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등대학교.사교육걱정없는세상.강의.
강사 소개
중학교 윤리 교사. 2017년 명퇴 -> 회복적생활 교육 센터
문제 행동 (실수와 잘못) -> 처벌적 훈육 (벌, 논리적 결과, 강압, 거짓된 선택)
강압과 처벌 한계
. 장기적 효과 없어
. 악순환
. 힘의 논리 강화
. 관계 악화
. 도덕성 약화 (외적평가 강화 -> 비자발성 -> 내적 평가 저하 -> 도덕성 약화)
응보적 정의 : 보복, 처벌 욕구 - 가해자 처벌 (현재 사법체계)
회복적 정의 : 안전, 사과 욕구 - 피해 회복
회복적 정의
. 1974년 캐나다 사례
. 당사자와 공동체가 참여해 피해가 회복될 때 성취
. 나의 고통도 말하고 타인의 고통도 이해해야 진정한 사과 회복의 시작
첫 질문이 다르다
. 응보 잘못 - "누구의 잘못인가?" - 처벌
. 회복 잘못 - "어떤 피해가 있었는가?" - 피해 -> 책임의무
응보적
. 존엄의 침해, 존재의 거부 -> 범죄로 연결
. 처벌의 기억, 불편, 불쾌 스스로 인정 못해 -> 초중고 크면서 인정 못하고 반항, 범죄 발생
. 불편, 불쾌는 수치심으로 변해
.. "사회에 인정 못 받는 사람이다."
.. "사회에 불필요한 사람이다."
.. "날 바보로 알잖아요."
.. "난 바보가 아니 거든요"
.. 등등의 수치심을 만든다
# 인간은 누구나 존엄하다
# 존중은 평가되어도 존엄은 평가되지 않는다.
도나힉스 - 갈등해결전문가
파커파머
훈육자의 역할 5가지
1. 아이들 필요를 묻기 (요구)
2. 변화를 위한 공간 만들기 (소통과 대화 공간 # 안정적 공간 - 숲)
3. 질문하고 대화하기 (아이 스스로 주체가 된다, 솔직하게 말하고 판단은 보류하며 듣기)
4. 함께하는 리더십 (하게 하는 -> 함께 하는,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 지원한다)
5. 갈등을 평화적으로 전환하기 (판결 -> 중제자)
회복적 질문
1. 피해 확인
. 피해자(A)에게 "무슨일이 있었니?", "마음이 어떠니?"
. 가해자(B)에게 "무엇을 들었니?" - B 대답
. A에게 "B 말이 맞니?"
. B에게 "너는 마음이 어떠니?"
2. 욕구 확인
. A, B 각각에게 "무엇이 중요한거야?"
3. 책임 확인
. "너는 무엇을 약속할 수 있어?"
"내안에 사랑이 있을 때 진리를 이야기 하라"
사랑이 없다면 진리는 상처가 될 수 있다
내가 만약 당신이라면 식물을 달래 주지 않을 것이다
그렇게 조심스레 보살피는 것은 식물에게 해로울 수 있다
흙을 쉬게 하라 너무 갈아엎지 말고
마를 때까지 기다리라 물을 주기 전에
잎은 스스로 제가 갈 방향을 찾고 싶어 한다
잎에게 자기 힘으로 햇빛을 찾아갈 기회를 주라
성장을 가로막는 것은
지나친 재촉, 너무 세심한 보살핌
사랑하는 것들을 그냥 놓아두는 법을
우리는 배워야 한다
- 나오미 롱 매젯 <꽃 가꾸는 여인> (류시화 옮김)
Q&A
2004년 학폭법, 가해자 처벌 강화
여론으로 2012년 처벌주의, 형사법 유사화, 생기부 기록, 교사 개입 안함
법 개정이 필요하다
그 전에 인프라 구축 필요(강의, 교육 필요)
평화는 갈등이 드러난 후 정의로 가는 길이다.
관리가 필요하다 (서클, 대화모임 등등 있다면 건강하고 없다면 위험하다)
억압은 평화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