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과거 시작해서
문헌공도
학원 생겨 12공도
'최충'
..국무총리급 관식 이었고 과거 시험 수석자가 만들어
사람 몰려

잘되자
과거 시험 합격자 데려와 강사 시켜
일타 강사 처럼 가르쳐
. 노하우 공유
. 하계 집중 학습

좋은 공도에 들기 위해 공부
. 레벨 테스트

 


조선시대
서원
성인군자를 기르기 보다 시험에 통과하기 위한 수단으로 변질



일제 시대
출세를 위한 대학 입시
대학 들어가기 위한 학원


해방 후

1960년대
중등입시 위해 학원 생겨
치맛바람 시작
사교육 과열
평준화로 정리

1970년대
고등 입시로 과열 이동
평준화로 정리
대학 입시로 과열 이동

90년대에는 세계화 분위기로 영어 공부 과열 시작


#
결국 시험이 문제
시험이 목적에 맞는가?
목적에 맞게 바뀌어가야
즉 수단이 아닌 가치가 먼저인 사회여야

https://podbbang.page.link/P86kCrYgRKkEMtJSA

 

[플러스] 1/17(금) 사교육 시장의 역사 (이종훈 작가) | 이스라엘-하마스 휴전 | 핀란드의 금융 교육

손에 잡히는 경제

podbbang.page.link



다른 나라는?

미국, 영국, 일본
사립학교 시스템

초등학교 입시를 위한 학원 과외
입학 후에는 고액의 학비를 내고 대학 까지 쭉 학교에서 관리

학교 밖 사교육은 대부분 예체능 위주
명문사립이 학업보다 예체능 중시

우리와 다른 점은
사립이 아닌 사람들이 사립에 대해 크게 문제 삼지 않음
그냥 다르다고 생각


# 학교에 자신의 자존감을 대입하지 않는 것
. 나는 나

https://podbbang.page.link/CqhmhDtjvC3BdpGG6

 

[플러스] 1/24(금) 세계의 사교육 시장 (이종훈 작가) | 트럼프-맥킨리 평행이론 | LA산불과 실직ㅣ

손에 잡히는 경제

podbbang.page.link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