표

성과목표 : 최종 양과 질 초점≈ 도달적 목표

행동적 목표 : 동작동사, 외현적 행동, 관찰 가능 è 명세적 목표와 유사

비행동적 목표 : 내현적 행동, 관찰 불가 è 일반적 목표와 유사

인지적 목표, 정의적 목표, 심동적 목표 : 행동특성에 따른 목표<8-1>참조

행동목표 : 학습되어져야 할 구체적 인간 행동

내용목표 : 학습자가 경험하게 될 교육내용의 양 기초

문제중심 목표 : 학습자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확인하는 방식

4. 학습목표의 설정 방법

4.1 DLO 방식 (desired learning outcomes)

학습자가 경험한 교육내용에 기초, 학습할 구체적 내용과 기능이 있을 때

4.2 C/S 방식 (certification / licensure tests)

면허 및 인증에 기초한 방법

4.3 DMLC 방식 (decision maker / learning context)

의사결정자에 의해 학습상황이 조성되고 학습목표가 결정, 정치적 필요성과 밀접

4.4 ISN 방식 (the instructor’s strengths/needs)

강사 및 교수자의 강점과 요구에 의해 설정, 편의성 위주의 의사결정

전문가의 해당 영역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의 요구와 다를 수 있음

4.5 LON 방식 (Learners’ Observed Needs)

학습자의 관찰된 요구, 가장 바람직한 방식(분석이 체계적인 경우에 한해)

4.6 LEN 방식 (Learners’ Expressed Needs)

학습자의 표현된 요구,

학습자에 대한 관찰, 노력, 분석 없이 일상적으로 필요하고 배우길 원하는 것

▶ 학습목표 설정 절차 3단계

1단계 경쟁목적에 대한 뚜렷한 인식

2단계 경쟁목적에 가중치를 두어 우선순위 설정

3단계 학습자 요구 및 필요와 일치하는 목적 설정

※ 경쟁목적(competing goals)

: 교육내용, 인증 및 면허, 상황, 교수자의 장점/약점, 학습자 관찰/표현 요구

5. 학습목표의 진술 방법

5.1 학습목표의 진술 원칙

▶ 원칙

- 합리성 (rational) : 논리적 패턴

- 실천가능성 (practical) : 현실성

- 다원성 (pluralistic) : 결과, 그 이상의 결과 반영 è 기대효과 반영

- 위계성 (hierarchical) : 다른 목표에 포함되기도 포함하기도 하는

- 차별성 (discriminative) : 행동의 중복 없이 è 의미는?

- 변화가능성 (changeable over time) : 다음 목표에 적응하려는 노력

▶ 상호작용 6 요인

환경(milieu), 학습자(learner), 내용(content),

설계(design), 열망(aspirations), 동기(motives)

5.2 학습목표 진술의 행위동사

<8-2> 학습목표의 진술을 위한 행위동사 참조

è 의미 전달을 위한 정의 작성 시 활용도 높을 것으로 예상

5.3 학습목표 진술의 기본 요건 - ABCD

A audience 청중 학습자

B behavior 행동 변화된 학습자의 행동

C condition 조건 행동이 일어날 상황

D degree 정도 수준 판단의 준거/표준

+ 학습내용 (content of learning)

+ 학습자료

5.4 학습목표 진술의 양식

Tyler, Mager, Gagne, Gronlund

< 8-3> 비교표 참조

5.5 학습목표 진술의 절차

▶ 절차

- 목표 진술 방식의 선정 Tyler, Mager … 중 선택, 혼용 등

- 학습주체의 명시 주어는 반드시 학습자, 작성 후 생략

- 학습내용의 선정

- 동작동사의 선정

- 도달점 행동이 나타날 조건 방식에 따라 상황, 조건, 보조동상 등 사용

- 성취수용 수준 결정

※ 성취수용 수준은 개별 최저수준과 집단 최저수준이 있음











7장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

1.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의 개념

1.1 우선순위 설정(priority setting)의 개념

프로그램개발 과정에서 평생교육기관의 한정된 자원과 여건을 고려하여 가장 절실하고 가치 있는 요소를 선정하는 과정

1.2 프로그램개발과 의사결정

집단적 의사결정과정’ - 공공의 정치과정이라는 관점

2. 우선순위설정의 이론적 기초

2.1 의사결정의 원리

평생교육사는 다양한 결정 원리를 알아야 한다.

정형적 결정 (programmed decision) : 반복적이고 일상화된 결정

비정형적 결정 (nonprogrammed decision) : 새로운 문제나 구조와 성격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정

개인적 결정 : 개인이 대안을 선택 결정

집단적 결정 : 관련된 사람과 전문가를 참여시켜 결정

사적 결정 (personal decision) : 개인의 목표달성을 위한 결정

조직적 결정 (organization decision) :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결정

2.2 의사결정의 모형

▶ 합리모형(rationality model) : 규범적▪이상적 방법

인간의 전능성 전제, 인간은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 만족모형(satisfying model) : 현실적▪실증적 방법

인간의 완전한 합리성은 없음, 의사결정자의 사회▪심리적 측면 중시

≈ 의도적합리성(intended rationality) ≈ 제약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 점증모형 (incremental model) : 현실적▪정치적 방법

≈ 그럭저럭 헤쳐나가는 모형(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 짜집기식 작업 (patch work)

▶ 혼합관조모형(mixed scanning model)

합리모형을 기존 방향으로 점증모형을 특정문제

▶ 최적모형(optimal model) : 직관, 판단, 창의 등 잠재의식 개입

최적치(optimality) : 모든 것이 고려되어 있다.

평가와 피드백에 의해 최적(질적) 수준에 이를 수 있다는 것

è 최적치에 대한 추가 설명 필요

2.3 의사결정의 지침

3.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의 기준

4. 우선순위 설정의 접근방법

4.1 스크린 여과 접근

4.2 중요성-실현가능성 접근

4.3 서열화 접근

4.4 평정화 접근

4.5 통계분석적 접근


6장 직무분석과 교육필요점 분석

1. 직무분석의 이해

▶ 정의

관찰이나 정교한 조사에 의하여 특정한 직무의 결정적인 특성을 규정하는 정보를 찾아내어 보고하는 체계적인 절차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작업

▶ 요건

직무에 포함되어 있는 작업

우수 직업인이 되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 책임

다른 직무와 분명한 구분

▶ 프로그램 개발의 직무분석

무엇을 알아야 하는 것보다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가를 분석

▶ 위계적 개념도 : 직업군 -> 직업 -> 직무 => 책무 => 작업 => 요소 => 단계

2. 직무분석의 방법

2.1 최초분석법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분석,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에 적용

종류 : 면담법, 관찰법, 체험법, 설문법, 녹화법

2.2 비교확인법

직무분석가 직무분석 초안 작성 후 현장에 나가 실제 여부를 최초분석법으로 확인

기존 자료 분석시기와 현재 시점과의 차이가 나는 점을 발견하여 보완하는 것

직업사전(직무기술과 직무명세서 수록)을 각 나라에 알맞게 수정 보완

다른 방법과 상호보완하여 완성되는 방법

2.3 다쿰(DACOM)

워크샵을 통한 분석 방법

참여자 : 실무자, 다쿰 촉진자(DACUM facilitator), 분석가, 분석협조자, 서기 등

3. 직무분석의 절차

[그림 6-3 직무분석과 교육훈련 필요점 분석 절차] 참조

3.1 Job Model 설정 직종의 직무를 정의, 직무수행의 흐름도 제시

3.2 직업명세서 작성 해당 직업에 관한 모든 내용(정의, 환경 등)

3.3 직무명세서 작성 직업의 세부 작업들의 난이도, 중요도, 빈도 제시

3.4 작업명세서 작성 세부 작업들의 각 요소 난이도 제시

4. 교육 필요점 분석

직무분석 내용과 교육필요점 분석 설문지 구상

조사대상자 수 결정 및 표집

동일 job을 가진 대상자에게 배분

조사지 수거 후 분석

Task 중요도 및 교육필요점이 5.0이상 task 추출

5. 작업 KAST분석

지식(knowledge) : 정의, 절차, 원리

태도(attitudes) : 직무 속성과 성격에 맞는 직무수행자의 태도

기술▪기능(Skill) : 일반(공통), 조작적(전문적), 사회적(인간관계,리더십) 기술

도구(tool) : skill을 적용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나 장비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이 모든 것을 고려한 후

가용자원과 실현가능성 확인

우선순위설정

프로그램 목표 전환

구체적 프로그램 설계


8장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설정

프로그램 개발의 초점과 의도를 명확히

1.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의 이해

1.1 교육목적, 프로그램목적, 학습목표

교육목적-프로그램목적-학습목표의 위계화 개념도

교육목적 기관 수준 평생교육기관 임무/사명

프로그램목적 프로그램 수준 프로그램 의도 진술

학습목표 교육활동 수준 변화될 학습자의 구체적 행동특성

1.2 교육목적, 프로그램목적, 학습목표 기능

▷ 교육목적 : 기관의 성립근거와 정체성 명확히, 구성원의 방향성 확립

▷ 프로그램목적 : 참여자 기대감, 프로그램 홍보, 운영자 정체성, 운영과정 지원 촉구

▷ 학습목표

- 교수자 : 학습경험의 범위

- 교육 : 내용, 방법, 방향 규정

- 학습자 : 학습활동 촉진, 활성화

- 평가 : 방향, 내용, 결과 해석의 규준 결정

2. 프로그램 목적 설정과 진술

2.1 프로그램 목적의 설정

▶ 설정 시 근거 사실

- 사회적 이념

- 재정적 지원 제공 기관(정부,단체)의 의도

- 기관 환경 속성과 사회적 변화 및 동향

- 기관의 설립 취지와 이념

- 학습자의 성장, 발달, 요구, 필요, 문제해결 등

2.2 프로그램 목적의 진술방법

▶ 미국 확장교육(extension education)

To : to achieve specific objectives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결과

By : providing programs 제시될 프로그램 유형

For : identified learner 프로그램의 수혜자(참여자)

▶ 한국화

상황 : 학습자가 처해있는 상황, 상태

대상 : 프로그램 참여자 명시

내용 : 제공될 구체적 내용

직접적 결과 : 교육 후 즉시적 변화 특성

기대효과 : 교육 후 나타날 기대효과

=> 이걸 한 문장으로 표현

3. 학습목표의 영역과 유형

3.1 학습목표의 영역

학습자가 체험을 통해 변화되는 행동영역에 근거하여 진술

▶ 행동특성과 학습목표 <8-1>참조

인지적 행동특성 : 지식, 이해력, 적용력, 부석, 종합, 평가

정의적 행동특성 :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신체운동적 행동특성 : 반사운동, 초보적 기초운동, 지각능력,

신체적 능력, 숙련된 운동 기능, 동작적 의사소통

3.2 학습목표의 유형

일반적 목표 : 포괄적, 방향제시성, 내현적 동사, 비교적 폭넓게 진술

명세적 목표 : 구체적, 명시적, 행위 또는 동작동사, 아주 좁게 진술

주목표 : 우선, 포괄적,

하위목표 : 차선, 구체적 ≈ 명세적 목표

최소 필수목표 :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학습

심화 발달목표 : 최소 필수목표 수준 이상 학습

궁극적 목표 : 최종적 달성

직접적 목표 : 지금 당장 달성

출발점 행동목표 : 학습하는데 절대적 필요 지식/기술 달성

도달점 행동목표 : 획득되기를 바라는 학습자 행동

중도점 행동목표 : 학습 과정 중 필연적 발생 변화, 획득 행동

과정목표 : 과정의 절차 초점 ≈ 중도적 목표

성과목표 : 최종 양과 질 초점≈ 도달적 목표

행동적 목표 : 동작동사, 외현적 행동, 관찰 가능 è 명세적 목표와 유사

비행동적 목표 : 내현적 행동, 관찰 불가 è 일반적 목표와 유사

인지적 목표, 정의적 목표, 심동적 목표 : 행동특성에 따른 목표<8-1>참조

행동목표 : 학습되어져야 할 구체적 인간 행동

내용목표 : 학습자가 경험하게 될 교육내용의 양 기초

문제중심 목표 : 학습자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확인하는 방식

4. 학습목표의 설정 방법

4.1 DLO 방식 (desired learning outcomes)

학습자가 경험한 교육내용에 기초, 학습할 구체적 내용과 기능이 있을 때

4.2 C/S 방식 (certification / licensure tests)

면허 및 인증에 기초한 방법

4.3 DMLC 방식 (decision maker / learning context)

의사결정자에 의해 학습상황이 조성되고 학습목표가 결정, 정치적 필요성과 밀접

4.4 ISN 방식 (the instructor’s strengths/needs)

강사 및 교수자의 강점과 요구에 의해 설정, 편의성 위주의 의사결정

전문가의 해당 영역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의 요구와 다를 수 있음

4.5 LON 방식 (Learners’ Observed Needs)

학습자의 관찰된 요구, 가장 바람직한 방식(분석이 체계적인 경우에 한해)

4.6 LEN 방식 (Learners’ Expressed Needs)

학습자의 표현된 요구,

학습자에 대한 관찰, 노력, 분석 없이 일상적으로 필요하고 배우길 원하는 것

▶ 학습목표 설정 절차 3단계

1단계 경쟁목적에 대한 뚜렷한 인식

2단계 경쟁목적에 가중치를 두어 우선순위 설정

3단계 학습자 요구 및 필요와 일치하는 목적 설정

※ 경쟁목적(competing goals)

: 교육내용, 인증 및 면허, 상황, 교수자의 장점/약점, 학습자 관찰/표현 요구

5. 학습목표의 진술 방법

5.1 학습목표의 진술 원칙

▶ 원칙

- 합리성 (rational) : 논리적 패턴

- 실천가능성 (practical) : 현실성

- 다원성 (pluralistic) : 결과, 그 이상의 결과 반영 è 기대효과 반영

- 위계성 (hierarchical) : 다른 목표에 포함되기도 포함하기도 하는

- 차별성 (discriminative) : 행동의 중복 없이 è 의미는?

- 변화가능성 (changeable over time) : 다음 목표에 적응하려는 노력

▶ 상호작용 6 요인

환경(milieu), 학습자(learner), 내용(content),

설계(design), 열망(aspirations), 동기(motives)

5.2 학습목표 진술의 행위동사

<8-2> 학습목표의 진술을 위한 행위동사 참조

è 의미 전달을 위한 정의 작성 시 활용도 높을 것으로 예상

5.3 학습목표 진술의 기본 요건 - ABCD

A audience 청중 학습자

B behavior 행동 변화된 학습자의 행동

C condition 조건 행동이 일어날 상황

D degree 정도 수준 판단의 준거/표준

+ 학습내용 (content of learning)

+ 학습자료

5.4 학습목표 진술의 양식

Tyler, Mager, Gagne, Gronlund

< 8-3> 비교표 참조

5.5 학습목표 진술의 절차

▶ 절차

- 목표 진술 방식의 선정 Tyler, Mager … 중 선택, 혼용 등

- 학습주체의 명시 주어는 반드시 학습자, 작성 후 생략

- 학습내용의 선정

- 동작동사의 선정

- 도달점 행동이 나타날 조건 방식에 따라 상황, 조건, 보조동상 등 사용

- 성취수용 수준 결정

※ 성취수용 수준은 개별 최저수준과 집단 최저수준이 있음













10장 평생교육연구의 쟁점과 전망

범모 교수

“4가지 교육세력(인간을 교육하는 세력)에 주목

가정의 부모, 학교의 교사, 매스미디어의 언론방송인, 각계각층의 지도자

교육은 이 모든 교육세력의 교육형태에 관한 관심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넓은 뜻의 교육

교사, 학생, 교육과정, 시설등의 개념이 기존의 것과 다른 확대된 개념이어야

1. 평생교육의 담론적 쟁송성

1) 성장하는 개념으로서의 평생교육

▶ 이중성

- 당위적 교육이념 : 철학과 비전을 제시하는 논의 주종 (성장하는 이념)

- 제도적 실체 : 법제화 및 제도화 주종 (제도로서 표상화되는 실체)

이념과 제도가 서로가 서로를 규정하며 견제하는 관계

평생교육은 완성된 형태의 총체성을 드러낼 수 없는 성장하는 개념

2) 교육학의 대안적 담론으로서의 평생교육

전통적 공동체와 다른 새로운 담론공동체의 구축을 지향

▶ 기존 사회교육론의 연장선에서 출발,

▷ 경계 넘기(border crossing)와 통합(inclusion)

- 교육의 가치 통합

- 교육 공간 및 시간의 통합

- 학교, 사회, 가정 등 과거 이질적 학습생태계의 통합

▶ 실패 와 그 후

법적 강제성 결여로 실제적 촉발 기대 무리

논리적 긍정과 실제적 무관심이라는 이중적 대우

초기의 인문주의적 사회교육은 시장성과의 괴리로 인력개발과 노동시장 논리로 치중

교육학의 하위연구영역으로 이해

3) 정치▪사회적 이념의 쟁송성

▶ 세갈래의 정치적 사회적 지향 개념

- 학습사회론 : 학습사회라는 이념형, 자유주의에 기반

- 학습경제론 : OECD의 평생학습론, 시장의 논리 속 인적자원 확보 방식

- 해방적 평생교육론 : 3세계 중심, 인격의 발달과 사회 참여 촉진, 억압 극복

▶ 현재

지식기반사회의 세가지 동력으로 학습경제론 강화

- 탈산업사회 : 지식의 위치를 바꿈, 위에서 아래로

- 포스트모던적 문화 : 자신의 정체성과 남과의 차이를 특화, 예술과 대중문화 성장

- 지구화 : 지식과 학력의 국제적 교환 가능성, 학습이 공교육에서 일터로 전환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반사회의 밀월관계가 시작

최초 학습사회이념으로서 인본주의적 평생교육이라는 적자보다 인적개발학습경제라는 서자에게 상속권을 넘기는 현상

평생교육이라는 옷은 유네스코 이념이라는 윗도리와 지식경제 제도화라는 바지를 혼합

2. 평생교육담론의 제도화 : 뒤틀린 이념과 실제

초기 사회교육학자들은 국가제도를 통한 평생교육 체제 구축지향

국가단위 혹은 생에단위의 거시적 교육-학습의 통합모형을 개발하려 노력

▶ 평생교육법은

거시적 측면에서 한 사회의 전체 교육력 혹은 교육자원의 통합적 운영 제시

유▪무급 학습휴가제, 평생교육 시설 활용, 고등교육 기회 확대 다양화 제공, 문하생 학력 인정제도, 교육훈련 산업 투자 촉진, 강사정보은행제, 교육계좌제, 평생교육사 등

▶ 정부

▷ 문민정부

지식경제에 걸맞은 고급인력 수급에 집중

공교육 체제의 비대화와 고급인력 수급 및 계속교육의 요구를 평생교육으로 해소

▷ 국민정부

IMF로 인해 경제 회생과 구조조정에 도움되는 정책에 초점 -> 학습경제론 강화

기업은 평생교육이란 개념으로 인력개발비를 비경제부문에 넘기고 그 속도는 가속화

이에 대한 재구조화 필요성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탄생

è 평생학습 책임이 국가가 아닌 기업으로 기업은 개인으로 전가하는 분위기

3. 평생교육의 연구 영역은 어디인가?

앞선 시대적 흐름으로 국가 자체가 편중성을 심화시켜온 장본인

공공성은 결코 국가에 의해 담보 될 수 없다.

평생교육은 제도화될 수 없는 성질일지 모른다.

최근 평생교육 핵심이 학습에서 자격증으로 전화되는 것은 또 다시 확장된 형태의 학교태를 베끼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 새로운 과제

전 표상화 : 국가기제, 생애개발(career development), 개인영역

후 표상화 : 시민사회영역, 시민의식화, 공공영역

▶ 평생교육학의 방향

인간의 전인적 발달과정에 대한 총체적 안목 : 학교 내외를 포함하는 영역확대 시도

학습주의적 시각 : 가르치는 이론화 ->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공교육의 재해석 : 국민 전체에 대한 총체적 국가 교육서비스 지칭

제도변경 : 기간학제, 선형적 진학방식 -> 방계학제, 순환적 진학방식

※ 담론 :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이야기 함

쟁송 : 서로 다투고 송사함, 권리나 행위에 관한 분쟁











9장 산업선진국의 평생교육동향

1. 미국

1) 기존 사회교육관계법

각 법들은 정부의 각각 다른 부처에서 운영

중심 목표가 교육자체가 아닌 농업, 고용, 국가바위, 평등 실현을 위한 부수적 수단

2) 성인교육법(1966)

최초의 단일한 사회교육법

모든 시민에게 중등학교 졸업 수준의 교육 기회 제공

경비는 연방정부 부담(90%) 이중 10~20%는 특별과제나 교사양성을 위해 사용

è 평생교육사 양성은 국가적 책임

3) 평생학습법(1976)

모든 시민들의 평생교육의 기회 마련

모든 성인교육 활동 포함

4) 사회교육의 구조

기존 연방정부 조직 상 보건, 교육, 복지부 속에 교육국 이었으나 교육부로 승격

운영 및 책임은 지방자치를 원칙으로 함

2. 영국

중앙정부, 지방교육 당국, 비정부기관 및 자원 단체로 사회 교육 조직 운영

1) 사회교육관계법규의 개관

1944 교육법 : 모든 국민의 교육받을 권리와 이를 위한 정부의 의무가 규정

1964 산업훈련법 + 1973 고용훈련법

국가 인력수급과 고용정책 일환으로 기술 및 기술훈련 사업 관계

1975 사회교육규정 : 교육법 근거

2) 교육과학부의 조직과 기능 (중앙정부 대표기구)

▷ 행정 업무

성인교육기관 직접보조

성인학생에 대한 학비보조

사회교육 지도자의 훈련 등

학교교육, 사회교육, 대학, 과학진흥, 체육, 레크레이션, 예술 등

3) 지방교육당국의 행정조직 및 업무











8장 평생교육의 세계적 동향

1. 유네스코 초기의 성인기초교육운동

슬로건 교육하는 일은 사람을 자유케 하는 일이다

성인기초교육의 제일차적 목표는 문해교육

- 많은 신생국가들이 그들에게 주어진 자유앞에 무기력한 상태

성인교육국을 두고 활동

- 문해교육과 농촌교육활동

- 일반성인교육활동 : 계속 학습, 책임있는 시민 양성

- 청소년 지도사업

2.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이념 보급 -> 3. 성인교육회의 참고

세계 평생교육운동의 중추적 지위

인간의 행복과 사회의 번영은 세계의 평화를 위한 위대한 과업을 수행하는데 선행

이것은 사람들의 삶의 의욕과 진보에 대한 각성을 통해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기술의 습득을 통해 이뤄진다.

3. 유네스코의 세계 성인교육회의

1) 1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Elsignor, 1949) 21개국 79

▶ 성인교육의 공헌 강조

- 민주주의 회복과 사회적 책임을 위한 시민적 자질 함양

- 사회,문화,경제적 적응 문제 해결

▶ 결론

▷ 목적

단순한 훈련과 수업의 기회 마련뿐 아니라 지적 관심과 사회적 자유와 관용의 분위기 마련, 개인이 시대의 문화생활 발달에 참여하기 위한 욕구와 능력 자극

▷ 과제

개인들의 경제,사회,정치적 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갖게 하는 동시에 그가 속해 있는 지역사회 안에서 조화롭고 협동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줌

2) 2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Montreal, 1960) 51개국 112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성인교육

▶강조

가속화된 경제,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발전도상국의 지역사회 개발과 기초성인교육 문제

▶ 성인교육의 역할

변화를 이해하고 변화에 적응 또는 변화를 조정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도움

▶ 의의 및 결론

매우 다양한 배경을 가진 대표들이 모여 성인 교육의 다양한 의견 교환

기술시대의 적응 -> 직업 기술교육의 필요성 강조 됨

3) 3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Tokyo, 1949) 85개국 400여명

▶ 특징

- 개도국의 참가 대폭 증가

- 성인교육이 국가교육체계의 중심부로 자리 옮김 시작

- 성인교육 개념에 공통적인 용어와 개념이 생기기 시작

- 교육권리 보장 강조

▶ 결론

통합적 평생교육체제 속에서의 성인교육의 지위 확립

4) 도쿄 회의(3차 회의) 이후의 발달

각 국 성인교육 관계법규 제정 또는 정비 사업 전개

전국적인 사회교육협회 및 기관의 형성과 발달

19차 유네스코 총회(Nairobi)성인교육발전을 위한 건의채택에 공헌

- 성인교육의 원리와 지표를 제시

- 교육의 민주화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통합

- 혜택받지 못한 집단에 대한 배려 (교육의 평등과 권리)

5) 4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Paris, 1985) 122개국 841

▶ 노력의 2가지 관점 제시

- 지식의 전달로 사회적 결속과 모든 사람의 진보를 가능하게 하는 일

- 세계 문제를 이해하며, 다른 배경과 특징을 상호 이해와 협조할 수 있게 하는 일

▶ 중점 논의 내용

- 정보자료 배포, 보급의 필요성

- 연구와 실험 강조

- 교육자료 작성과 소개

- 세미나와 워크샵 개최 권장

- 지역 간의 협력

- 성인교육 관계법이 국가적 수준에서 확인돼야 함

- 조정된 협동과 자원의 동원

è 의미는? 유네스코의 지원을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는 뜻인가?

- 배울 권리(The Right to Learn) 인정 -> 인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공헌

▶ 세계성인교육의 방향

개인의 자아실현의 기회를 보장하고 교육의 민주화와 인류의 공동복지 실현을 위한 세계사회건설

6) 5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Hamburg, 1997) 150개국 2,000여명

‘21세기의 열쇠가 되는 성인교육

비정부 성인교육기관 및 관계자들의 참여와 공헌 증대

정부기관과 비정부 기관간의 상호 건설적인 협력

4. 국제성인교육단체의 활동

1) 성인교육의 국제적 협력 증가

세계적인 수준의 평생교육 보급운동은 비정부국제기관들이다.

식량농업기구(FAO), 국제노동기구(ILO), 아동복지기금(UNICEF)

사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청소년▪성인교육을 활용

유네스코의 사업은 정보와 자료를 수집▪정리하여 보급

2) ASPBAE의 조직과 활동 (Aisa-South Pacific Bureau of Adult Education)

1964년 창설 아시아▪남태평양 사회교육기구

4개 지역으로 나뉘고 3년에 한번씩 전체회의 및 세미나

▷ 기능

- 비교적 낙후 상태에 있는 국가들의 사회교육사업을 기획 추진

- 사회교육지도자를 훈련

▷ 한국

1976년 사회교육협회 형성

19903지역에서 2지역으로 바뀜

3) ICAE의 조직과 활동 (International Council for Adult Education)

1972년 제3차 유네스코 세계성인교육회의에서 제창

1973년 국제성인교육협회 창설

1973 1차 회의 인간의 해방 즉, 발전의 목표

모든 발전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그 목적은 인간을 해방하는 일이다.

그러나 인간은 스스로 해방하며 (자유로워지며) 스스로 발전하는 것이다.”

- 탄자니아 대통령, ICAE 명예회장 쥴리어스 니에레레 -

1979년 선진국 주도, 온건 진보 -> 개도국 주도, 혁신적 노선 (민중교육운동 지향)

1982년 대중의 생활향상과 사회의 제도개혁을 목표로 하는 민주주의 운동 지향

▷ 의의

매우 다향한 배경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모여 조화와 질서를 유지하면서 무엇인가 하나의 공통적인 방향을 찾는데 성공

▷ 활동

17가지 관심사업분야, 지역 워크샵 개최, 뉴스레터 발간, 정보교환사업

4) PROAP의 모든 이를 위한 교육계획(APPEAL)

유네스코 아세아태평양지역사무국(Principal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Pacific)

모든 이를 위한 교육사업’(Asia Pacific Project of Education for All)













7장 평생교육과 성인교육

1. 사회교육과 성인교육

평생교육이 대부분 사회교육 또는 계속교육의 동의어로 받아들여지는 경향

사회교육 일제시대로부터 전해진 단순 행정용어로 학교교육 이외의 모든 교육 의미

▶ 관련 조직 명칭 변화

사회교육과 (일제시대)

-> 성인교육국 (1945~1948)

-> 성인교육과 (1955~)

-> 사회교육법 (1982) 제정으로 사회교육으로 완전 정착

▶ 여러 나라 사례

일본 (1988) : 사회교육국 -> 평생학습국

대만 (1992) : 사회교육 -> 성인교육

중국, 홍콩, 싱가포르 : 이미 성인교육 사용

한국만 사회교육으로 표기하고 있었음(2000년 기준)

2009년 현재 한국도 성인학습(adult education)을 사용

2. 성인교육의 과제

▶ 에서트(Essert) – 성인생활의 경험으로 삶의 질 향상과 행복, 사회의 진보 달성

▶ 인간은

이성적 동물로써 지식에 관한 교육, 가치에 대한 교육 필요

사회적 동물로써 사회화와 시민교육이 필요

▶ 성인교육의 내용 및 형태

- 문해 및 기초교육

- 인문교양교육

- 시민교육

- 직업 및 기술훈련

- 여가 및 취미 프로그램

현재는 직업, 기술, 여가, 취미 쪽 교육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음

è 협회에 각 분야별 소모임을 구성하는 것도 좋을 것 같음

[7-1 성인교육관계 개념구조] 참조

3. 인문교양교육의 과제

1) 인문교양교육(liberal education)의 의의

자유인의 교육’, ‘자유를 위한 교육에서 유래

진정한 자유인 : 지성과 양심을 갖춘 사람, 자기 운명의 주인

- 인생의 목표가 있고

- 가치 기준을 확립하고

- 다른 사람과 더불어 조화롭게 살아갈 줄 아는

배우는 그 자체를 즐기며 스스로 자기 자신을 충실히 하는 교육

성인교육의 중핵

민주주의 사회에 있어서 개인의 가장 핵심적인 교육과정

미국

general education(1944) ‘자유사회에서의 책임 있는 시민을 위한 교육

4년제 대학을 인문대학이라 부르며 학부가 인문교육을 목표로 교육하고 있다는 뜻

한국 ≈ 교양교육 -> 대학별 교양교육과정으로 정착

2) 인문교양교육의 내용

다양한 교육 내용을 포괄 (철학, 종교, 생물학, 심리학, 역사, 사회, 자연, 우주 등)

인문교육을 기초로 생활과 직업에 맞는 프로그램과 취미활동이 이뤄져야 바람직하다.

3) 아들러의 인문교육 모형 (Paideia Proposal)

조직적 지식 습득 -> 지적기술, 학습 기술 발달 -> 사상과 가치에 대한 이해 확대

[7-3 Adler의 인문교육 모형] 참조

4. 문해교육의 과제

1) 문해 및 성인기초교육의 의의

글을 모르는 사람은 반드시 무능력자도 아니며 비인격자도 아니다.

그들은 우수한 기억력을 소유하였다. 단지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했을 뿐이다.

▶ 현재 한국은

초등학교나 중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이라도 계속 글을 읽고 쓰는 문화적 환경과 기회가 주어지지 못하는 시스템으로 국민의 평생교육권리 찾아 문해교육 및 성인기초교육 정책에 우선 반영되어야 할 부분

▶ 미국 성인교육법 목적

- 언어 능력의 제한을 극복 (문해교육)

- 직업훈련과 고용에 필요한 기초 교육 증진 (기초교육)

- 생산적이고 책임있는 시민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 (시민교육)

중학교 졸업수준까지 학습 지속 협조, 전국 모든 학구에 성인학교 설치

2) 문해교육의 현황

최근 증가하는 문해교육기관은 정부의 지원, 지도 및 통제가 약한 자원단체와 사설학원

문제점 - 교육과정의 표준화, 학습자료의 전문화, 교사의 자질

3) 산업선진국의 문해교육사업

공통적으로 비문해자들이 방치된 상태에서는 그 나라의 민주주의 제도나 산업화 과정에서 보장된 기회균등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

è 산업화 과정과 기회균등의 관계는?

4) 문해의 기준과 조사방법

표준화된 기준이 없어 조사 시 기준에 따라 다름. , 비교는 어려움

최근(2000) 한국 국민 15세 이상 인구 중 30%가 생활(기능) 비문해자

※ 산업화 사회의 문해개념

: 현재 자신이 속해 사는 사회 안에서 문화를 이해할 뿐 아니라 직업적, 사회적 적응에 있어서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의사소통능력

5. 삶의 질을 위한 성인 교육

1) ‘삶의 질에 관한 개념

두 가지 접근방법

- 사회적 차원 : 생활수준 (생활환경 및 조건개선)

- 개인적 차원 : 생활방식의 우수성 (인문교육, 시민교육, 환경교육)

※ 삶의 질 : 보다 행복한 삶, 보다 가치로운 삶을 위한 기준과 만족에 관계되는 비교적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식

※ 유네스코 정의 : 사회복리수준과 인간의 필요충족 및 만족성에 관계되는 개념

2) 삶의 질과 교육 목표

목표는 인간의 내부적 성취 가치

과학에 밀려 인간의 정신적, 심리적 가치를 소홀히 한 현대교육의 중요한 학습목표

- 근면과 열성

- 지식에 대한 존경과 학문적 노력

- 성실성과 도덕성

- 조화와 평등을 위한 관용

- 지역사회와 국민에 대한 시민적 충성

3) 성인교육 계획

삶의 영역(5가지)에 따라 <7-6> 성인교육의 방향과 내용

- 생물학적 : 생존

- 사회적 : 조화와 진보

- 경제적 여건

- 인간적 영역 : 행복감, 내적 조화, 정신적 성취

- 환경 영역 : 자연과 인위의 환경

활동전개는 자기학습, 참여학습, 집단활동의 방법이 바람직

삶의 질을 위한 교육은 개인적 지표인 인문,시민,환경교육에서 보다 전문적 계획 필요











6장 평생교육 제도와 정책

1. 교육제도의 개혁방향

▶ 다베(Dave, 1973)

평생교육의 20개 개념특징 중 핵심 4가지

▷ 총체성 (totality) : 제도의 범위를 확장 + 가치와 지위 인정

▷ 통합성 (integration) : 횡적/종적 통합, 기능적 통합

▷ 유연성 (flexibility) : 학습자의 요구와 조건에 적응

▷ 민주성 (democratization) : 만인에게 공평한 교육

2. 평생교육제도의 유형

국가통제와 교육비를 축으로 4가지로 유형 분류

현실의 제도는 혼합적 복합적인 특성

1) 통제모형 (국가통제 강, 교육비 사부담)

운영은 국가에서 완전 지배하나

교육비는 해로운 교육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한다는논리로 사부담

Ex) 한국

2) 사회주의모형 (국가통제 강, 교육비 공부담)

정치학습≈ 사회주의 이념교육

사회주의모형으로부터 점진적으로 통제모형으로 접근

Ex) 구소련, 중국, 베트남 등

3) 복지모형 (국가통제 약, 교육비 공부담)

사상적 토대는 평등주의

교육목적은 국가주의를 지향하지 않고 개인의 자아실현에 중점

Ex)북유럽

4) 시장모형 (국가통제 약, 교육비 사부담)

사상적 기초는 개인주의, 교육을 개인적 활동으로 인식

시장경제원리, 수요공급 원칙 따라 거래

교육제도는 교육의 자유로운 수요공급을 보호하는 것

Ex)없음 (자본과 교육의 관계는 교육학의 핵심적 화두 중 하나)

3. 법령과 행정구조

1) 법령

▶평생교육법(1999년 제정)

학교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활동으로 규정

▷ 특징

- 평생교육 체제의 구축

- 국민의 학습권과 학습자의 선택권 최대한 보장

- 지역사회학교와 평생교육 지역정보센터 등 네트워크 형성

- 평생교육전문요원 제도 개편

- 원격교육 지원체제 구축

- 인력개발 사업 육성 : 직업교육훈련, 직업능력 인증제 도입

▶ 평생교육관련법규 (2000년 기준)

2) 행정제도 (2000년 기준)

중앙의 평생교육행정 장관, 차관, 각 실과 국

지방의 평생교육행정 교육감, 부교육감, 교육국, 기회관리국

평생교육사

평생교육시설 - 14개로 기관별 유형별 분류 è 분류 기준이 뭘까? 각 구분 정의는?

학습지원제도 학습 휴가 및 학습비 지원 조항

4. 학습인증제도

1) 학력, 자격, 경험학습

학력 - 한국에서 개인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 사회생활의 핵심요인으로 작용

한 개인을 판단하는 지표로는 합리적이지 못 함 -> 자격

자격 개인이 실제로 가지고 있는 능력 -> 자격인증 제도(능력주의)

능력주의는 직업 자격이 얼마나 정확하게 직무 능력을 나타내고

습득기회가 얼마나 균등하게 제공되는가로 실현될 수 있다.

경험학습 학력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대책임과 동시에 더욱 강화하는 위험도 있음

2) 학점은행제와 교육계좌제

▶ 학점은행제

- 국민의 평생학습권을 실질적으로 보호, 국가적 학습사회 구현

- 자기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기회 확대

- 교육기관들간의 연계단절

- 통제지향에서 지원과 조장 지향 교육체제로 전환

▶ 교육계좌제 취업자의 계속교육을 촉진, 국민종합교육학습기록부

3) 직업능력인증제 직장인이 갖추어야 할 직업능력들에 대한 각 종 자격증 제도







제3장 거리의 모티브 : 원격교육의 언어적 의미와 정의



1. 화두

교실이란 학자가 적고 책이 귀하던 시절, 오직 귀족 자제만이 교육의 대상이 었을 때 고안된 전달체계이다. 학습은 평생계속된다. 커뮤니케이션 매체도 날로 발전한다. 그래서 교육의 전달체계도 변화하게 된다. 이는 ‘거리’를 두고 교육이 가능해 진 것이다.



2. 통신교육에서 원격교육으로

1970년

스위스 원격교육 학자 홈버그(Holmberg)가 사용한 독일어를 마이클무어(Michael G. Moore)가 번역해 최초 사용 이전에는 텔레마틱교육, 외부학습 등 실험적으로 이용

1972년

국제통신교육협회(ICCE: International Council for Correspondence Education)에서 공식적으로 원격교육이란 용어 소개

1982년

ICCE가 ICDE(International Council for Distance Education)로 명칭을 변경하며 원격교육 용어 공식화 (원격교육 : 소통매체를 이용하는 교육의 가장 포괄적 지칭)



3. 원거리 교육

‘거리’란 작게는 공간적 거리와 크게는 교육기회로부터의 거리가 될 수 있다.

==> 공간을 포함하는 교육기회

원격교육의 존재이유(철학적 바탕)는 거리의 완화 혹은 제거다.

정당화 논리의 핵심은 교육기회의 민주화로 귀착된다.



4. 교류적 거리

교육활동에서 중요한 것은 교수자와 학습자간 심리적 거리다.

교류적 거리(Transactional distance) 개념 - 마이클 무어

‘구조’와 ‘대화’의 함수관계로 결정

구조 structure : 교수 프로그램이 개인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정도

대화 dialogue : 학습자와 교수자 간의 상호작용을 허용하는 정도

구조화가 높고 대화거리감이 낮을 때 교류거리는 가장 높다.

이 이론의 시도는 일반적인 교육활동의 연장선에서 조망해 보는 것 이었으며 교실 교육프로그램의 분류에도 적용이 가능 (p.57 그림 3-3 참조)



5. 학습자의 자율성

원격교육을 주창하는 이면에는 학습자의 자율성에 대한 전제가 암묵적으로 깔려 있다.

교수자로부터 상당한 물리적․심리적 거리를 둔 학습이 자율적 수행가능하게 하고 원격교육이 성인학습자를 주 대상으로 삼아 온 배경과도 관련된다.

대부분 원격교육 관계자들은 상호작용에 지나친 관심을 두어왔다. 진정 원격학습자들은 빈번한 상호작용을 원할까? 이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더 많은 겉이 더 좋은 것은 아니다.

원격교육의 참여동기는 ‘시간통제’에 있기 때문에 자신이 계획 이상의 학습활동 시간은 부담스러운 것이다. 이는 학습자들의 자율성에 대한 기대가 높고 거리의 의미가 극복이 아닌 ‘존중’되어야할 의미를 가지게 된다.



종합하면

원격교육의 거리는 부정적으론 교육기회를 막는 장애이며 중성적으론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이고 긍정적으론 학습자의 자율성을 위한 여지를 의미한다.








제4장 원격교육 생산방식 : 원격교육 설계, 개발

1. 화두

구술수업은 산업화 이전의 교육방식이다. 전통적 수업이 새로운 교육에 저항하는 이유다.

==> 전통적수업과 새로운 교육방법은 전혀 다른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구두 한 켤레를 생산하는데 얼마나 효율적인가를 알려고 구두 수공업자와 신발공장을 비교하지는 않을 것이다.”(Peters, 1971)

오토 피터스(Otto Peters)는 원격교수의 생산양식에 주목하여 독자성을 강조하며 가장 산업화된 양태의 수업

2. 산업화 양식

산업화란 상품이 사전에 기획되고 분화된 노동의 전문가가 협업하여 생산, 대량복제되어

대중에게 소비되고 그 질이 중앙 생산본부에 의해 관리되는 체계

교육의 산업화 논리는 비판을 받는다. 일종의 정서적 알레르기 반응이다.

1. 비유의 적절성

2. 전통적 교육과 원격교육의 차이를 과장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

원격교육은 산업사회의 도래와 거의 동시에 출발했고 산업화 생산양식이 교육에 적용된 것으로 전통적 교육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이에 대한 반론은 교육계가 ‘산업화’와 ‘교육’의 영역을 결부시켜 이해하는 것에 대한 정서적 저항이라 하겠다.

그럼 어떤 정서적 가치가 적용되는 것일까?

3. 문자수업

전통적 수업은 구술문화였다. 당시 소크라테스는 ‘책’이라는 매체가 등장함으로써

인간이 깊게 생각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교실수업은 주로 ‘구술성’(orality)에 의존하며 소규모 집단을 기반으로 하고

원격수업(통신수업)은 문자성(literacy)에 의존하고 다수의 대중을 염두에 둔 것이다.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에 의해 소통구조의 차이가 있다.

구술수업은 전통적인 교사-학생의 역할과 그 역할규정에 의한 ‘관계’를

원격수업은 소통의 ‘내용’과 ‘매체’의 규칙에 의해 더 많이 지배된다.

즉, 산업화 교육을 이해하기위해서는 ‘소통’의 가치변화를 이해해야 한다.

4. 코스 팀 모델

다양한 교육용 매체(오디오․비디오․TV․책 등)를 ‘세트’로 원격학습자에게 전달

이런 세트를 ‘코스패키지’라 부르고

코스패키지를 개발하는 과정을 ‘코스 개발’이라하고

코스개발은 대개 ‘코스 팀’이 분업을 통한 협동 작업

왜 ‘코스 팀’일까?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해 질적으로 우수한 코스 개발이 가능

코스팀의 성공여부는 팀웍인 ‘인간관계’에 있다.

개발과정

코스 전체 윤곽잡기 -> 매체 선택 -> 개발 및 생산 -> 코스 전달

5. 후기 산업화 양식

산업화 양식 Fordism

개발은 과제별로 세분화, 관리는 중앙, 다수 대상 규모의 경제 추구,

네오 포디즘 neo-Fordism

개발은 과제별로 세분화, 관리는 중앙과 지방 모두, 전달은 지역단위 특성 감안

교수자는 교재 전달까지만 책임

후기 산업화 양식 post-Fordism

개발은 학습자의 요구에 맞추어 과정, 전달을 변경

기존 코스 페키지 생산보다 학습자의 관리에 초점,

소수의 특정 분야에 관심 있는 학습자 대상

교수자는 코스의 개발, 전달, 관리 전 과정에 관여하며 책임

소비자가 직․간접적으로 참여해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이 핵심적 성공요인이다.

-> 원격교육은 여전히 교실수업을 모형으로 한다.

6. ISD 모델(Instructional Systems Design)

행동주의 심리학, 커뮤니케이션, 정보처리이론 등 이론을 기반으로 수업의 조직적이고 체계적 설계 접근 모델

ISD 모델 중 가장 많이 알려진 ADDIE모형의 단계

분석 Analysis -> 설계 Design -> 개발 Development -> 실행 Implementation -> 평가 Evaluation

7. 저작도구

최근에는 ISD의 조직적 접근이 아닌 교수자 일인 제작 시스템인 저작도구(authoring tool, authoware) 발전

저작도구는 하이퍼텍스트나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하도록 도와준다.

8. 교수행위의 복제 가능성

과거에 대중을 대상으로 어느 곳에서나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을 어떻게 전망할 수 있었을까?

그것은 오락산업의 발달을 보고 예상했을 것이다.

기술매체의 활용을 통해 연극이나 극예술 공연과는 달리 영화는 대중이 향유할 수 있는 형태로 복제가 가능했다는 점이다.

(p.85 표4-5 교육구조의 역사적 진화)

원격교육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의 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 현명함에 철저하면서

기술매체 이용에 적응해야 하는 것이다.







제2장 하퍼의 두통 : 원격교육의 역사

1. 화두

전통적교육의 교수자들은 왜 원격교육에 끊임없는 의심과 반발을 하는가?

2. 하퍼의 진정성 (원격교육의 발생배경과 필요성)

배우고 싶으나 여건이 허락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교육자가 다가갈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걸 외면하는 것은 옳지 않다. 는 것

학습자의 필요에 의해 부응하려는 하퍼의 진정성이다.

3. 정당성

대학교육은 소수 엘리트에게만 적합한 것이라는 사회전체의 분위기와 문화에 연유한 계급적 성격이 장애가 된다.

당시 교수들은 표면적으론 학문적이유로 효과성과 질로 반대했다.

4. 효과성

19세기부터 21세기까지 효과성과 질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이는 주로 학습자에 대한 3가지 기준으로 측정된다.

1) 학업성취도 2) 태도 3) 만족도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 없음’으로 요약된다.

50년 라디오, 60년 텔레비전 등 새로운 매체가 등장할 때 마다 측정하지만 학습효과는 늘 ‘유의미한 차이 없음’으로 귀결된다.

새로운 기술은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효과성 연구는 정책자료와 밀접하다. 정책은 경제와 관련되고 경제는 테크놀러지와 시설확보 투자와 연결되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다.

==> 이런 암묵적 관계성으로 인해 효율성이 홀대되는 것은 아닐까

그러나 매체는 수업을 전달하는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학업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오직 그 매체의 내용물뿐이다.

5. 교수진 쟁점 (비협조적인 전통적 교수진 관점)

1) 직위에 대하 자의식과 관련하여 누가 ‘진정한’ 교수인가

2) 직업 안정성의 위협 (신분의 위협)

3) 업무부담 (증가되는 업무에 대한 적절한 보상체계 없음)

- 원견교수는 의무이자 권리로 인식되기보다 선택과 봉사로 인식

6. 교수자 연구는 크게 두 종류

1) 교수자 역할에 관해

2) 교육기관과 정책적․제도적 문제와 관련

지금까지 이 연구들 대부분은 앞서 말한 쟁점들을 반복 설명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전통적 대학의 교수들의 인식은 100년이 지난 지금도 진보는커녕 변화의 흔적도 없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