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ook.daum.net/detail/book.do?bookid=KOR9788958200345
추천사
조류독감은 동종교배로 인해 다양성이 취약해져 발생한 것
전세계가 우량종만을 교배하여 만들다 보니 진화가 일어나지 않아
면역력이 약해져
하나의 병균에 대규모로 취약한 것
다양성에 의한 진화가 솔류션이다.
p27
자연 중 10~20%만이 인간이 발견한 생물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강조
연결고리의 이해 부족이 우주 개발 보다 발 아래 자연을 더 발견 못하는 이유
생물의 다양성을 크기 기준 표현한 그림
동물이 가장 작고 균이 가장 크다
아래 사진참고
p51
우리 몸에는 인간의 세포 수 보다 우리 몸에 서식하는 다른 생물체들의 수가 10대1 정도 많다
균은 200~300종
소장 1그램 당 100만 마리 미생물
결장 1그램 당 10억 마리 미생물 산다
p69
각 DNA는 책이다
# 저자는 생물 하나가 인간에게는 책 한권의 역할을 한다고 했다. 끝을 알 수 없는 도서관. 그만큼 무궁무진한 세계
p77
야생식물과 병원체의 공진화 경쟁 계속
농작물은 인간에게 의존해 저항성이 저하되고 있다
#그래서 농약, 비료 등으로 키워주지 않으면 스스로 잘~ 성장 못해
p81
실험 '바이오 스피어스' 생태계 이전 실험으로 2년만에 실패
자연은 3억년의 진화를 거쳤지만 이 실험은 고작 7년의 연구
#
우리가 우주에 지구를 옮긴다면 무엇을 옮길까 생각해 보면
이 연결고리를 파악하지 못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른다는 생각에
인간이 얼마나 미약하지 느끼게 한다
P83
자연에서 인류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인류가 자연과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필요한 것이다
생명은 모두 의존적이다
자연의 인터넷 # 먹이사슬, 먹이그물
큰나무 - 진균류 - 작은 나무의 관계에서 진균류는 나무간의 영양분을 교환하는 역할을 한다
# 이럴수가!! 큰나무가 작은 나무를 도와주는데 그 역할을 다른 종이 해준다는!!! 놀라워!
인간 60억 인구는 150년 사이 5배 증가한 것
자연의 인터넷 속도의 20배 이상 증가 속도
이러한 빠른 속도가
기후변화와 동질화 일으켜 -> 멸종 생물이 많아지고 -> 다양성이 줄어 든다 -> 자연 인터넷 파괴
접속점 # 이것에 대한 정의를 안써놨네... 뭘까? 인터넷 상의 중요한 연결고리?
동질화 : 동식물을 다른 지역으로 옮겨 놓는 것으로 천적이 없는 환경이 개채수를 증가 시키고 생태계 파괴
공진화 : 먹고 먹히는 관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서로 진화하는 것
5. 생태계와 세계의 물 공급
P107~110
지구에 물 중 민물은 2.5%
그 중 2/3은 빙하 1.66%
인간이 이용 가능한 물은 1/3 (0.77%)
뉴욕시 물공급 시설을 도시적으로 개발 시 : 개발 60~90억 + 운영 3억/1년)
자연적으로 개발하면 15억 #운영비 0원
# 어느게 더 합리적 이냐
6. 쓰레기
쓰레기가 가는 곳은 어느 다른 생물의 뒤뜰이다
1차 박테리아 + 진균류
한 사람 몸이 박테리아 수는 지구 전체 인구보다 많다
1그람 흙에 박테리아수는 100만~1000만개
#한 숫가락의 박테리아 수가 한국인 수보다 많다
2차 무척추동물
1미리미터 이하 : 윤충류, 선충류 : 아메바 등
2미리미터 이상 : 지렁이, 노래기, 쥐며느리, 진드기
금속을 추출하는 박테리아 개발
도시 공원 쇠똥구리 이용 배변 처리 등
쓰레기 처리 연구 활발
# 이미 모든 광물은 자연에 있었다 단지 우리가 그 것을 스스로 처리 못할 만큼 많이 만들어 버린 것
7. 천적
먹이사살을 이용한 방제는 잘되긴 하지만 안되기도 한다
# 인간은 자연의 모든 연결고리를 모르기 때문
최고이자 최선은 기존 자연 생태계에 의존하는 것
그러나 화학적 수단도 필요에 따라 적절히 써서 다양성을 유지해야 한다
천적이 없으면 살아갈 수 없다
천적이 없으면 - 해충이 늘고 - 초식인 작은 동물의 식량이 줄고 - 기아와 전쟁 등 사회혼란 - 멸망
8. 자연선택
진화를 위해 항생 물질 만든다
시행착오를 거친 최적의 상태인 생물을 찾아 관찰하여 신약 등을 개발한다
기존 발명의 성공률에 비해 매우 높다
# 인간은 동식물의 항생물질을 음식으로 섭취하여 건강을 유지
9. 광부들의 카나리아
카나리아의 침묵은 위험을 뜻했다
과거, 생활에 생물을 적극 활용한 예시
환경감시 가능
: 홍합, 애벌래를 채집 분석하여 지도를 작성하면 오염 배출원 파악 가능
: 지렁이, 쥐며느리, 지의류, 꿀벌, 진균류 등을 이용 물, 땅, 하늘 모두 감시 가능
생물학적 모니터링으로 환경 파악
. 자연의 거의 모든 것과 연결되어 있는 다양성이 높은 개미, 나비, 새 등을 이용해 광범위한 모니터 가능
10.화학공학자들
식물의 독성은 방어를 위해 만든 화학물질
몸에 크기가 작으면 독성이 강하게 작용 : 인간은 괜찮은데 곤충은 죽음에 이름
냄새를 이용해 먹이를 찾기도 하고 (곤충의 나뭇 잎 찾기)
냄새를 이용해 피하기도 한다 (나무에 매달린 말벌집 꼭지의 냄새는 개미가 싫어한다)
개미는 공격 무기로 쓰기도 하고
홍합과 거미는 접착제를 만들어 쓴다
동결방지 물질로 추위에 견디고
이러한 생물들의 특징으로 접착제 제거 등 다양한 상품 개발
야생세계에서 얻은 영감
인간과 다른 지구상의 생물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살아온 시간이 인간은 매우 짧다는 것이다.
인간은 생물들에게 아직 배울 것이 많다.
생물들은 오랜 시간에 걸친 효과성과 안정성이 검증되었다.
생체재료
. 연체동물의 입에서 이빨은 분쇄기로
. 거미의 견사는 옷 등의 섬유로
. 안정적인 6개의 다리는 로봇으로
. 불을 찾는 비단 벌레는 화재 감지기로
. 흰개미의 집은 공기조절장치로
. 나뭇잎 + 태양에너지 -> 석유, 석탄 : 이 원리를 이용 광합성을 모방하여 에너지 개발
. 모기-말라리아 예방능력은 치료제로
. 거머리의 형액응고 방지 능력은 뇌졸증과 심장마비의 치료로
생태계 서비스는 인간이 자연에게 받은 대출이다
#그래서 갑지 못할 경우 자본이 줄어가면 망한다
보존하려면 상상력과 행동이 필요
# 생명의 능력을 이해하고 그에 따라 행동해야
생물다양성 감소로 멸종위기를 초래하는 이유 3가지
. 인구과잉
. 과잉개발
. 과소비
연구를 통해 사회에 필요한 역할에 알맞은 동식물 모방할 필요 있다
'★ 숲 자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뜨거운 지구에서 살아남는 유쾌한 생활습관 77.데이비드 드 로스차일드.2007 (0) | 2018.08.07 |
---|---|
30년 후 10명 중 7명은 도시인 (0) | 2018.07.31 |
책.예술가와 함께 하는 자연미술 여행 (0) | 2017.12.13 |
책.자연미술 자연과 함께 만드는 랜드아트.2012 (0) | 2017.12.13 |
책.당신이 숲으로 와준다면.김용규.2016 (0) | 2017.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