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샌드위치론 :

가격은 일본보다 싸고, 품질은 중국보다 좋은 대한민국 제품 경쟁력 있다.

■ 이계안 전 국회의원(이), 조동성 서울대 경영대 교수(조) 대담

조 :

경제엔 세가지 라이프 사이클이 있다.

제품, 산업 그리고 무역,투자,기술 등 사업하는 방법이다.

미국은 무역으로 안되니까 자본 투자로 돌아섰고, 그래도 안되니까 기술 쪽으로 눈을 도리고 있는데

갈수록 선진국들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어쩌면 더 이상 선진국도 후진국도 없는 그런 좋은 세상으로 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쫓아가는 나라로서는 공평하다 볼 수 있다.

---

조 :

세상이 평평하다는 말엔 장벽은 사라지고 경쟁은 치열해 졌다는 의미

지구적 차원의 경쟁은 큰 시장을 제공

경쟁력을 강화해갸겠지만 지금은 머리를 쓰면 세계 시장을 품에 안을 절호의 기회

이 :

역 샌드위치 상황은 무엇보다 펴가 절하된 원화 덕

이 기회를 살려 R&D를 통한 생산성 제고, 인적자원 개발 등에 힘써 경제 시스템을 한단계 높여야

---

조 :

미국에 살면서 차를 안사는 이유?

이 :

환경에 대한 걱정, 보행자 권리 확립된 도시 (공기 깨끗, 경관 좋음)

미국은 지금 문제 해결에 대한 통합적 접근, 에너지 문제와 일자리 만들기 등 복합정책으로 간다.

---

이 :

공급자끼리 모여 시장 상황은 나 몰라라 하고 어제 보다 좋아졌다고 말하는 것은 공급자 마인드

익숙함은 창조성을 빼앗가 가게 마련

---

이 :

3개월 짜리 정부채권 금리가 0% 시대 인데...

조:

미래를 위해 자금을 비축하는 시대

신용사회에서 신뢰가 무너진 셈

---

이 :

CEO도 혁신의 효율만이 아니라 조직의 내적 통합으로 평가 받는 시대

조 :

선진국 CEO라면 근로자와의 관계, 정부와의 관계는 상수로 간주하고 스스로 변수가 되고

후진국 CEO는 권위주의적으로 처신하고 문제를 정부 탓으로 돌린다.

---

조 :

지난 세번의 경제위기를 분석해 보면 갈수록 위기 후 받는 충격이 커집니다.

---

이 :

정부가 어차피 돈을 집어넣을 거면 R&D, 대학교육 등에 투자해야

오늘이 없으면 내일도 없지만 내일이 없는 오늘이라면 살아서 뭐 합니까?

조 :

미래에 투자하지 않고 살아남는다면 살아는 가겠지만 혼을 잃는 거죠.

이 :

이나모리 가즈오 교세라 창업주가 "현장에는 신의 음성이 있다"라 했습니다.

현장으로 가세요.

출처 : 이코노미스트 2009.03.03

쓰고 보니 좀 두서가 없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