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광원의 ‘CEO를 위한 생태학 산책’(24) |
위계서열의 명과 암]
조직 혁신이 기술 혁신보다 중요
자연에서 볼 수 있는 서열은 크게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1. 코끼리바다표범은 평소에는 흩어져 살다, 번식철이 되면 무리를 짓는다. 보통 수컷 우두머리 한 마리가 수십 마리, 많게는 거의 100마리에 가까운 암컷 집단을 이끈다.
야생마와 얼룩말의 무리는 지속적이다. 우두머리 수컷의 자리는 새로운 도전자에게 밀려날 때까지 유지된다.
2. 개미와 벌은 힘이 아니라 스스로 왕국을 시작하거나 여왕이 죽을 경우 우연하게 차례가 된 개체가 여왕의 자리에 오르지만, 서열 체계는 비슷하다. 여왕과 개체, 두 단계의 서열이 존재한다.
3. 서열의 다른 형태는 침팬지 무리에서 볼 수 있다. 하나의 우두머리 외에 여러 유력한 구성원, 그러니까 강자들이 포진해 있다. 이들 집단에서는 ‘전략적 동맹’을 통한 권력 획득이 일반적이다.
자연의 동물들이 상대의 몸을 소화시켜 에너지를 취하는 것과 달리, 인간은 상대를 죽인 후 그 몸이 아니라 그의 소유물과 노동력, 그러니까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빼앗았다
이런 과정을 통해 사람과 사람, 부족과 부족을 수직체계화했다. 수평에 가깝던 사회 체계를 수직으로 바꾸었다.
지배-종속에 기반한 시스템의 역기능이 순기능만큼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구성원 각자가 자기 능력을 공동체 전체의 생존력을 키우는 쪽으로 집중할 때 서열에 기반한 시스템은 안정적이고 효과적이다. 전체 파이가 커질수록 구성원들이 가질 수 있는 파이도 덩달아 커지기에 모두들 성장의 과실을 충분하게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체제가 안정되면서 새로운 파이가 줄어들면 구성원들은 내부에 집중, 전체 파이를 키우기보다 자신의 이익과 부 축적을 우선한다. 새로운 성장을 만드는 게 아니라 다른 사람의 것을 빼앗는 제로섬 게임을 시작한다. 소모적 분란과 마찰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다. 더구나 그들의 나라는 그야말로 귀족이자 특권층인 ‘그들만의 나라’여서 외부 침략이 있을 경우 하부구조는 별 힘이 되지 못했다. 그래서 균열이 생기면 급격하게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
최근 들어 이 오랜 시스템에 변화의 조짐이 일고 있다. 구글을 비롯한 세계적인 기업들이 새로운 조직을 부단하게 실험하고 있다. 조직의 토대를 바꾼다는 건 어렵고 힘든 일인데 왜 이들은 쉬운 길 대신 어려운 길을 가고 있을까? 예전과 달리 비선형적이고 복잡계에 가깝게 변해가는 세상을 현재의 조직으로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생명의 제1 법칙은 환경에 맞는 적응력을 가지는 것이니 여기에 맞는 조직을 만들어야 한다는 걸 그들은 알고 있는 것이다.
야생의 침팬지 무리에서는 독재가 많지 않다. 그들이 민주주의자여서 그럴까? 언제 어디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르는 환경이라 모두의 협력이 필수적인데, 독재와 경직된 서열체계는 구성원을 수동적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풍성한 수확을 얻으려면 좋은 품종의 씨앗을 뿌리는 것보다 토질을 개선하는 게 우선이다. 척박한 땅에서는 척박한 결과만 나온다. 기술 혁신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조직 혁신인데 다들 기술에만 눈을 두고 있다.
'○ 공존 >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스카스 가위. 클래식은 영원하다 (0) | 2018.08.07 |
---|---|
한국에 창의적 인재가 부족한 이유 - 획일적 입시 (0) | 2018.08.07 |
허진모.어쩌다 어른 (0) | 2018.08.02 |
스노우폭스 회장 인터뷰 - 공정한 회사 (0) | 2018.06.15 |
무인양품 (0) | 2017.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