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내가 그린 그림이야. 지금의 어린아이들 그림과 별반 다르지 않지? 나는 이때 시작한 그림을 결코 그만두지 않았어. 천재적이었다고 할 수는 없지만 그림 그리는 걸 무척 좋아했거든
# 작아도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
명품이 인정한 그림이라 명품? 명품 그림이라 명품이 선택? 꾸준함의 이야기가 명품을 만드는 것
스토리가 그림의 여백을 채운다
특징만 남기고 생략
선으로 시작한 그림 그림 그리며 겪는 희로애락 표현 쉬운 것은 없어 그래서 즐거워야 해 하고 싶어야 해
어린이들은 모두 그림을 그리지. 그림은 본능적인 언어야. 아이들은 자신들이 그린 그림이 살아 있다고 더 이상 믿지 않는 순간 그림 그리기를 중단해 버려, 기억해! 유년기의 에너지와 즉흥성을 되찾으려면 한 사람의 일생이 걸릴 수도 있다는 것을.
# 아이의 순수함을 가능한 오래 죽을 때까지 지켜야 해 # 그게 나야
그림들이 무언가 익숙하다고 생각했는데 아이들이 어릴 적 보던 만화다 ㅎㅎ 그때는 이분이 유명한 분인지 몰랐지
앱 이용 증강현실 전시 앞으로 전시도 움직임이 주도할 것 게임 요소 가미 예상 고글이나 안경에 카메라 장착되면 더 다양한 표현과 소통 가능해져
작가는 무정부주의자에 무신론자다 유대인이지만 전쟁 등을 겪으며 가치관을 만든 것 같다
성경은 우리가 반복해서 계속 읽고 들려줄 때 생명을 얻는다. 결국 인류는 같은 이야기를 계속 반복하고 있다: 정체성 찾기, 남녀 관계, 기원에 대한 탐구 분쟁의 조정 추방과 이주의 역사 이는 아주 오래된 이야기면서도 우리가 살고 있는 현대의 모습이기도 하다. 저자 프레데릭 부아예는 이 책은 성경에 대한 것이 아니며, 성경이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 그리고 오늘날 우리의 삶 과도 관련이 있는 질문들을 탐구할 수 있는 책이라고 말한다.
성경은 해답을 주는 것이 아니고, 좋은 질문들을 내포하고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성경을 다시 생각해 본다는 것은 그 자체로 거대한 서사적인 일이다. 그리고 그 서사의 중심은 곧 해석이다.
"우리는 모두 날개를 가지고 있어요 그 날개를 멋지게 키우고 싶다면 책을 많이 읽으세요."
"정말로 좋아하는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서 날개를 키우는 거에요."
"자기 작품의 핸들링은 스스로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자립 말이야 자립"
# 성인인가 아닌가는 스스로를 핸들링 할 수 있느냐 없느냐의 비율
"왜 저 같은 사람한테 그렇게 친절하게 대해주시는 거죠?" "모두 책을 사랑하는 동지니까" # 공동체는 힘이 없어도 잘 살게 해준다
'산은 내 힘으로 오르는 수밖에 없어 내가 믿어온 것만이 나를 지탱해 준다.' # 자기 힘이 없다면 누구도 도와줄 수 없다. 기본은 나 부터다
"똑같다고 착각하고 있을 가능성은 없나?" "진짜를 간파하는 안목을 기르기 위해 아름다운 것을 열심히 봐야 하는 게야." "어째서 아름다운 것을 보면 진짜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는 거야?" "아름다움은 마음에 남거든, 그걸 기준으로 단련하는 게지." # 단련된 사람을 위한 아름다움, 소수의 행복 # 마음에 남는 무엇이 되는 것이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