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는 안 좋다.

특히 어린이, 노약자에게 안 좋다. 면역력이 약하니까.

우선은 면역력이 좋아야 한다. 

너무 신경쓰느라 면역력 나빠지면 더 안 좋을 것이다.

 



낙엽수 숲이 초미세먼지의 발생을방지한다


황사처럼 날아올라 초미세먼지(PM2.5)가 되는 현상을 막는 데는 식물이 매우 중요하다.
식물은 땅에 뿌리를 내려 지면을 단단하게 허는 구실만 하지 않는다.
특히 낙엽수는 잎이 지면에 떨어져 쌓이면 수분을 머금는테, 그 영향으로 흙이 촉촉해져 날리지 않는다.
그리고 나무의 잎과 껍질은 초미세먼지(PM2.5)를 붙들어서 떠돌아다니지 않게 한다.

숲에 보존된 물기, 나무의 잎과 껍질 등은 초미세먼지(PM2,5)가 생기고 떠도는 현상을 막아준다.
미국의 한 연구팀은 북서부 지역의 삼림을 조사했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한다.
"낙엽수가 80% 이상인 숲에서는 초미세먼지(PM2,5)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크기가 작은 잎이 큰 잎보다 초미세먼지(PM2.5)를 붙들어두는 효과가 크다." 연구 결과도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큰잎이란 이파리가 크고 두꺼워서 한 잎의 무게가 작은 잎보다 무거운 것
이었다.
작은 잎과 큰 잎을 같은 무게로 여러 개 모아서 각각의 면적 합계를 견주면 작은 잎의 면적이 더 크다.
면적이 크면 그만큼 초미세면지(PM2.5)를 더 붙잡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연구에서는 '중량당 얼마' 라는 식으로 초미세먼지(PM2.5)를 붙드는 양을 비교한 탓에 작은 잎이
유리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기본적으로는 걸넓이가 같으면 붙잡는 양도 같다.

식물은 나이가 적을수록 숨 쉬는 횟수가 많다.
그러므로 초미세먼지(PM2.5)를 빨아들여서 붙잡아두는 능력은 젊은 식물이 높은 식물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잎의 표피에 털 모양의 돌기(털이 나 있는 듯한 잎이 있으면 초미세먼지(PM2.5)를 붙드는 능력이 커진다.
이는 여러 겹의 섬유로 만든 마스크가 초미세면지(PM2,.5)를 걸러내는 데 더 유리한 원리와 같으며, '걸리는 부분'이 많으면 많을수록 초미세먼지(PM2.5)를 더 많이 붙잡을 수 있다.

인구가 층가하면서 농지와 방목지가 확대되고, 그로 인해 세계 어딜가든 마구잡이로 삼림을 벌채하고 토양을 파헤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앞으로는 초미세먼지(PM2.5)의 대책으로씨 삼림의 구실을 인정하고 숲을 보존할 수 있기를 바라본다.

 


https://open.kakao.com/me/bcbook

 

부천독서지향.오픈채팅님의 오픈프로필

부천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책 읽는 모임 입니다.

open.kakao.com

#부천독서모임 #부천독서 #부천독서지향 #춘의역독서모임 #7호선 독서모임 #독서모임 책선정 #독서모임 배움 #비영리_독서모임 #인천독서모임 #책_토론 #부천사람 좋은사람들 #본깨적_책모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