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으면서도 언제, 어디서나 자동차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 서비스들은 자동차의 ‘소유’ 개념을 ‘소비’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IT 기술이 발전될수록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연관 산업에 이르기까지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킬 것이다.
지난 2월 서울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승용차 소유자의 50.1%는 주중 승용차 운행 횟수가 2회 이하로 나타났고, 20.5%는 주중, 주말에도 승용차를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평균적으로 승용차를 소유, 유지하는데 지출하는 비용은 연간 78만원 정도로 추정되며 그 중 24만 8천원은 승용차를 운행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지출하게 되는 소유 비용으로 집계되었다. 즉 자동차를 전혀 사용하지 않더라도 승용차 소유주들은 감가상각, 보험료, 세금 등으로 매년 상당한 금액을 차량 소유의 대가로 지불하고 있는 것이다.
비단 이러한 통계는 국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미래 자동차 산업의 변화를 전망한 “무인 자동차의 혁명”에 따르면 자동차는 하루 중 약 4% 시간 동안만 운행되고 나머지 시간 동안은 주차되어 있을 만큼 낭비되는 시간이 많다고 한다. 즉 자동차를 소유하면서 굉장히 많은 경제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지만 정작 우리의 자동차 활용도는 매우 낮다. 경제적 관점으로 보면 자동차를 소유한다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인 것이다.
반면,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더라도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필요할 때만 사용 가능하게 해주는 온디맨드(On-demand) 서비스는 매우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Zipcar, Socar 그리고 Uber, Lyft와 같은 카쉐어링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로 구현되고 있다. 이들 서비스들은 그 동안 큰 제약 중의 하나였던 시간적, 지리적 측면의 서비스 가용성(Availability)을 빠르게 높여 가며 급성장 하고 있다. Uber와 SoCar의 경우 매출 규모가 각각 매년 306%, 350%(2013~15년 기준)씩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서비스들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사람들이 그 동안 자동차 소유의 대가로 지불해야 했던 높은 경제적 비용을 덜어 주는 동시에 높은 서비스 가용성으로 사람들이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을 경우 감수해야 할 불편 요소를 상당히 줄여준다. 만약 운행하는 자동차를 단순히 많이 확보함으로써 가용성을 높인다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으로서는 많은 자동차를 소유하는데 따른 비용 상승과 차량 가동률 하락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운행하는 자동차를 적게 유지 하면서도 서비스 가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