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주도 5개 집단...스마트 모빌리언, 얼리 어답터, 프리미어 소비자, 골드 시니어, 알파맘
예병일이 노트지기의 다른 글 보기2010년 12월 29일 수요일
한국방송광고공사(코바코)는 29일 2010년 소비자행태조사(MCR) 결과를 토대로 국내 시장을 주도하는 5개의 주요 소비 집단을 도출해 공개했다.
스마트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스마트 모빌리언' 집단, 신상품 구매 의지가 높은 `얼리 어답터' 집단, 부유한 상위 계층인 `프리미어 소비자' 집단, 은퇴했지만 재력을 갖춘 `골드 시니어' 집단, 그리고 성취욕구와 함께 다방면에 관심이 많은 `알파맘' 집단 등이 그것.
'2011년 소비 주도할 파워집단은' 중에서 (연합뉴스, 2010.12.29)
스마트 모빌리언, 얼리 어답터, 프리미어 소비자, 골드 시니어, 알파맘... 한국시장을 주도하는 주요 소비집단 5개의 리스트입니다.
연말에 나오는 이런 분석자료는 커다란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번 리포트는 한국방송광고공사가 정리했군요.
우선 스마트 모빌리언 집단. 이들은 꼭 갖고 싶은 물건은 가격에 관계 없이 구매하는 강한 소비욕구가 있고 스마트 기기등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익숙합니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4대6, 13~29세까지가 51.7%를 차지했으며, 학생 계층이 30%로 가장 많았습니다.
두번째 얼리 어답터 집단은 신제품 구매성향이 높고 신제품 정보를 널리 전파하려는 욕구도 강한 계층입니다. 남성과 여성의 비율은 6대4이고, 20대가 30%로 가장 많았습니다. 주로 학생과 일반 사무직 근로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번째 프리미어 소비자는 한국사회를 이끄는 상위 5% 집단으로, 높은 소득수준과 사회적 지위를 갖고 있닥도 합니다. 연평균 가구 소득이 1억원 이상이며 인구의 4.3%를 차지했습니다. 남성과 여성 비율은 5.5대4.5이고, 50대 이상으로 사무직 비중이 높았습니다.
네번째 골드 시니어 집단은 50세 이상으로 건강과 노후에 대한 관심이 높고 사회공헌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전체의 5% 정도를 차지했고 생활가전과 아파트, 자동차 등에 대한 관심이 컸습니다.
다섯번째 알파맘 집단은 가계의 소비주체인 기혼여성 중 직장생활을 하는 소비자 집단입니다. 일을 중시하며, 자녀의 교육에 적극적이고, 패션이나 유행에도 민감했습니다.
한국의 소비시장을 주도하는 5개 집단인 스마트 모빌리언, 얼리 어답터, 프리미어 소비자, 골드 시니어, 알파맘... 한국시장의 파악과 한국경제 이해를 위해 기억하면 좋을 개념들입니다.





'paran 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  (0) 2011.01.06
기적의 단식  (0) 2011.01.04
시간경영의 시작, 할 일을 미루지 않는 것  (0) 2011.01.04
[성인학습 및 상담] 제7장 성인학습 과정론  (3) 2010.12.26
클라우드  (0) 2010.12.07



시간경영의 시작, 할 일을 미루지 않는 것
예병일이 노트지기의 다른 글 보기2010년 12월 31일 금요일
때로 어떤 일을 실행에 옮기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은 그것을 하기로 마음먹는 일이다. 어느 날 아침, 나는 마흔여덟 개의 단어가 포함된, 작성하는 데 45초밖에 걸리지 않은 이메일 한통을 봬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했다. 하지만 그것은 두 주 이상이나 내 마음 속에 큰 짐으로 자리 잡고 있던 일이었다. 이렇게 미뤄놓은 일들은 비정상적으로 사람의 기운을 소진시킨다. (69p)
그레첸 루빈 지음, 전행선 옮김 '무조건 행복할 것 - 1년 열두 달, 내 인생을 긍정하는 48가지 방법' 중에서 (21세기북스(북이십일))
2010년도 저물어갑니다. 한 살 한 살 더 먹을 수록, 시간은 더 빨리 흘러가는 듯 느껴집니다. '시간경영'의 중요성이 더욱 다가오는 이유입니다.
성공적인 시간경영은 할 일을 미루지 않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미루는 것은 고치기 쉬운 것같지만 가장 어려운 우리들의 잘못된 습관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저런 이유를 대며 할 일들을 일단 미루어 놓습니다. 그랬다가 정말 피할 수 없는, 긴박한 것들은 데드라인에 임박해 급하게 처리합니다. 피할 수 있는 것들은, 계속 미룰 수 있는 것들은 그냥 미뤄놓은채로 놓아둡니다. '중요'한 일이라도 '급박'하지 않다면 머릿속에서만 맴돌지요. 그리고는 죄책감이나 부담감으로 힘들어 합니다.
해야할 일이 있다면, 일단 그것을 하기로 마음먹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록으로 적어보고 그 중 몇개를 정해 끈질기게 처리해나가는 겁니다. 오래 미뤄놓은 일들을 처리해나가면 기분도 좋아지지요. 이런 작은 성공은 커다란 성취로 이끄는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올 한 해, 만족스럽게 보내셨는지요. 새해에는 할 일을 미루지 않는, 시간경영에 성공하는 경제노트 가족이 되시기를 기원합니다. 2011년 새해에도 건강하시고, 복 많이 받으세요.

근래 엄청난 일의 양 속에서 미뤄지는 일들이 많아 마음이 답답했는데...

저의 미루기를 다시 한번 꼬집어 주는 글이 아닌가 싶습니다. ^^

미루지 말자 !!

실행으로 얻은 성공의 기쁨을 만끽하자!!

다시 다짐해 봅니다.





'paran 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적의 단식  (0) 2011.01.04
소비주도 5개 집단  (0) 2011.01.04
[성인학습 및 상담] 제7장 성인학습 과정론  (3) 2010.12.26
클라우드  (0) 2010.12.07
절대 균형  (0) 2010.12.02



1. 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1) 개념

한 집단 내에서의 어떤 문제나 요청에 대하여 자유롭고도 제한 없는 의견 또는 대안의 교환하는 것으로 한 의견이 다른 의견을 불러일으키는 암시 역할을 하여 연속된 의견 속에서 기발한 아이디어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방법

(2) 특성

토의방법은 비형식적, 자유로운 발표

구성원에게 어떠한 제약도 없다. (가능한 많은 내용이 나오도록 유도)

집단 사기와 단결심 높임

(3) 유의사항

집단 구성원들끼리 잘 알고 자유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

구성원 모두가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함

사회적 지위 무시, 각자의 아이디어는 모두 가치 있다고 전제 함 (ex 새마을 운동)

장기적 융통성 있게 결론을 내릴 주제가 좋음

토론 시간은 40~60분 정도

장소는 자유롭고 진지하게 토의할 곳

그밖에

사회자는 논제 정확히 숙지, 기록자 선출(1~2명), 아이디어 표출 최대 보장, 모두가 발언할 수 있는 규칙과 기준을 세우고 토론, 최종적으로는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참가자는 주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비평과 논쟁, 의심을 하지 않으며 상대방에 대한 격려 등을 해야 함

2. 역할연기(Role Playing)

(1) 개념

소집단원에게 개인별로 다른 역할을 주고 인간관계의 일반적 어떤 상황에서 서로 협의하여 어떤 결정을 하게 함으로써 다른 역할을 맡은 사람들과 원만한 타협을 보도록 하는 기법

(2) 특성

적극적 참여를 마련한다.

집단성원간의 친근감을 증대 시킨다.

융통성이 있는 연습이 가능하며 연습자체가 교육효과를 나타내기도 한다.

참여자의 흥미를 유발한다.

역할연기자는 변장으로 심리적 억압을 풀 수 있다.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역할연기가 결론을 목적으로 하면 비효과적 방법이 될 수 도 있다.

효과적인 역할연기 장면은 짧다.

부적격자가 배역을 받으면 비효과적이다.

답이 하나밖에 없을 경우엔 효과가 없다.

(3) 유의사항

역할극의 해야할 내용을 일정하게 한정화 시킨다.

참여자의 의사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배역을 결정한다.

역할 담당자의 임무를 명백히 하나 역할수행은 미리 연습될 수 없다.

그 집단이 상황과 방향을 분석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지면 중단한다.

토론은 역할연기자에 대한 내용보다 ‘나타난 사실’이나 ‘원칙’에 초점을 둔다.

3. 감수성 훈련 (Sensitivity training)

(1) 개념

20~30명의 소집단원에게 감정을 소통시킬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그 상황에서 피교육자가 어떻게 처신하고 행동하는지 살피면서 스스로 반성하고 평가, 결심하여 생활에 적응하도록 훈련하는 일종의 임상심리치료 방법

인간 심성 변화를 위한 교육 중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2) 특성

10~15명 소집단 형성하는 것이 좋다.

참가자 특성은 이질적인 성향일수록 효과적이다.

화제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고 계획도 꽉 짜여있지 않다.

참여자의 자유로운 감정표현을 보장해야 한다.

1~2주 동안 집중적이고 지속적으로 시행한다.

전문가가 필요하다.

(3) 유의사항

시간적 여유가 필요하다.

참여자 간 문화적 독립성을 가진 경험자일수로 좋다.

변화의 저항이나 폐쇄적 태도를 버리도록 한다.

훈련지도자는 표면에 나타나지 않고 비회원이면 더 바람직하다.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일이 화제가 되어야 한다.

상황에 대하여 노골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상대의 기분과 언어를 정확히 이해하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

4. 연시방법(Demonstrative Method)

(1) 개념

새로운 정보 또는 기술을 적용하는 과정을 피교육자가 직접 관찰하여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선택하는 방법

피교육자가 과정과 결과를 직접 보고 평가하기 때문에 평생교육방법 중 가장 실증적이다.

▶ 종류

- 방법연시 : 단계적 행동을 설명하면서 하나하나 보여주는 방법

- 결과연시 : 보일 수 있거나 들리거나 느낄 수 있는 증거를 직접 보여주는 방법

(2) 특성

재미있고 쉽게 이해된다.

교육에 대해 피교유자 스스로 확신한다.

지식의 실제적 적용을 보여준다.

지역적 수준 특성을 제시한다.

상당한 시간과 경비가 소모된다.

(3) 유의사항

효과적 과정을 위해 훌륭한 연시자가 필요하다.

특정 조건의 교육상황에서만 가능하다.

장소는 지역을 대표하거나 문제가 있는 지역에서 실시한다.

연시 사전에 연시에 대한 설명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5. 현장견학

(1) 개념

한 집단이 특별한 목적으로 현장을 방문 목격하여 배우고 확인하는 행동

근본 취지는 실제 있는 그대로의 활동‧기술 등을 관찰하는데 있음

(2) 특성

새로운 경험과 정보획득의 기회 마련해 준다.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있어야 한다.

피교육자의 흥미와 관찰력을 자극한다.

행함으로써 배우는 기회 제공한다.

배운 그대로 이용 가능하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요소 제공한다.

직접 관찰을 통해 쉽게 이해한다.

참여자간 협동사업 가능하다.

(3) 유의사항

1) 현장학습 계획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계획을 세울 때에는 피교육자의 참여하에 수립이 효과적이다.

사전에 현장 책임자의 참여 요청해야 한다.

2) 견학의 실시

집단 규모가 큰 경우 리더를 배치해 소집단으로 견학한다.

피교육자의 신체적 편의 고려한다.

6. 시청각 교육방법

(1) 시청각 교육의 의의

1) 시청각 교육의 개념

영국의 Aoudio-Visul Education의 번역어로 6.25사변을 전후로 사용

교과서 위주의 언어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출발하여 언어적 추상적 경험에 대하여 비언어적 구체적 경험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쓰여진, 그리고 인쇄된 언어 이외의 보다 구체적인 시청각 교재나 교구를 가지고 사람의 감각에 호소함으로써 학습의 성과를 더욱 능률적으로 거두려는 교육방법」이라 하였다.

이후 시청각 교육이 통신과 결합하여 「학습과정을 통제하는 각종 메시지의 고안과 사용을 주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론과 실천의 한 분야」인 시청각 통신으로 발전하였고

현 시청각 교육이라 함은

「시청각 자료를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학습과정을 효과있게 해주는 것이다.」라고 하겠다.

2) 시청각 교육의 의의

가. 시청각 학습의 의의

전혀 생소한 학습상태에 부딪쳤을 때 (구체적 Image가 없는 상태)에 효과적인 학습

언어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 올바르게 이끌 수 있음

복잡 다양한 현대사회에 개념형성의 힘과 일반화의 능력을 길러줌

나. 시청각 자료의 의의

생생하고 구체적인 경험을 줌

동기를 유발하여 자발적인 학습활동을 자극하고 학습결과의 지속성에 기여

정확한 사고와 그 사고의 발전을 도움

바람직한 인성과 태도 형성과 현대사회에 적응에 도움

다. 시청각 교육의 가치

개념 형성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한 위치 차지

학습경험 내용을 풍부하게, 활동을 활발하게, 목표 명확히, 흥미 유발 등

(2) 시청각 교육의 제이론

1) 호오반(Hoban)의 교육과정의 시각화

1937년 처음으로 시청각 교육의 이론체계 기틀 마련

교육의 목적은 경험의 일반화에 있음

언어와 실 경험의 양극을 잘 조절하여 반구체적이며, 반추상적인 교재를 의미있게 제공함으로써 교육이 실제적으로 이루어 짐.

말, 도표, 지도, 슬라이드, 입체도, 영화, 표본, 실물, 전체장면으로 나열하여 추상적에서 구체적 순으로 배열 설명

2) 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

‘경험의 삼각추’ 제창, 교육의 목적은 개념의 형성

개념형성의 기초로서 풍부한 경험이 필요하며 그 경험을 단계별로 도식화

시청각 교재의 상호관계를 도식화한 것에 지나지 않음

언어적 상징

11

상징(추상)적 영역

시청각 상징

10

라디오 사진 레코드

9

영화

TV, 영화

7‧8

관찰적 영역

전시

전시

6

견학여행

견학여행

5

연시

연시

4

극화경험

극화경험

3

행동적 영역

구성된 경험

구성된 경험

2

직접적‧목적적 경험

직접적‧목적적 경험

1

(경험의 삼각주)

(경험의 원추)

그림1. 경험의 원추형

3) 올센(Olsen)의 시청각 자료

학교와 사회를 연결하는 교량으로써의 현실을 기계적 조작에 의해 변형, 편집하여 제시하는 대리경험을 위한 학습자료로 규정

대리학습은 ‘상징화’와 ‘재현’으로 나눌 수 있음.

시청각 자료는 학습지도를 위한 보조물로 이용되어지며 교육의 대용물은 아님

4) 킨더(Kinder)의 시청각 자료와 기술

학습의 목적은 개념형성에 있고 그 과정과 피교육자의 발달단계에 알맞게 시청각적인 자료를 제시해야 함

감각, 지각, 기억, 심상‧상상, 사고, 개념, 추리‧사고 순으로 단순 직접에서 복잡 간접으로 단계화 하여 학습과정을 도식화

(3) 시청각 교육의 제한점

1) 학습문제를 추상적과 구체성으로 단순화시키는 문제다.

시청각 자료의 활용은 학습과정에 대한 지식을 토대로 하여 이해되고 실천되어야 함

2) 학습지도는 일반적으로 교육목적 달성에 필요한 경험의 선택, 조직, 제시이다.

기술성에 현혹되어 교육의 목표 및 근본 문제를 파악하지 못하면 안 됨

3) 언어의 문제가 단순히 추상과 구체의 차원에만 다루어질 수 없더,

언어만의 적절한 사용도 학습지도에 중요하며 추상과 구체의 적절한 조합 필요

4) 통신교육의 기계적 사용은 효과를 보장하지 않는다.

새로운 기술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바탕으로 지도해야 함

5) 학습심리학이 빠른 속도로 교육현장에 응용되고 있다.

프로그램 학습, 자동수업, 작동적 조건화 등 인간 학습에 응용

(4) 시청각 교육의 종류와 활용

1) 시각 교구

가. 칠판

나. 융판 : 교재물을 임의로 붙였다 떼었다 함으로 활용

다. 괘도 : 간략화, 계통화하여 알기 쉽게 분류 정리, 대조‧대비‧요약‧설명의 보조자료

라. 실물 : 현장교재를 자원으로 현장학습 효과 볼 수 있음

마. 모형 : 실물로 관찰이 어려운 경우나 복잡한 경우 중요한 부분만 작게 단순화 함

종류로는 단면모형(내부관찰), 조립모형(전체나 부분 상호관계 이해), Mock-up(필요한 부문만 실물과 동일하게), 활모형(실물과 동일하게) 등이 있음

바. 슬라이드 및 환등기 : 움직이지 않는 화면을 확대하여 다수가 동시 관찰

종류 - 투사 환등기(OHP : Over Head Projector), 실물환등기(Opaque Projector)

2) 시청각 교구

가. 교육영화 : 암실성, 연결성, 극화성으로 피교육자의 몰입도 높아 효과적

나. VTR(Video Tape Recorder) : 찰영카메라 + 녹화기 + 모니터용 TV => VTR셋트

기록재생성, 반사반영성, 즉시성, 보존성, 반복성, 분배성등의 특징이 있음

종류는 녹화테이프 폭, 자가헤드 상태, 외형상 등으로 분류 됨

3) 청각 교구 : 라디오, 카세트테이프

9. 문제해결식 방법

(1) 문제

1) 구성요소

가. 내적욕구인 ‘동기’ 혹은 외적 요구인 ‘필요성’

나. ‘목표’ 설정 또는 결과의 성취

다. 동기와 목표간의 ‘장애’ 발생

2) 사고의 기능

사고란(Thinking) 「인간의 두뇌를 쉴 사이 없이 통과하는 관념」으로 흡수력(감지 전달), 기억력(보존 재생), 추리력(분석 판단), 상상력(생산)의 기능을 가진다.

3) 발생형태 및 유형

가. 형태 (발생원인에 따라)

- 부여되는 문제 : 제3자로부터 발생하는 경우

- 부닥치는 문제 : 운명적, 우연적으로 불가피하게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

- 발견 혹은 자작하는 문제 : 스스로 문제를 찾아내는 경우

나. 유형 (성질에 따라)

- 이론적 문제(논리적 문제) : 논리적 절차에 의해서만 해결되며 답안이 정해져 있음

- 창조적 문제 : 상상력에 의하여 다양한 방안으로 해결 가능

4) 해결의 제 종류

가. 본능적 해결 : 자연스럽게 해결되는 경우와 선천적인 행동이 수반되는 경우로 해결

나. 실습에 의한 문제해결 : 기계적‧반복적(고착)행위에 의해 우연히 해결

다. 시행착오적 문제해결 : 목적 발견을 위해 가능한 방법을 반복하다가 우연히 해결

라. 통찰적 문제해결 : 종합적 판단력과 직관적 통찰력이 작용하여 추리 판단 해결

마. 대행적 문제해결 : 본래의 난점을 다른 대상으로 해소시키는 것

바. 과학적 문제해결 : 정보를 수집 검토, 분석, 종합하여 합리적 근원적 해결

(2) 문제 해결식 방법

1) 의의

집단을 통해 주어진 문제상황을 분석 검토하여 어떤 원리원칙을 적용, 집단 스스로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을 발견 제시하게 함으로써 학습성과를 얻는 교육방법

2) 특성

가. 학습의 전이(Transfer of Learning)

학습자들이 이전에 경함한 것을 토대로 동일한 종류의 새로운 환경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으로 교육자는 문제해결 환경을 조작하는 일이 매우 중요

나. 의지의 개재(열의있는 반응 : Emotional Involvement)

장애 극복을 위해 학습자의 내용에 대한 의지적인 반응이 매우 효과를 발휘

교육자는 학습자들에게 학습 필요성을 느끼게 해줄 충분한 장애를 제공

다. 문제해결(방법)법 활용상의 융통성(Flexibility in using the problem Discussion)

적용력 향상, 적용력 측정, 학습에 대한 인상 강화 등을 위해 활용

3) 교육방법의 준비 절차

가. 학습목적의 설정 : 필요한 윈리원칙을 적용할 수 있는 단계까지 설정

나. 학습성과의 결정 : 원리원칙 적용 시 구체적 행동까지 명시하여 기술

다. 사실과 조건의 서술 : 원리원칙을 활용할 현실적 문제상황을 문장으로 작성

라. 문제의 진술 : 학습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는 것을 기술

마. 계획된 토론 순서의 준비 : 토론을 전개할 특정한 주요 질문 배열

4) 교육방법의 진행 요령

가. 토론을 위하여 학생을 준비시킴 : 문제설명서 배포

나. 문제를 전개할 것

다. 집단의 역할을 수립할 것 : 마치 실제 참여한 듯한 현장감 조성

라. 토론에 참여하도록 학습자를 자극할 것 : 교육자가 아닌 참여자로 접근

마. 사실과 조건을 검토할 것 : 참여자로 함께 검토

바. 문제의 기술에 대한 합의를 볼 것

사. 부수적인 사실과 조건을 설명할 것

아. 집단을 토의사항에 적용시킬 것

자. 집단으로 토론을 시작할 것 : 문제의 검토와 분석을 바탕으로 과업 결정 수행

차. 집단건의를 요약할 것

카. 학습목적과 학습성과 요약할 것 : 참여자에서 교육자의 역할로 돌아가 성과를 공유

타. 재동기 부여를 하고 결론을 지을 것







7장 성인학습 과정론

1. 성인학습 모형론

성인학습의 특성과 생활환경에 초점

모형 고찰은 성인학습자를 이해하고 관련된 연구와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는데 목적

1) 크로스의 성인학습자 특성 모형

성인학습자 특성(Characteristics of Adults as Learners : CAL)별 초점

개인특성 : 생리적/노화, 사회문화적/생활단계, 생리적/발달단계 등 연속적 발달

상황특성 : 시간제 대 전일제 학습, 자발적 대 강제적 학습 등 독특한 변인

성인이 무엇을 그리고 어떻게 학습하는가에 대한 사고의 틀 제공

2) 맥클루스키의 마아진 이론

삶의 부담(L : load), 삶의 힘(P : power) 비율 개념

모든 성인이 직면하는 일상적인 사건과 인생의 전환에 대해 다룸

상담 도구에 가까운 이론

3) 녹슨의 숙련이론(proficiency theory)

현재의 숙련 수준과 희망하는 숙련수준의 차이에 관한 개념

능력중심 학습은 과제 수행에 최소기준 강조

숙련지향 학습은 인생의 역할과 관련 최적 수준을 강조

이론을 원용하여 수행된 연구는 없음(2000)

4) 자비스의 학습과정론

사회학적 관점 이론

인간의 학습은 경험으로부터 시작, 경험은 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되므로 개인적이라기 보다는 사회적 상황에 의해 결정

(1) 성인학습 과정모형의 이해

구체적 경험 -> 반성적 관찰 -> 일반화와 추상적 개념(교훈) -> 활동적 실천 ->

[그림 7-2 Kolb의 학습 사이클] 참조

(2) 자비스의 학습과정 모형

실제 교실현장의 조건에서 관찰을 통해 개발된 모형

è 학습 결과가 강화되었지만 변화되지 않은 상태보다 경험이 풍부한 인간’ 2개인가?

성인의 경험은 장래의 학습을 보다 풍부하게 한다.

▶ 잠재적 학습상황에 대한 반응의 유형 : 9가지

비학습 반응 : 가정, 비고려, 거부

비반성적 반응 : 전의식, 실천, 기억

반성적 학습반응 : 심사숙고, 반성적 실천, 실험적 학습

<7-1 잠재적 학습 상황에 대한 반응] 참조

è 고도의 학습 형태란?

è 반응 경로의 의미는?

(3) 경험의 의미와 교수전략

경험의 총체는 인간 자신의 신체, 정신, 자아를 의미

주관적 면 : 정신, 자아

객관적 면 : 상황 => 경험 <=> 의미

[그림 7-4 경험의 이해를 위한 틀] 참조

(4) 자비스의 성인학습 과정 모형의 의의(특성)

- 학습과정의 다양성 인정

- 학습을 일상생활의 차원으로 확대

- 인간의 복잡한 학습활동을 이해할 수 있는 틀 제공, 인본주의적 관점 강조

- 성인 경험에 적합한 내용과 방법으로 교수전략 구사를 강조

- 성장하고 발달을 위한 인간 상호간 강조하며 평생학습사회 촉진

2. 자기주도적 학습론

1) 자기주도적 학습의 의의 (self-directed learning)

학습을 고립화하지 않고 다양한 교육자원을 이용하여 학습전체의 1차적 책임을 지는 학습형태

주요개념으로 학습의 자기주도성과 학습자의 자기주도가 있음

2)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철학적 가정

인본주의적 학습자의 욕구에 기초, 인간의 본성

진보주의적 학습자와 학습자의 경험이 학습과정의 중심

행동주의적 계획부터 평가의 전 과정, 정말로 타당하고 유용한 활동인가

3) 성인기 학습의 이해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론의 연구

(1) 학습의 형태 및 과정

학습과정에 대한 직관을 제공

기존학습과 자기학습의 차이는 1차적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

성인의 학습과정 2가지

- 선형적이고 단계적 과정

- 우연히 발견하는 경우

(2) 학습자의 특성과 선호도

학습자 특성의 정의와 선호도 논쟁에 영향

4변인 학습자의 기술수준, 주제에 대한 친숙도, 학습자의 자신감, 학습의 맥락

(3) 형식적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발성과 자기통제력 키우기

학습에 대한 사고 확장

4) 자기주도적 학습론의 영향과 미래

주의점 : 자기주도적 학습이 성인학습의 전부인 것으로 상화 말아야

단지 하나의 준거일 뿐

3. 전환학습론

1) 전환학습의 의의 (transformational learning)

학습이전과는 확연히 구분되도록 인간을 새롭게 만든다는 것

앤드라고지, 자기주도적 => 학습자의 특성 중점

전환학습 => 학습자의 인지적 과정 초점

2) 전환확습론의 핵심개념

(1) 경험

주제는 학습자의 경험

이미 해답이나 반응을 가지고 있는 경험은 제외

문제에 대한 의문이 인간학습의 시작이자 핵심

(2) 비판적 반성

반성과정으로 지적 성장을 이루어질 때 경험은 가치 있는 것

효율적 학습 : 긍정적인 경험으로가 아닌 효율적인 반성으로부터 이뤄짐

(3) 개인의 발달

경험의 차별화 -> 비판적 반성 -> 통합적 학습 -> 개인의 발달

전환학습과정은 성인발달과정의 중심

3) 전환학습론의 주요 이론

목표 - 학습이 역사적, 사회적 관점의 전환

실증주의적(인과적 설명), 해석학적(이해와 해석) 입장이 다름

(1) 메지로우의 관점전환 이론

학습을 하나의 의미부여 활동

학습은 자신의 경험의 의미를 새롭게 하거나 재구성하기 위해서 이전의 해석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행동지침을 획득하는 과정

진정한 의미에서의 학습은 반성을 통해서만 가능 강조

▷ 전환은

의미구조(meaning structure)의 변화

-- 의미관점 (meaning perspective) : 하나의 입장 형성, 전제적인 이유 및 근거

-- 의미체계 (meaning scheme) : 습관적 해석, 단문으로 표현

▷ 성인학습

- 도구적 학습 : 환경을 통제하는 방법

- 의사소통 학습 : 타인의 의미를 이해하려는 노력, 통찰력의 비판적 반성 행동

-- 실제적 학습

-- 해방적 학습

(2) 프레이리의 의식화 교육론

빈곤, 비문해와 억압에서부터 출발 -> ‘해방’ -> 의식화의 사회정치적 쟁점 치중

내적인 구조와 미신(myth)을 모두 알게 하는 것 -> 의식화(conscientization)

방법 : 대화법, 참여교육 지향

4) 전환학습론의 한계

▷ 의의

해방적이고 의사소통적 성격의 학습 장려

의미구조의 확대

▷ 비판 (한계) : 학습의 개인주의화만 강조, 사회적 변화 간과(권력의 관계와 구조 등)











9장 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

1. 프로그램 설계의 이해

교육체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매체에 따라 적절히 설계

2.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원리 및 구조

2.1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 원리

- 학습자의 학습 촉진을 목적

- 단시/단기적, 장기적 국면

-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

- 체제적 접근

- 인간이 어떻게 학습하는가에 관한 지식에 기초

2.2 프로그램 설계의 기본 구조

- 수직적 설계 방법 : 점차적인 순서

- 수평적 설계 방법 : 동시에 시행하여 선택권

- 대각선 설계 방법 : 수평적 방법과 수직적 방법 혼합

- 나선형 설계 방법 : 진행과정이 반복적이며, 연속적으로 효율적

3. 프로그램 내용 선정 원리와 방법

3.1 프로그램 내용 선정의 원리

- 합목적성/목표와 일관성 : 개인적/사회적 요구 및 철학적 이념 구현

- 능력수준과 흥미에의 적합성 및 자발성 (개인적 요구)

- 실용성과 다양성 (사회적 요구)

- 일목적 다경험 및 일경험 다목적의 능률성, 동시학습(concurrent learning)

- 교육/학습지도 가능성 및 자기주도성 : 지도 능력에 따라,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 지역성 및 유희▪오락성

3.2 프로그램 내용선정의 진행절차

- 목표 중심의 내용 선정 방법 : 일반적 방법

- 우선순위 설정에 의한 프로그램 내용 설정 방법 : 준거 기준을 정해 가중치 부여

è 요구분석 시 스크린 과정은 어떻게 하는가?

4. 프로그램 내용 조직의 원리와 방법

※ 교육 내용 조직이란 : 선정된 교육내용을 학습자의 발달특성과 능력을 고려하여 조직하고 계열화시키는 것

4.1 프로그램내용 조직의 기본원리

- 계열성의 원리 : 단계적 학습

- 계속성의 원리 : 많은 실습과 연습으로 반복 학습

- 통합성의 원리 : 내용 소주제들이 서로 통합된 성격

4.2 교육내용 조직의 방법

골격구성->계열화->설계 명세서->형성평가->적합도->의사결정->개발 or 구입 결정

▶ 단원길이의 잠정적 설계(골격구성)

프로그램 실시기간과 단원 및 레슨의 시간배정 등 구성

프로그램 시간표, 전체 순서도

▶ 교육내용의 계열화(sequencing)

▷ 계열화 중요성 이유

내용이 10시간 넘어설 경우 논리적이고 의미 있게 조직화시키는데 한계

인지구조 내 정보처리의 간섭작용을 예방

▷ 방법

- 절차적 :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 운동기술 학습

- 위계적 : 선수학습요소에 따라 (부분에서 전체로) -> 인지적 학습

- 주제영역별 : 선행주제와 분리되는 순서화, 복습과 종합 철저히 필요

- 나선형적 : 점차 심화 확대하는 중복적 제시

- 정교화 이론: 단순에서 복잡으로,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하며 일반적

계열화는 내용 전문가와 프로그램 설계자의 공동 작업 수행의 질에 따라 성패 좌우

▶ 프로그램 설계 명세서 작성

설계과정을 통해 산출된 결과물들을 종합 작성

효과 : 개발 지침을 제공, 활동을 구체화▪가시화 함

구체적 내용 (Page 216 참고)

5. 프로그램 형태별 설계

교육체계,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매체 등에 따라 설계 방법 달라 짐

5.1 교육체계 설계

- 매트릭스 방법 : 선택할 수 있는 여지 부여

- 플로우 차트 방법 : 통로 제시, 코스별 흐름도를 Road-map으로 보여줌

- 위계적 방법 : 계층교육이나 절차 강조 기술교육에 적합

5.2 교육내용 설계

단기간의 교육일 경우 곧바로 코스설계와 동일한 행위로 간주

- 코스설계 방법 : 단일 주제를 가지고 실행될 교수▪학습과정과 관련된 모든 요소

약술형식으로 체계화,

- 교재설계 방법 : 18단계로 구분 (page 322 참조)

- 교안 설계

5.3 교육운영 설계 방법

▶ 교육매뉴얼 개발 : 미시적 수준의 작업

▶ 활동계획 설계 : 학습자의 신체적 활동 강조

▷ 수련활동 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

- 철저한 준비

- 목적달성을 위한

- 형편에 맞는

- 전체가 참여할 수 있는

- 내용이 균형 잡힌

- 학습자에게 무리가 되지 않는

- 장소, 행동 등 변화를 주어 권태감 없게

- 구체적으로

7가지 기본요소 참고 (page 329)

5.4 교육매체 설계 방법

교육방법 결정 후 구체적 교육매체 제작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자 단위로 교육방법 구분

<9-4>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자의 단위에 따른 교육방법 참고











10장 평생교육 프로그램 마케팅

1. 프로그램 마케팅 이해

▶ 프로그램 마케팅

학습고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취해지는 여러 조치에 대해 연구, 분석, 판단, 실행

학습 고객의 필요를 결정하고 이러한 필요들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 실행하며, 그것의 성공 여부를 포함하는 포괄적 과정

▶ 마케팅과 구별되는 용어

광고 : 비용 지출 (신문, 우편물 등)

홍보 : 비용 없음 (신문 방송 기사, 기획물, 인터뷰 등)

2. 프로그램 마케팅 모형

<10-1> 모형 비교 참조

2.1 전통적 모형

평생교육기관의 요구와 필요가 우선, 학습고객 설득에 집중, 내부지향적 성격

장점 고려 요인이 거의 없음

단점 외적 변화 무시, 학습고객에 무관심

2.2 교환 모형

개발한 프로그램의 가치를 학생고객의 요구와 필요의 교환을 통해 획득

평생교육기간과 학습고객간의 균형적 관점 강조

기관의 지속적인 변화 촉진

변화가 점진적(빠르지 않음)

2.3 적응 모형

학습고객 요구와 필요가 우선, 기관의 목적/가치/기준 무시 경향

변화가 빠름

전통적 경향 도외시

현재 많은 기관이 적용하는 모델

3. 프로그램 마케팅 구성 요소 (4P + 3P)

4P

3.1 생산물(product) :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3.2 진흥(promotion) :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법 (신문,라디오,현수막,포스터 등)

3.3 장소(place) : 접근 용의서 중요

3.4 가격(price)

▶ 가격 결정 접근 방법

▷ 지출 중심형 총비용과 참여자수 예측, 고정+가변 비용, 고정비용 중심 책정

▷ 수용 중심형 수요 기준, 수요가 높으면 고가

▷ 경쟁 가격형 경쟁도 기준, 경쟁력 높으면 고가

▷ 기타 접근 방법 총비용 가격, 시세가격, 한계비용

3P

기관의 정책 (Policy)

타 기관과의 파트너십(Partnership)

외부 영향력-정치성(Politics)

4. 프로그램 마케팅 전략

▶ 효과적 수행을 위한 유의점

- 용어의 명확한 정의

- 기관의 임무, 목적, 목표의 성취와 직접적 관련

- 환경에 대한 검토와 분석

- 학습고객의 서비스 지향 체재 개발

- 심리학적▫인구통계학적 자료 활용

- 시장 분할 전략에 대한 인식 필요

- 마케팅 효과에 대한 추적

- 연속적 마케팅 계획 수립

▶ 현장 마케팅 원리 1~10

- 학습고객에게 알리라

- 학습고객을 분할

- 상품을 정치시키라 è 정치는 개방하라는 뜻?

- 경쟁 프로그램 및 기관 파악

- 학습고객이 오는 곳 체크

- 다양한 접근법 이용

- 집행을 위한 적절한 모델 사용

- 확인 검증

- 파트너십을 발휘할 대상 물색

- 나중에 더 좋게 할 수 있는 것을 바라보라

5. 프로그램 마케팅 절차

[그림10-2] 마케팅 단계 참조

5.1 문제 인지 및 문제정의 : 명확히 규정

5.2 목표 설정 : 문제를 목표로 전환, 조치 명확히 -> 평가에 도움

5.3 시장 분할 : 학습고객의 특성과 요구 기준 분할

학습지향, 프로그램 제공 선호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의해 구별

5.4 마케팅 전략 수립 : 세부내용 결정, 4P(생산물, 장소, 증진, 가격)

5.5 프로그램 마케팅의 수행 : 실행

5.6 마케팅 평가 및 조절 : 결과 확인 후 각 단계 feed back

6. 프로그램 마케팅 기법과 사례

6.1 프로그램 마케팅 기법

홍보, 광고, 우편물, 신문 및 잡지 광고, 방송매체, 전화, 구두, 팜플렛,

기타(지역 신문과 유선방송 등, 기관 소식지 및 신문, 상설 홍보물 배치 등)

6.2 프로그램 마케팅 사례

- 눈을 끄는 홍보 내용 필요 : 명확, 최소, 쉬운, 친숙

- 효과적 홍보 내용 필요 : 목표시장, 요구 충족, 혜택 강조, 처음3~4, 즉각 참여,

강한 메시지, 행동을 위한 카피 배열, 평가 계획 수립 등

- 적절한 홍보 매체 선정 : 주 매체를 보조하는 매체 다각적 활용,

단순(->) 복잡(->), 광범위 홍보 매체 선택 등











8장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설정

프로그램 개발의 초점과 의도를 명확히

1.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의 이해

1.1 교육목적, 프로그램목적, 학습목표

교육목적-프로그램목적-학습목표의 위계화 개념도

교육목적 기관 수준 평생교육기관 임무/사명

프로그램목적 프로그램 수준 프로그램 의도 진술

학습목표 교육활동 수준 변화될 학습자의 구체적 행동특성

1.2 교육목적, 프로그램목적, 학습목표 기능

▷ 교육목적 : 기관의 성립근거와 정체성 명확히, 구성원의 방향성 확립

▷ 프로그램목적 : 참여자 기대감, 프로그램 홍보, 운영자 정체성, 운영과정 지원 촉구

▷ 학습목표

- 교수자 : 학습경험의 범위

- 교육 : 내용, 방법, 방향 규정

- 학습자 : 학습활동 촉진, 활성화

- 평가 : 방향, 내용, 결과 해석의 규준 결정

2. 프로그램 목적 설정과 진술

2.1 프로그램 목적의 설정

▶ 설정 시 근거 사실

- 사회적 이념

- 재정적 지원 제공 기관(정부,단체)의 의도

- 기관 환경 속성과 사회적 변화 및 동향

- 기관의 설립 취지와 이념

- 학습자의 성장, 발달, 요구, 필요, 문제해결 등

2.2 프로그램 목적의 진술방법

▶ 미국 확장교육(extension education)

To : to achieve specific objectives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결과

By : providing programs 제시될 프로그램 유형

For : identified learner 프로그램의 수혜자(참여자)

▶ 한국화

상황 : 학습자가 처해있는 상황, 상태

대상 : 프로그램 참여자 명시

내용 : 제공될 구체적 내용

직접적 결과 : 교육 후 즉시적 변화 특성

기대효과 : 교육 후 나타날 기대효과

=> 이걸 한 문장으로 표현

3. 학습목표의 영역과 유형

3.1 학습목표의 영역

학습자가 체험을 통해 변화되는 행동영역에 근거하여 진술

▶ 행동특성과 학습목표 <8-1>참조

인지적 행동특성 : 지식, 이해력, 적용력, 부석, 종합, 평가

정의적 행동특성 :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신체운동적 행동특성 : 반사운동, 초보적 기초운동, 지각능력,

신체적 능력, 숙련된 운동 기능, 동작적 의사소통

3.2 학습목표의 유형

일반적 목표 : 포괄적, 방향제시성, 내현적 동사, 비교적 폭넓게 진술

명세적 목표 : 구체적, 명시적, 행위 또는 동작동사, 아주 좁게 진술

주목표 : 우선, 포괄적,

하위목표 : 차선, 구체적 ≈ 명세적 목표

최소 필수목표 :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학습

심화 발달목표 : 최소 필수목표 수준 이상 학습

궁극적 목표 : 최종적 달성

직접적 목표 : 지금 당장 달성

출발점 행동목표 : 학습하는데 절대적 필요 지식/기술 달성

도달점 행동목표 : 획득되기를 바라는 학습자 행동

중도점 행동목표 : 학습 과정 중 필연적 발생 변화, 획득 행동

과정목표 : 과정의 절차 초점 ≈ 중도적 목표

성과목표 : 최종 양과 질 초점≈ 도달적 목표

행동적 목표 : 동작동사, 외현적 행동, 관찰 가능 è 명세적 목표와 유사

비행동적 목표 : 내현적 행동, 관찰 불가 è 일반적 목표와 유사

인지적 목표, 정의적 목표, 심동적 목표 : 행동특성에 따른 목표<8-1>참조

행동목표 : 학습되어져야 할 구체적 인간 행동

내용목표 : 학습자가 경험하게 될 교육내용의 양 기초

문제중심 목표 : 학습자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확인하는 방식

4. 학습목표의 설정 방법

4.1 DLO 방식 (desired learning outcomes)

학습자가 경험한 교육내용에 기초, 학습할 구체적 내용과 기능이 있을 때

4.2 C/S 방식 (certification / licensure tests)

면허 및 인증에 기초한 방법

4.3 DMLC 방식 (decision maker / learning context)

의사결정자에 의해 학습상황이 조성되고 학습목표가 결정, 정치적 필요성과 밀접

4.4 ISN 방식 (the instructor’s strengths/needs)

강사 및 교수자의 강점과 요구에 의해 설정, 편의성 위주의 의사결정

전문가의 해당 영역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의 요구와 다를 수 있음

4.5 LON 방식 (Learners’ Observed Needs)

학습자의 관찰된 요구, 가장 바람직한 방식(분석이 체계적인 경우에 한해)

4.6 LEN 방식 (Learners’ Expressed Needs)

학습자의 표현된 요구,

학습자에 대한 관찰, 노력, 분석 없이 일상적으로 필요하고 배우길 원하는 것

▶ 학습목표 설정 절차 3단계

1단계 경쟁목적에 대한 뚜렷한 인식

2단계 경쟁목적에 가중치를 두어 우선순위 설정

3단계 학습자 요구 및 필요와 일치하는 목적 설정

※ 경쟁목적(competing goals)

: 교육내용, 인증 및 면허, 상황, 교수자의 장점/약점, 학습자 관찰/표현 요구

5. 학습목표의 진술 방법

5.1 학습목표의 진술 원칙

▶ 원칙

- 합리성 (rational) : 논리적 패턴

- 실천가능성 (practical) : 현실성

- 다원성 (pluralistic) : 결과, 그 이상의 결과 반영 è 기대효과 반영

- 위계성 (hierarchical) : 다른 목표에 포함되기도 포함하기도 하는

- 차별성 (discriminative) : 행동의 중복 없이 è 의미는?

- 변화가능성 (changeable over time) : 다음 목표에 적응하려는 노력

▶ 상호작용 6 요인

환경(milieu), 학습자(learner), 내용(content),

설계(design), 열망(aspirations), 동기(motives)

5.2 학습목표 진술의 행위동사

<8-2> 학습목표의 진술을 위한 행위동사 참조

è 의미 전달을 위한 정의 작성 시 활용도 높을 것으로 예상

5.3 학습목표 진술의 기본 요건 - ABCD

A audience 청중 학습자

B behavior 행동 변화된 학습자의 행동

C condition 조건 행동이 일어날 상황

D degree 정도 수준 판단의 준거/표준

+ 학습내용 (content of learning)

+ 학습자료

5.4 학습목표 진술의 양식

Tyler, Mager, Gagne, Gronlund

< 8-3> 비교표 참조

5.5 학습목표 진술의 절차

▶ 절차

- 목표 진술 방식의 선정 Tyler, Mager … 중 선택, 혼용 등

- 학습주체의 명시 주어는 반드시 학습자, 작성 후 생략

- 학습내용의 선정

- 동작동사의 선정

- 도달점 행동이 나타날 조건 방식에 따라 상황, 조건, 보조동상 등 사용

- 성취수용 수준 결정

※ 성취수용 수준은 개별 최저수준과 집단 최저수준이 있음











7장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

1.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의 개념

1.1 우선순위 설정(priority setting)의 개념

프로그램개발 과정에서 평생교육기관의 한정된 자원과 여건을 고려하여 가장 절실하고 가치 있는 요소를 선정하는 과정

1.2 프로그램개발과 의사결정

집단적 의사결정과정’ - 공공의 정치과정이라는 관점

2. 우선순위설정의 이론적 기초

2.1 의사결정의 원리

평생교육사는 다양한 결정 원리를 알아야 한다.

정형적 결정 (programmed decision) : 반복적이고 일상화된 결정

비정형적 결정 (nonprogrammed decision) : 새로운 문제나 구조와 성격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정

개인적 결정 : 개인이 대안을 선택 결정

집단적 결정 : 관련된 사람과 전문가를 참여시켜 결정

사적 결정 (personal decision) : 개인의 목표달성을 위한 결정

조직적 결정 (organization decision) :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결정

2.2 의사결정의 모형

▶ 합리모형(rationality model) : 규범적▪이상적 방법

인간의 전능성 전제, 인간은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다.

▶ 만족모형(satisfying model) : 현실적▪실증적 방법

인간의 완전한 합리성은 없음, 의사결정자의 사회▪심리적 측면 중시

≈ 의도적합리성(intended rationality) ≈ 제약된 합리성(bounded rationality)

▶ 점증모형 (incremental model) : 현실적▪정치적 방법

≈ 그럭저럭 헤쳐나가는 모형(the science of muddling through)

≈ 짜집기식 작업 (patch work)

▶ 혼합관조모형(mixed scanning model)

합리모형을 기존 방향으로 점증모형을 특정문제

▶ 최적모형(optimal model) : 직관, 판단, 창의 등 잠재의식 개입

최적치(optimality) : 모든 것이 고려되어 있다.

평가와 피드백에 의해 최적(질적) 수준에 이를 수 있다는 것

è 최적치에 대한 추가 설명 필요

2.3 의사결정의 지침

3. 우선순위 설정과 의사결정의 기준

4. 우선순위 설정의 접근방법

4.1 스크린 여과 접근

4.2 중요성-실현가능성 접근

4.3 서열화 접근

4.4 평정화 접근

4.5 통계분석적 접근


6장 직무분석과 교육필요점 분석

1. 직무분석의 이해

▶ 정의

관찰이나 정교한 조사에 의하여 특정한 직무의 결정적인 특성을 규정하는 정보를 찾아내어 보고하는 체계적인 절차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작업

▶ 요건

직무에 포함되어 있는 작업

우수 직업인이 되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 책임

다른 직무와 분명한 구분

▶ 프로그램 개발의 직무분석

무엇을 알아야 하는 것보다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가를 분석

▶ 위계적 개념도 : 직업군 -> 직업 -> 직무 => 책무 => 작업 => 요소 => 단계

2. 직무분석의 방법

2.1 최초분석법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분석,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에 적용

종류 : 면담법, 관찰법, 체험법, 설문법, 녹화법

2.2 비교확인법

직무분석가 직무분석 초안 작성 후 현장에 나가 실제 여부를 최초분석법으로 확인

기존 자료 분석시기와 현재 시점과의 차이가 나는 점을 발견하여 보완하는 것

직업사전(직무기술과 직무명세서 수록)을 각 나라에 알맞게 수정 보완

다른 방법과 상호보완하여 완성되는 방법

2.3 다쿰(DACOM)

워크샵을 통한 분석 방법

참여자 : 실무자, 다쿰 촉진자(DACUM facilitator), 분석가, 분석협조자, 서기 등

3. 직무분석의 절차

[그림 6-3 직무분석과 교육훈련 필요점 분석 절차] 참조

3.1 Job Model 설정 직종의 직무를 정의, 직무수행의 흐름도 제시

3.2 직업명세서 작성 해당 직업에 관한 모든 내용(정의, 환경 등)

3.3 직무명세서 작성 직업의 세부 작업들의 난이도, 중요도, 빈도 제시

3.4 작업명세서 작성 세부 작업들의 각 요소 난이도 제시

4. 교육 필요점 분석

직무분석 내용과 교육필요점 분석 설문지 구상

조사대상자 수 결정 및 표집

동일 job을 가진 대상자에게 배분

조사지 수거 후 분석

Task 중요도 및 교육필요점이 5.0이상 task 추출

5. 작업 KAST분석

지식(knowledge) : 정의, 절차, 원리

태도(attitudes) : 직무 속성과 성격에 맞는 직무수행자의 태도

기술▪기능(Skill) : 일반(공통), 조작적(전문적), 사회적(인간관계,리더십) 기술

도구(tool) : skill을 적용하는데 사용되는 도구나 장비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이 모든 것을 고려한 후

가용자원과 실현가능성 확인

우선순위설정

프로그램 목표 전환

구체적 프로그램 설계


8장 프로그램 목적과 목표설정

프로그램 개발의 초점과 의도를 명확히

1.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의 이해

1.1 교육목적, 프로그램목적, 학습목표

교육목적-프로그램목적-학습목표의 위계화 개념도

교육목적 기관 수준 평생교육기관 임무/사명

프로그램목적 프로그램 수준 프로그램 의도 진술

학습목표 교육활동 수준 변화될 학습자의 구체적 행동특성

1.2 교육목적, 프로그램목적, 학습목표 기능

▷ 교육목적 : 기관의 성립근거와 정체성 명확히, 구성원의 방향성 확립

▷ 프로그램목적 : 참여자 기대감, 프로그램 홍보, 운영자 정체성, 운영과정 지원 촉구

▷ 학습목표

- 교수자 : 학습경험의 범위

- 교육 : 내용, 방법, 방향 규정

- 학습자 : 학습활동 촉진, 활성화

- 평가 : 방향, 내용, 결과 해석의 규준 결정

2. 프로그램 목적 설정과 진술

2.1 프로그램 목적의 설정

▶ 설정 시 근거 사실

- 사회적 이념

- 재정적 지원 제공 기관(정부,단체)의 의도

- 기관 환경 속성과 사회적 변화 및 동향

- 기관의 설립 취지와 이념

- 학습자의 성장, 발달, 요구, 필요, 문제해결 등

2.2 프로그램 목적의 진술방법

▶ 미국 확장교육(extension education)

To : to achieve specific objectives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결과

By : providing programs 제시될 프로그램 유형

For : identified learner 프로그램의 수혜자(참여자)

▶ 한국화

상황 : 학습자가 처해있는 상황, 상태

대상 : 프로그램 참여자 명시

내용 : 제공될 구체적 내용

직접적 결과 : 교육 후 즉시적 변화 특성

기대효과 : 교육 후 나타날 기대효과

=> 이걸 한 문장으로 표현

3. 학습목표의 영역과 유형

3.1 학습목표의 영역

학습자가 체험을 통해 변화되는 행동영역에 근거하여 진술

▶ 행동특성과 학습목표 <8-1>참조

인지적 행동특성 : 지식, 이해력, 적용력, 부석, 종합, 평가

정의적 행동특성 :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신체운동적 행동특성 : 반사운동, 초보적 기초운동, 지각능력,

신체적 능력, 숙련된 운동 기능, 동작적 의사소통

3.2 학습목표의 유형

일반적 목표 : 포괄적, 방향제시성, 내현적 동사, 비교적 폭넓게 진술

명세적 목표 : 구체적, 명시적, 행위 또는 동작동사, 아주 좁게 진술

주목표 : 우선, 포괄적,

하위목표 : 차선, 구체적 ≈ 명세적 목표

최소 필수목표 :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학습

심화 발달목표 : 최소 필수목표 수준 이상 학습

궁극적 목표 : 최종적 달성

직접적 목표 : 지금 당장 달성

출발점 행동목표 : 학습하는데 절대적 필요 지식/기술 달성

도달점 행동목표 : 획득되기를 바라는 학습자 행동

중도점 행동목표 : 학습 과정 중 필연적 발생 변화, 획득 행동

과정목표 : 과정의 절차 초점 ≈ 중도적 목표

성과목표 : 최종 양과 질 초점≈ 도달적 목표

행동적 목표 : 동작동사, 외현적 행동, 관찰 가능 è 명세적 목표와 유사

비행동적 목표 : 내현적 행동, 관찰 불가 è 일반적 목표와 유사

인지적 목표, 정의적 목표, 심동적 목표 : 행동특성에 따른 목표<8-1>참조

행동목표 : 학습되어져야 할 구체적 인간 행동

내용목표 : 학습자가 경험하게 될 교육내용의 양 기초

문제중심 목표 : 학습자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를 확인하는 방식

4. 학습목표의 설정 방법

4.1 DLO 방식 (desired learning outcomes)

학습자가 경험한 교육내용에 기초, 학습할 구체적 내용과 기능이 있을 때

4.2 C/S 방식 (certification / licensure tests)

면허 및 인증에 기초한 방법

4.3 DMLC 방식 (decision maker / learning context)

의사결정자에 의해 학습상황이 조성되고 학습목표가 결정, 정치적 필요성과 밀접

4.4 ISN 방식 (the instructor’s strengths/needs)

강사 및 교수자의 강점과 요구에 의해 설정, 편의성 위주의 의사결정

전문가의 해당 영역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의 요구와 다를 수 있음

4.5 LON 방식 (Learners’ Observed Needs)

학습자의 관찰된 요구, 가장 바람직한 방식(분석이 체계적인 경우에 한해)

4.6 LEN 방식 (Learners’ Expressed Needs)

학습자의 표현된 요구,

학습자에 대한 관찰, 노력, 분석 없이 일상적으로 필요하고 배우길 원하는 것

▶ 학습목표 설정 절차 3단계

1단계 경쟁목적에 대한 뚜렷한 인식

2단계 경쟁목적에 가중치를 두어 우선순위 설정

3단계 학습자 요구 및 필요와 일치하는 목적 설정

※ 경쟁목적(competing goals)

: 교육내용, 인증 및 면허, 상황, 교수자의 장점/약점, 학습자 관찰/표현 요구

5. 학습목표의 진술 방법

5.1 학습목표의 진술 원칙

▶ 원칙

- 합리성 (rational) : 논리적 패턴

- 실천가능성 (practical) : 현실성

- 다원성 (pluralistic) : 결과, 그 이상의 결과 반영 è 기대효과 반영

- 위계성 (hierarchical) : 다른 목표에 포함되기도 포함하기도 하는

- 차별성 (discriminative) : 행동의 중복 없이 è 의미는?

- 변화가능성 (changeable over time) : 다음 목표에 적응하려는 노력

▶ 상호작용 6 요인

환경(milieu), 학습자(learner), 내용(content),

설계(design), 열망(aspirations), 동기(motives)

5.2 학습목표 진술의 행위동사

<8-2> 학습목표의 진술을 위한 행위동사 참조

è 의미 전달을 위한 정의 작성 시 활용도 높을 것으로 예상

5.3 학습목표 진술의 기본 요건 - ABCD

A audience 청중 학습자

B behavior 행동 변화된 학습자의 행동

C condition 조건 행동이 일어날 상황

D degree 정도 수준 판단의 준거/표준

+ 학습내용 (content of learning)

+ 학습자료

5.4 학습목표 진술의 양식

Tyler, Mager, Gagne, Gronlund

< 8-3> 비교표 참조

5.5 학습목표 진술의 절차

▶ 절차

- 목표 진술 방식의 선정 Tyler, Mager … 중 선택, 혼용 등

- 학습주체의 명시 주어는 반드시 학습자, 작성 후 생략

- 학습내용의 선정

- 동작동사의 선정

- 도달점 행동이 나타날 조건 방식에 따라 상황, 조건, 보조동상 등 사용

- 성취수용 수준 결정

※ 성취수용 수준은 개별 최저수준과 집단 최저수준이 있음













10장 평생교육연구의 쟁점과 전망

범모 교수

“4가지 교육세력(인간을 교육하는 세력)에 주목

가정의 부모, 학교의 교사, 매스미디어의 언론방송인, 각계각층의 지도자

교육은 이 모든 교육세력의 교육형태에 관한 관심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넓은 뜻의 교육

교사, 학생, 교육과정, 시설등의 개념이 기존의 것과 다른 확대된 개념이어야

1. 평생교육의 담론적 쟁송성

1) 성장하는 개념으로서의 평생교육

▶ 이중성

- 당위적 교육이념 : 철학과 비전을 제시하는 논의 주종 (성장하는 이념)

- 제도적 실체 : 법제화 및 제도화 주종 (제도로서 표상화되는 실체)

이념과 제도가 서로가 서로를 규정하며 견제하는 관계

평생교육은 완성된 형태의 총체성을 드러낼 수 없는 성장하는 개념

2) 교육학의 대안적 담론으로서의 평생교육

전통적 공동체와 다른 새로운 담론공동체의 구축을 지향

▶ 기존 사회교육론의 연장선에서 출발,

▷ 경계 넘기(border crossing)와 통합(inclusion)

- 교육의 가치 통합

- 교육 공간 및 시간의 통합

- 학교, 사회, 가정 등 과거 이질적 학습생태계의 통합

▶ 실패 와 그 후

법적 강제성 결여로 실제적 촉발 기대 무리

논리적 긍정과 실제적 무관심이라는 이중적 대우

초기의 인문주의적 사회교육은 시장성과의 괴리로 인력개발과 노동시장 논리로 치중

교육학의 하위연구영역으로 이해

3) 정치▪사회적 이념의 쟁송성

▶ 세갈래의 정치적 사회적 지향 개념

- 학습사회론 : 학습사회라는 이념형, 자유주의에 기반

- 학습경제론 : OECD의 평생학습론, 시장의 논리 속 인적자원 확보 방식

- 해방적 평생교육론 : 3세계 중심, 인격의 발달과 사회 참여 촉진, 억압 극복

▶ 현재

지식기반사회의 세가지 동력으로 학습경제론 강화

- 탈산업사회 : 지식의 위치를 바꿈, 위에서 아래로

- 포스트모던적 문화 : 자신의 정체성과 남과의 차이를 특화, 예술과 대중문화 성장

- 지구화 : 지식과 학력의 국제적 교환 가능성, 학습이 공교육에서 일터로 전환

평생학습사회와 지식기반사회의 밀월관계가 시작

최초 학습사회이념으로서 인본주의적 평생교육이라는 적자보다 인적개발학습경제라는 서자에게 상속권을 넘기는 현상

평생교육이라는 옷은 유네스코 이념이라는 윗도리와 지식경제 제도화라는 바지를 혼합

2. 평생교육담론의 제도화 : 뒤틀린 이념과 실제

초기 사회교육학자들은 국가제도를 통한 평생교육 체제 구축지향

국가단위 혹은 생에단위의 거시적 교육-학습의 통합모형을 개발하려 노력

▶ 평생교육법은

거시적 측면에서 한 사회의 전체 교육력 혹은 교육자원의 통합적 운영 제시

유▪무급 학습휴가제, 평생교육 시설 활용, 고등교육 기회 확대 다양화 제공, 문하생 학력 인정제도, 교육훈련 산업 투자 촉진, 강사정보은행제, 교육계좌제, 평생교육사 등

▶ 정부

▷ 문민정부

지식경제에 걸맞은 고급인력 수급에 집중

공교육 체제의 비대화와 고급인력 수급 및 계속교육의 요구를 평생교육으로 해소

▷ 국민정부

IMF로 인해 경제 회생과 구조조정에 도움되는 정책에 초점 -> 학습경제론 강화

기업은 평생교육이란 개념으로 인력개발비를 비경제부문에 넘기고 그 속도는 가속화

이에 대한 재구조화 필요성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탄생

è 평생학습 책임이 국가가 아닌 기업으로 기업은 개인으로 전가하는 분위기

3. 평생교육의 연구 영역은 어디인가?

앞선 시대적 흐름으로 국가 자체가 편중성을 심화시켜온 장본인

공공성은 결코 국가에 의해 담보 될 수 없다.

평생교육은 제도화될 수 없는 성질일지 모른다.

최근 평생교육 핵심이 학습에서 자격증으로 전화되는 것은 또 다시 확장된 형태의 학교태를 베끼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우려된다.

▶ 새로운 과제

전 표상화 : 국가기제, 생애개발(career development), 개인영역

후 표상화 : 시민사회영역, 시민의식화, 공공영역

▶ 평생교육학의 방향

인간의 전인적 발달과정에 대한 총체적 안목 : 학교 내외를 포함하는 영역확대 시도

학습주의적 시각 : 가르치는 이론화 ->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공교육의 재해석 : 국민 전체에 대한 총체적 국가 교육서비스 지칭

제도변경 : 기간학제, 선형적 진학방식 -> 방계학제, 순환적 진학방식

※ 담론 : 이야기를 주고 받으며 이야기 함

쟁송 : 서로 다투고 송사함, 권리나 행위에 관한 분쟁











9장 산업선진국의 평생교육동향

1. 미국

1) 기존 사회교육관계법

각 법들은 정부의 각각 다른 부처에서 운영

중심 목표가 교육자체가 아닌 농업, 고용, 국가바위, 평등 실현을 위한 부수적 수단

2) 성인교육법(1966)

최초의 단일한 사회교육법

모든 시민에게 중등학교 졸업 수준의 교육 기회 제공

경비는 연방정부 부담(90%) 이중 10~20%는 특별과제나 교사양성을 위해 사용

è 평생교육사 양성은 국가적 책임

3) 평생학습법(1976)

모든 시민들의 평생교육의 기회 마련

모든 성인교육 활동 포함

4) 사회교육의 구조

기존 연방정부 조직 상 보건, 교육, 복지부 속에 교육국 이었으나 교육부로 승격

운영 및 책임은 지방자치를 원칙으로 함

2. 영국

중앙정부, 지방교육 당국, 비정부기관 및 자원 단체로 사회 교육 조직 운영

1) 사회교육관계법규의 개관

1944 교육법 : 모든 국민의 교육받을 권리와 이를 위한 정부의 의무가 규정

1964 산업훈련법 + 1973 고용훈련법

국가 인력수급과 고용정책 일환으로 기술 및 기술훈련 사업 관계

1975 사회교육규정 : 교육법 근거

2) 교육과학부의 조직과 기능 (중앙정부 대표기구)

▷ 행정 업무

성인교육기관 직접보조

성인학생에 대한 학비보조

사회교육 지도자의 훈련 등

학교교육, 사회교육, 대학, 과학진흥, 체육, 레크레이션, 예술 등

3) 지방교육당국의 행정조직 및 업무











8장 평생교육의 세계적 동향

1. 유네스코 초기의 성인기초교육운동

슬로건 교육하는 일은 사람을 자유케 하는 일이다

성인기초교육의 제일차적 목표는 문해교육

- 많은 신생국가들이 그들에게 주어진 자유앞에 무기력한 상태

성인교육국을 두고 활동

- 문해교육과 농촌교육활동

- 일반성인교육활동 : 계속 학습, 책임있는 시민 양성

- 청소년 지도사업

2. 유네스코의 평생교육 이념 보급 -> 3. 성인교육회의 참고

세계 평생교육운동의 중추적 지위

인간의 행복과 사회의 번영은 세계의 평화를 위한 위대한 과업을 수행하는데 선행

이것은 사람들의 삶의 의욕과 진보에 대한 각성을 통해 인간, 사회, 자연에 대한 이해와 새로운 기술의 습득을 통해 이뤄진다.

3. 유네스코의 세계 성인교육회의

1) 1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Elsignor, 1949) 21개국 79

▶ 성인교육의 공헌 강조

- 민주주의 회복과 사회적 책임을 위한 시민적 자질 함양

- 사회,문화,경제적 적응 문제 해결

▶ 결론

▷ 목적

단순한 훈련과 수업의 기회 마련뿐 아니라 지적 관심과 사회적 자유와 관용의 분위기 마련, 개인이 시대의 문화생활 발달에 참여하기 위한 욕구와 능력 자극

▷ 과제

개인들의 경제,사회,정치적 기능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갖게 하는 동시에 그가 속해 있는 지역사회 안에서 조화롭고 협동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 줌

2) 2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Montreal, 1960) 51개국 112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성인교육

▶강조

가속화된 경제,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

발전도상국의 지역사회 개발과 기초성인교육 문제

▶ 성인교육의 역할

변화를 이해하고 변화에 적응 또는 변화를 조정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도움

▶ 의의 및 결론

매우 다양한 배경을 가진 대표들이 모여 성인 교육의 다양한 의견 교환

기술시대의 적응 -> 직업 기술교육의 필요성 강조 됨

3) 3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Tokyo, 1949) 85개국 400여명

▶ 특징

- 개도국의 참가 대폭 증가

- 성인교육이 국가교육체계의 중심부로 자리 옮김 시작

- 성인교육 개념에 공통적인 용어와 개념이 생기기 시작

- 교육권리 보장 강조

▶ 결론

통합적 평생교육체제 속에서의 성인교육의 지위 확립

4) 도쿄 회의(3차 회의) 이후의 발달

각 국 성인교육 관계법규 제정 또는 정비 사업 전개

전국적인 사회교육협회 및 기관의 형성과 발달

19차 유네스코 총회(Nairobi)성인교육발전을 위한 건의채택에 공헌

- 성인교육의 원리와 지표를 제시

- 교육의 민주화와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의 통합

- 혜택받지 못한 집단에 대한 배려 (교육의 평등과 권리)

5) 4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Paris, 1985) 122개국 841

▶ 노력의 2가지 관점 제시

- 지식의 전달로 사회적 결속과 모든 사람의 진보를 가능하게 하는 일

- 세계 문제를 이해하며, 다른 배경과 특징을 상호 이해와 협조할 수 있게 하는 일

▶ 중점 논의 내용

- 정보자료 배포, 보급의 필요성

- 연구와 실험 강조

- 교육자료 작성과 소개

- 세미나와 워크샵 개최 권장

- 지역 간의 협력

- 성인교육 관계법이 국가적 수준에서 확인돼야 함

- 조정된 협동과 자원의 동원

è 의미는? 유네스코의 지원을 적절히 조정해야 한다는 뜻인가?

- 배울 권리(The Right to Learn) 인정 -> 인류의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공헌

▶ 세계성인교육의 방향

개인의 자아실현의 기회를 보장하고 교육의 민주화와 인류의 공동복지 실현을 위한 세계사회건설

6) 5차 세계 성인교육회의 (Hamburg, 1997) 150개국 2,000여명

‘21세기의 열쇠가 되는 성인교육

비정부 성인교육기관 및 관계자들의 참여와 공헌 증대

정부기관과 비정부 기관간의 상호 건설적인 협력

4. 국제성인교육단체의 활동

1) 성인교육의 국제적 협력 증가

세계적인 수준의 평생교육 보급운동은 비정부국제기관들이다.

식량농업기구(FAO), 국제노동기구(ILO), 아동복지기금(UNICEF)

사업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청소년▪성인교육을 활용

유네스코의 사업은 정보와 자료를 수집▪정리하여 보급

2) ASPBAE의 조직과 활동 (Aisa-South Pacific Bureau of Adult Education)

1964년 창설 아시아▪남태평양 사회교육기구

4개 지역으로 나뉘고 3년에 한번씩 전체회의 및 세미나

▷ 기능

- 비교적 낙후 상태에 있는 국가들의 사회교육사업을 기획 추진

- 사회교육지도자를 훈련

▷ 한국

1976년 사회교육협회 형성

19903지역에서 2지역으로 바뀜

3) ICAE의 조직과 활동 (International Council for Adult Education)

1972년 제3차 유네스코 세계성인교육회의에서 제창

1973년 국제성인교육협회 창설

1973 1차 회의 인간의 해방 즉, 발전의 목표

모든 발전은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그 목적은 인간을 해방하는 일이다.

그러나 인간은 스스로 해방하며 (자유로워지며) 스스로 발전하는 것이다.”

- 탄자니아 대통령, ICAE 명예회장 쥴리어스 니에레레 -

1979년 선진국 주도, 온건 진보 -> 개도국 주도, 혁신적 노선 (민중교육운동 지향)

1982년 대중의 생활향상과 사회의 제도개혁을 목표로 하는 민주주의 운동 지향

▷ 의의

매우 다향한 배경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모여 조화와 질서를 유지하면서 무엇인가 하나의 공통적인 방향을 찾는데 성공

▷ 활동

17가지 관심사업분야, 지역 워크샵 개최, 뉴스레터 발간, 정보교환사업

4) PROAP의 모든 이를 위한 교육계획(APPEAL)

유네스코 아세아태평양지역사무국(Principal Regional Office for Asia and Pacific)

모든 이를 위한 교육사업’(Asia Pacific Project of Education for All)













7장 평생교육과 성인교육

1. 사회교육과 성인교육

평생교육이 대부분 사회교육 또는 계속교육의 동의어로 받아들여지는 경향

사회교육 일제시대로부터 전해진 단순 행정용어로 학교교육 이외의 모든 교육 의미

▶ 관련 조직 명칭 변화

사회교육과 (일제시대)

-> 성인교육국 (1945~1948)

-> 성인교육과 (1955~)

-> 사회교육법 (1982) 제정으로 사회교육으로 완전 정착

▶ 여러 나라 사례

일본 (1988) : 사회교육국 -> 평생학습국

대만 (1992) : 사회교육 -> 성인교육

중국, 홍콩, 싱가포르 : 이미 성인교육 사용

한국만 사회교육으로 표기하고 있었음(2000년 기준)

2009년 현재 한국도 성인학습(adult education)을 사용

2. 성인교육의 과제

▶ 에서트(Essert) – 성인생활의 경험으로 삶의 질 향상과 행복, 사회의 진보 달성

▶ 인간은

이성적 동물로써 지식에 관한 교육, 가치에 대한 교육 필요

사회적 동물로써 사회화와 시민교육이 필요

▶ 성인교육의 내용 및 형태

- 문해 및 기초교육

- 인문교양교육

- 시민교육

- 직업 및 기술훈련

- 여가 및 취미 프로그램

현재는 직업, 기술, 여가, 취미 쪽 교육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음

è 협회에 각 분야별 소모임을 구성하는 것도 좋을 것 같음

[7-1 성인교육관계 개념구조] 참조

3. 인문교양교육의 과제

1) 인문교양교육(liberal education)의 의의

자유인의 교육’, ‘자유를 위한 교육에서 유래

진정한 자유인 : 지성과 양심을 갖춘 사람, 자기 운명의 주인

- 인생의 목표가 있고

- 가치 기준을 확립하고

- 다른 사람과 더불어 조화롭게 살아갈 줄 아는

배우는 그 자체를 즐기며 스스로 자기 자신을 충실히 하는 교육

성인교육의 중핵

민주주의 사회에 있어서 개인의 가장 핵심적인 교육과정

미국

general education(1944) ‘자유사회에서의 책임 있는 시민을 위한 교육

4년제 대학을 인문대학이라 부르며 학부가 인문교육을 목표로 교육하고 있다는 뜻

한국 ≈ 교양교육 -> 대학별 교양교육과정으로 정착

2) 인문교양교육의 내용

다양한 교육 내용을 포괄 (철학, 종교, 생물학, 심리학, 역사, 사회, 자연, 우주 등)

인문교육을 기초로 생활과 직업에 맞는 프로그램과 취미활동이 이뤄져야 바람직하다.

3) 아들러의 인문교육 모형 (Paideia Proposal)

조직적 지식 습득 -> 지적기술, 학습 기술 발달 -> 사상과 가치에 대한 이해 확대

[7-3 Adler의 인문교육 모형] 참조

4. 문해교육의 과제

1) 문해 및 성인기초교육의 의의

글을 모르는 사람은 반드시 무능력자도 아니며 비인격자도 아니다.

그들은 우수한 기억력을 소유하였다. 단지 학습 기회를 제공받지 못했을 뿐이다.

▶ 현재 한국은

초등학교나 중학교를 졸업한 사람들이라도 계속 글을 읽고 쓰는 문화적 환경과 기회가 주어지지 못하는 시스템으로 국민의 평생교육권리 찾아 문해교육 및 성인기초교육 정책에 우선 반영되어야 할 부분

▶ 미국 성인교육법 목적

- 언어 능력의 제한을 극복 (문해교육)

- 직업훈련과 고용에 필요한 기초 교육 증진 (기초교육)

- 생산적이고 책임있는 시민이 되도록 도와주는 것 (시민교육)

중학교 졸업수준까지 학습 지속 협조, 전국 모든 학구에 성인학교 설치

2) 문해교육의 현황

최근 증가하는 문해교육기관은 정부의 지원, 지도 및 통제가 약한 자원단체와 사설학원

문제점 - 교육과정의 표준화, 학습자료의 전문화, 교사의 자질

3) 산업선진국의 문해교육사업

공통적으로 비문해자들이 방치된 상태에서는 그 나라의 민주주의 제도나 산업화 과정에서 보장된 기회균등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인식에서 출발

è 산업화 과정과 기회균등의 관계는?

4) 문해의 기준과 조사방법

표준화된 기준이 없어 조사 시 기준에 따라 다름. , 비교는 어려움

최근(2000) 한국 국민 15세 이상 인구 중 30%가 생활(기능) 비문해자

※ 산업화 사회의 문해개념

: 현재 자신이 속해 사는 사회 안에서 문화를 이해할 뿐 아니라 직업적, 사회적 적응에 있어서 불편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의사소통능력

5. 삶의 질을 위한 성인 교육

1) ‘삶의 질에 관한 개념

두 가지 접근방법

- 사회적 차원 : 생활수준 (생활환경 및 조건개선)

- 개인적 차원 : 생활방식의 우수성 (인문교육, 시민교육, 환경교육)

※ 삶의 질 : 보다 행복한 삶, 보다 가치로운 삶을 위한 기준과 만족에 관계되는 비교적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식

※ 유네스코 정의 : 사회복리수준과 인간의 필요충족 및 만족성에 관계되는 개념

2) 삶의 질과 교육 목표

목표는 인간의 내부적 성취 가치

과학에 밀려 인간의 정신적, 심리적 가치를 소홀히 한 현대교육의 중요한 학습목표

- 근면과 열성

- 지식에 대한 존경과 학문적 노력

- 성실성과 도덕성

- 조화와 평등을 위한 관용

- 지역사회와 국민에 대한 시민적 충성

3) 성인교육 계획

삶의 영역(5가지)에 따라 <7-6> 성인교육의 방향과 내용

- 생물학적 : 생존

- 사회적 : 조화와 진보

- 경제적 여건

- 인간적 영역 : 행복감, 내적 조화, 정신적 성취

- 환경 영역 : 자연과 인위의 환경

활동전개는 자기학습, 참여학습, 집단활동의 방법이 바람직

삶의 질을 위한 교육은 개인적 지표인 인문,시민,환경교육에서 보다 전문적 계획 필요







클라우드, 새로운 인터넷 세상의 이해 & 경제노트 대학생 인턴모집(12기)
예병일이 노트지기의 다른 글 보기2010년 12월 1일 수요일
인터넷 세상이 급격히 바뀌고 있다. 특히 요즘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단어가 있다면 '클라우드'일 것이다. 관련 기업들은 앞다투어 클라우드 시장에서 승리하겠다고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클라우드란 무엇인가?
클라우드에 대한 평가는 어렵다. 등장한 지 꽤 시간이 지났는데도 이용하는 사람에 따라 정의가 저마다 다르다. 진정한 혁신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용어만 난무할 뿐 누구도 진짜 의미를 알지 못하는 버즈워드(의미가 희박한 유행어)라고 보는 사람도 있다. (26p)
오카지마 유시 지음, 김정환 옮김, 예병일 감수 '애플 구글 마이크로로소프트 삼국지 - 그들이 바꿀 인터넷 세상, 우리가 누릴 인터넷 세상' 중에서 (예인(플루토북))
인터넷 세상에 커다란 변화가 밀려오고 있습니다다. 이 변화의 핵심 키워드는 ‘모바일’과 ‘클라우드’입니다. 우선 스마트폰과 태블릿PC가 촉발한 ‘모바일’이 일상생활과 비즈니스 전반을 파고들고 있습니다. 모바일은 개인에게는 편리한 ‘모바일 라이프’를, 기업에게는 비즈니스 모델 변화와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을 가져오고 있지요. 여기에 ‘클라우드’가 결합되면서 인터넷 세상의 변화는 가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여기서 '모바일'은 우리에게 쉽게 다가오지만, '클라우드'는 조금 거리가 느껴지는 용어인 것이 사실입니다. 언론에 자주 등장히고 있고, KT 등 주요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분야인 클라우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번 정리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클라우드’(Cloud). 단어의 의미 그대로,‘하늘 위 구름 저편’에 국경을 초월해 세계적으로 분산된 거대한 병렬 컴퓨터가 있고, 우리는 그 거대한 컴퓨터를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활용한다는 개념입니다. 정보 저장이나 계산 처리가 구름속에서 이루어진다는 의미이지요. 이 클라우드를 통해 기업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개인은 필요한 문서나 동영상, 음악파일을 꺼내 씁니다. 클라우드에 접속할 수 있는 디바이스(창문)만 있으면 됩니다. 그 기기는 PC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PC일 수도 있겠지요. 이론적으로는 기업의 전산실이 필요 없는 세상이 되는 겁니다. 이 클라우드는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이라는 초거대 IT기업이 전세계 곳곳에 구축한 대규모 데이터 센터들의 유휴 자원을 ‘임대’해주면서 시작됐습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개인용’ 컴퓨터(PC)를 사용해왔습니다. 몇 년에 한번씩 새로 나온 고사양의 PC를 구매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하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업도 고가의 서버를 구매해 IDC(인터넷데이터센터)나 자체 공간에 모셔놓고 서비스를 하고 있지요. 하지만 이제 클라우드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 고가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소유하지 않고도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쓴 만큼만 비용을 내고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물론 서버나 PC도 일부 사용되기는 할 것입니다. 과거 장롱예금을 위해 금고(PC,서버)를 각자 구매해 사용해오다 은행(클라우드)이 등장하면서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대세가 되었지만, 여전히 우리는 일정 부분 현금을 보관할 필요를 갖고 있으니까요.
이 '금고와 은행의 비유', 그리고 ‘발전소의 비유’는 클라우드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적절해보입니다. 과거 전기를 사용하려면 가정마다 발전기를 구매해 전력을 만들어 사용해야 했던 시절이 있었지요. 하지만 발전기는 고가인데다 유지관리도 힘들고 계속 신형모델이 나옵니다. 발전에 사용하지 않는 유휴시간도 많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발전소라는 모델입니다. 커다란 발전소가 등장해 전력을 대량으로 만들고, 가정은 필요한 만큼만 돈을 내고 전기를 사용하는 것. 지금의 모습입니다.
우리는 현재 집안에 발전기를 사놓고 전력을 만들어서 사용할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전기는 그냥 콘센트를 꽂고 사용하는 서비스일 뿐이지요. 컴퓨터나 서버도 그렇게 되리라는 것이 클라우드 시대의 의미입니다.
현금을 집안 금고에 보관하다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듯이, 집집마다 소형 발전기를 돌리다가 집안 콘센트를 통해 발전소 서비스를 이용하듯이, 클라우드가 우리의 생활과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실제로 얼마나 바꿔갈지 주목해야할 시점입니다.

매우 의미있는 이야기죠.

미래가 상당이 되세요? ^^









절대 균형


침묵은
심-신-정신의 절대 균형이다.
자신을 지키는 자 언제나 침착하고 폭풍에도
흔들리지 아니 한다. 그래서 얻는 것은 무언가?
자제, 참 용기, 극기, 인내, 존엄, 위덕이다.
침묵은 인격의 초석이다.


- 신명섭의《강은 거룩한 기억이 흐른다》중에서 -


* 입이 가벼우면 사람도 가벼워집니다.
마음의 무게를 잃게 돼 자제, 극기, 인내, 존엄...
그 모든 인격의 초석도 부평초처럼 흔들리고
심-신-정의 절대 균형도 어려워집니다.
절대 균형을 이룬 사람이어야
절대 믿음도 생겨납니다.



요즘 흔들리는 자신을 느낍니다.

자신감의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마음과 몸에 흔들림이 생기는 것을 느낍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어느 것을 다잡아야 할까요?

특별히 우선 순위가 있다기 보다는

자신이 가능한 것 부터 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로켓포 공습 속에서도 번영하는 이스라엘과 국민들의 결연한 의지 '다브카'
예병일이 노트지기의 다른 글 보기2010년 11월 24일 수요일
워드미르에 의해 조성된 테판 지역 산업단지에 어느 날 갑자기 로켓포가 꽝하고 터졌으며 곧이어 수많은 포탄이 그 일대에 작렬한 적이 있었다. 버핏이 투자했던 이스카도 그 산업단지의 중앙에 위치해 있었다. 따라서 전쟁 중 많은 근로자들이 가족들과 함께 남쪽으로 임시 거처를 옮기는 소동을 벌였음에도 이스카의 고객들은 그 사실을 전혀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고객 서비스가 완벽했다.
"근로자의 재배치가 있었음에도 적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잠깐이었고 전 세계 61개국의 고객들은 전혀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단 한건의 제품과 서비스 차질도 빚지 않았던 것이다. 즉 적어도 우리 고객에게만큼은 전쟁은 없었다"라고 그는 회고했다.
이런 식으로 위협에 대처함으로써 이스라엘 기업들은 외국 투자가들에겐 이스라엘이 위험하다는 인상보다는 오히려 이스라엘의 확고부동한 신뢰의 자산을 증명해 보이고 있으며 이런 면들이 버핏,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와 같은 세계 최고의 기업들에게 설득력 있게 잘 전달되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205p)
댄 세노르 & 사울 싱어 지음, 윤종록 옮김 '창업국가 - 21세기 이스라엘 경제성장의 비밀' 중에서 (다할미디어)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로 온 나라가 충격에 빠져있습니다. 이제는 공개적으로 민간인 거주지역에까지 포탄을 발사해 민간인 사망자를 발생케하는 북한. 그 존재가 우리의 생존과 경제 시스템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고 걱정됩니다.
오늘 같은 날에는 경제노트에 일반적인 경제 이야기나 자기경영 이야기를 쓸수가 없었습니다. 어떤 말씀을 드릴까 고민하던중, 얼마전 만났던 주한이스라엘 대사와 그날 읽었던 책이 떠올랐습니다.
지난달 조찬 모임에서 만났던 주한이스라엘 대사. 그는 적국들에 둘러싸여 있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또 그만큼 척박한 자연환경 속에서, 나라를 지키며 최고의 농업국가, 최고의 IT 강국으로 번영하고 있는 이스라엘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책에서 읽었던 인상적인 내용이 떠올랐습니다. 소개해드리기 위해 서가에서 책을 꺼내 찾아보았습니다. 이스라엘로 날아든 로켓포 숫가자 많았던 해일 수록 외국인 직접투자(FDI)의 규모가 늘어났던 통계가 그래프로 소개되어 있었습니다. 경제성장률도 로켓포 피습의 숫자와 비례해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 일반적인 예상과는 정반대의 모습입니다.
실제로 이스라엘이 레바논과 전쟁을 하면서 2000기의 미사일 공격을 받았던 2006년,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는 현지를 방문했고 대규모 투자를 결정했습니다. 그 직후 워런 버핏도 이스라엘을 방문해 이스카라는 기계공작회사를 45억 달러에 인수하는 투자를 했습니다. 구글도 전쟁중이던 2006년에 연구소와 공장을 지었습니다.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위험한 나라에 투자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결정입니다. 한순간에 투자금을 모두 잃어버릴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그걸 가능케했던 것은 국민들의 용기와 결의였다고 책은 강조합니다.
책에서 소개한 1991년 이라크 전쟁 당시의 인텔 이스라엘 공장 이야기는 인상적입니다. 그 공장은 당시 전세계 386칩 물량의 75퍼센트를 공급하고 있었습니다. 이라크의 이스라엘에 대한 스커드 미사일 공격을 앞두고 인텔 미국본사 경영진은 회사의 전략적인 기술과 핵심 생산기지를 계속 이스라엘에 남겨둘 것인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그 때 이스라엘 공장 책임자인 프로먼은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작은 규모의 하이테크 경제에 바탕을 두고 있는 이스라엘 경제가 생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만약 전쟁 중 인텔이 위급 상황을 핑계로 가동을 멈추게 된다면 다국적 기업, 투자가들, 그리고 세계 시장에서 인텔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자체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급속히 퍼져나갈 것이다..."
프로먼은 미사일 공습이 시작되어도 회사의 문을 열겠으니 지원자에 한해 출근해도 좋다고 발표했습니다. 물론 출근하지 않는다고 해도 불이익은 없다는 말도 덧붙였지요. 1월18일 새벽 화생방 사이렌과 함께 미사일 공격이 시작됐습니다. 새벽 3시 30분 프로먼은 방독면을 쓴 채 공장으로 출근했습니다. 75퍼센트의 직원들이 나와 일을 하고 있었습니다. 다음 날 이어진 미사일 공격 후에는 80퍼센트가 출근했고 공격이 심해질 수록 출근율은 더 높아졌다고 합니다.
"산타클라라의 본사 임원진은 이 사실에 숙연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틀 후 산타클라라 본사와의 전화 회의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화생방 사이렌은 계속 울려대고 있었다. 이스라엘 측 회의 참가자들은 본사에 잠시 기다려 달라고 양해를 구하고는 방독면을 쓰고 방공호로 들어와서 다시 전화기를 들고 회의를 재개했다..."
인텔 이스라엘 공장 프로먼의 사례는 지금도 새로운 다국적 기업이 이스라엘에 중요한 시설과 공장을 건설할지 여부를 놓고 망설일 때 좋은 참고 사례가 되고 있다고 합니다.
2006년 레바논 전쟁 당시 아이탄 워드미르 이스카사 회장은 이 회사에 투자한 워런 버핏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 전쟁에서 누가 이길 것인지는 이스라엘에 미사일이 떨어지는 동안 이스라엘의 기업 생산성이 얼마만큼 올라가는지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공격할 테면 해봐라. 우리는 오기로라도 더 성공하겠다." 이런 이스라엘 사람들의 결연한 의지를 '다브카'(davca)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영어의 'despite'(그럼에도 불구하고)과 비슷한 뜻입니다. 개인이건 기업이건 국가이건, 힘든 여건 속에서 생존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이런 의지가 필요합니다.
안타깝지만 우리에게 직접적인 현실로 다가온 북한의 위협. 이런 북한의 위협이 계속된다면, 우리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 필요한 것은 '다브카' 같은 결연한 의지입니다.

정말 숙연해 진다라는 말이 가슴에남는 사례가 아닌가 싶습니다.

생명을 걸고 회사를 지키기고자 하는 애사심

그리고 그 내면에 포함된애국심

우리에게도 있는 작은 나라의 힘이라고 생각합니다.

위기가 발생하면 모두는 아니더라도 대다수는 그럴 것이라는 것을 믿습니다. ^^





'paran 시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0) 2010.12.07
절대 균형  (0) 2010.12.02
온라인 교육의 미래는?  (0) 2010.11.11
[배치]오리를 독수리 학교에 보내지 마라  (0) 2010.11.11
행복은 목표로 가는 과정에 있다  (0) 2010.11.11



http://www.vincoedu.co.kr/

최고 선생님과 일대일 화상강의

수업동영상을 PMP로 넣어 시간, 장소에 상관 없이 반복 학습

출석관리, 레벨테스트를 통한 학생 수준 체크 및 상담 지원

화상으로 질의응답

=> 학습자 개개인에 맞춘교육 지원

기존 온라인 강의의 일방향 소통을 완벽히 깨드린 업체

실제는 어떤지 몰라도 미래의 교육 단면을 현재 구현한 듯한 느낌.

충격~!

앞으로 온라인 교육은 어떻게 변화할까?

궁금하네







조영탁의 행복한 경영이야기
직원, 고객, 사회, 주주 모두가 행복해지는 행복경영의 이상실현을 위하여!
with HUNET
2010.11.11 제1568호
오리를 독수리 학교에 보내지 마라!
고양이는 고양이가 할 일을 하고, 오리는 오리가 할 일을 하며,
독수리는 독수리가 해야 할 일을 해야 한다.
오리를 데려다가 독수리의 역할을 하라고 요구하면,
전적으로 리더의 잘못이다.
리더의 역할은 오리를 더 나은 오리로,
독수리를 더 나은 독수리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요컨대 팀원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모두가 잠재능력까지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리더의 역할이다.
- 존 맥스웰
촌철활인:한치의 혀로 사람을 살린다
오리는 헤엄을 잘 치고, 탁월한 팀워크를 보이며 서로 협조해서 일하고,
함께 먼 거리를 여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오리에게 하늘 높이 올라가 높은 곳에서 사냥하라고 요구해서는 안 됩니다.
오리는 애초부터 그런 일을 해낼 수 없습니다.
반대로 독수리에게 헤엄을 치거나, 수천 킬로미터를 이동하라고 하면
혼란에 빠져 어쩔 줄을 모릅니다.

적재적소(適材適所), 결코 잊어서는 안될 인사의 핵심원칙입니다.
(행복한 경영이야기 http://www.happyceo.co.kr/)

내가 생각하는 인사의 순서

첫번째는 잘 뽑는 것

두번째는 적합한 곳에 배치하는 것

세번째는 잘 육성하는 것

네번째는 그가 다른이를 잘 이끌게 하는 것

이 모든 것이 회사의 비전과 미래를 위한 것

그런 와중에 은연 중 자신이 성장하는 것







미 일리노이드대 행복심리학 창시자 에드디너 교수

연세대 심리학과 서은국 교수

서 : 행복한 사람들의 특징은?

디너 :

실험에 의해 행복점수가 높은 10% 분석결과 사회관계가 양과 질 모두 높게 나왔습니다.

행복의 필요조건이 있다면 좋은 사회관계입니다.

서 : 행복의 지침이란?

디너 :

1. 좋은 친구나 가족 등 소중한 사람들과 시간을 더 많이 보내야 합니다.

2. 좋아하고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일을 해야 합니다.

목표 그 자체보다는 그 것을 이루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서 :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것

디너 :

시험보다 배우는데서 즐거움을 찾아야 합니다.

돈을 많이주는 곳보다 자신의 재능과 능력을 발휘할 직업을 선택해야 합니다.

부모도 자식들이 높은 점수를 받았을 때보다 최선을 다할 때 칭찬해 주어야 합니다.

직장에서도 자신의 일뿐만 아니라 동료를 도와주는 사람을 더 높게 평가하는 문화여야합니다.

출처 : 이코노미스트 2010.??

더 행복해 지기 위해

과정에 더 집중하자.

과정을 칭찬하자.

과정!!







고정석(일신창투), 김동식(케이웨더), 윤송이(엔씨소프트) 대담

화두 : 국내에선 왜 잡스 같은 CEO가 안나올까?

고 : 해외 벤처캐피털 업체가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판단할 때 3가지 봅니다.

1. 신제품이 나오는지

2. CEO를 쉽게 바굴 수 있는지

3. 회사가 M&A될 소지가 있는지

국내에선 2,3번이 걸림돌

윤 :

회사가 성장할 때 창업자 스스로 역량, 자질을 파악해야

회사가 계속 성장하기 위해 자신의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게 좋을 지 가늠

만약, 거취를 결정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면 빠르게 실행하는 용기 필요

젊은층의 도전정신 사라졌다.

20,30대 벤처기업가의 비율으 1999년 58%에서 2009년 12%

고 : 연대보증제도 꼭 바꿔야

김 : 벤처기업의 성공사례가 거의 없다 그래서 창업에 대한 기대치가 없다

윤 : 획일주의 문제, 하나의 잣대로 순위를 매기는 풍토

국내에만 머물지 말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경쟁해야 한다.

출처 : 이코노미스트 2010.??














어리석은 자가 지혜로운 자를 가까이 하는 것은
마치 국자가 국 맛을 모르듯이
아무리 오래도록 가까이 해도
그 진리를 알지 못하네.

어진 이가 지혜로운 이를 가까이 하는 것은
마치 혀가 음식 맛을 알 수 있듯이
비록 잠깐 동안 가까이 하더라도
참다운 진리의 뜻을 아네.

(중략)

<법구비유경> 우암품.

법정 [인연 이야기]중

========================================

오늘을 요리와 인연 이야기군요.

국 속에 들어 있는 국자.
얼마나 오랫동안 국과 함께 있겠습니까?

하지만 국자는 국 맛을 모릅니다.
국 맛을 알 수 있는 혀가 없기 때문이지요.

환경이 중요하다고 말을 하지만,
자신이 그 환경을 받아들일 수 있는 마음자세가 안되어 있다면,
국 속에 담겨 있어도, 국자같은 삶 밖에 이루질 못합니다.
자신의 챙겨야 할 사람이 얼마나 소중한 사람인지 알지 못하죠.

반대로 자신이 어진이가 된다면,
주변의 인연으로 지혜로운 이를 만날 때 느낌이 옵니다.
'이 사람이 나와 함께 갈 사람이구나'

누가 저를 국으로 생각해 줄지 그건 두번째 문제입니다.
다만 저는 제가 국자가 아닌 혀가 되길 바랍니다.

그래서 제 주변에 있는 지혜로운 이들을 소홀히 하지 않고,
그들을 챙겨, 그들 인생에 좋은 양념이 되길 바랍니다.

어리석지 않게 살기란 그래서 얼마나 힘든 일입니까?
여러분은 어떠십니까?

좋은 하루 만드세요.

p.s) 주변 사람들이 왜 이렇게 말라가냐고 하는데,
(아마 운동하는 거 보신 분들은 다른 식으로 생각하시겠죠?)

좀 덜 먹고, 그대신 많이 고민하며 살고 있습니다.
저도 좀 더 살아내고, 이겨내고 싶은 마음 간절합니다.

그 속에 제 좋은 인연과 좋은 책이 두 힘 줄 입니다.
죽음이 찾아오는 운명이 아니라면,
역설적으로 어떻게든 살아내라는 뜻일 겁니다.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며 서 있습니다.

posco 사내 코치, 작가, 리더십 FT, 자기경영혁신가
정곡(正谷) 양 정 훈
국제코치협회 인증코치
한국코치협회 전문코치 및 인증심사위원
강의, 코칭, 독서 관련 운용 [네이버 파워 블로거]
블로그 : 내가 사는 이유 : 삶의 향기, 양코치(yangcoach)
저서 : 내 책은 하루 한 뼘씩 자란다 / 9 to 6 혁명

E-mail: bolty@naver.com /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일은 나 자신이 되는 것을 아는것이다.
- 몽테뉴 -

참 법정스님의 탁원한 표현력!

국자는 당연히 국 맛을 모를 것 이다.

국자는 단지 국을 뜨는 도구일 뿐이기 때문에.

나는 도구인가? 소비자인가?

나는 그냥저냥 사는가? 삶의 진리를 알고자 하는가?

국자는 선택도 못하지만

사람은 삶의 태도에 따라 국자가 될 수 도 소비자가 될 수 도 있겠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