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알지 못하는 죽음이 얼마나 많을까?
사람이 아는 것은 세상의 극히 일부일 것이다.
타자의 죽음에 대해 상상하지 않으면 그 원인을 찾을 수 없다는 말이 마음에 온다.
내가 알고 있는 사실로 조합한 죽음은 사실과 동떨어 졌고
동떨어진 생각은 오해와 편견을 만든다.
누군가의 죽음이 나와 연결된 사회와 관계가 있고
그 관계로 인해 결국 나는 그의 죽음으로 혜택을 보고 있다.
나의 삶은 그의 죽음과 무관하지 않고
그의 죽음으로 인해 나의 저렴한 생활이 가능해 진다.
우리는 누군가의 도움으로 좀 더 편하게 살거나
누군가의 욕심으로 좀 더 불편하게 사는 것 같다.
더 편하게 살고자 한다면 조금이라도 나누고 도우며 살아야 한다.
그것이 장기적으로 인류가 발전한 이유이기 때문일 꺼다.
김동준 학생의 죽음과 그 외 일터에서 죽은 많은 학생들의 명복을 빈다.
유족들을 위로하는 방법은 슬픈 이야기를 피하는 것이 아니라 같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다.
내 생각과 사회의 시선으로 하지 말고 아픔이 있는 상대의 생각대로 해주자.
치유는 근원을 드러내는데 있다.
'○ 공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찰 특활비 검증 = ‘검사 윤석열’ 검증. 궁금하다. (0) | 2022.12.21 |
---|---|
이태원 참사 원인은 ‘제도의 부재’? 책임지지 않는 제도는 없는게 낳아 (0) | 2022.12.08 |
윤석열 대통령의 거짓말 (0) | 2022.09.26 |
대우조선해양 파업... 싸움은 계속 (0) | 2022.09.06 |
김건희 여사의 '비밀 일정' (0) | 2022.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