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 세 가지 계열의 직업을 묶어서 CMH라고 부른다. CMH는 모두 타인과의 감각의 통유성이 필요한 일이다.
그런데 창조성 계열이나 고객 감동 계열은 그렇다 쳐도 왜 경영 관리 계열에 감각의 통유성이 필요할까? 공장에서든 점포에서든 전례가 없는 예측 못한 사태가 발생했을 때 일반적인 인간의 감각이 있어야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2장에서 이야기했듯이 AI는 미리 규칙을 정해 주지 않으면 레스토랑에 쥐가 들어왔을 때 그것을 때려잡아야 할지 어떻게 해야 할지 판단하지 못한다. 그러나 인간은 자신의 뇌에 물어보고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153쪽)
 
 
(예병일의 경제노트)
"내 일자리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아이가 어떤 직업을 갖도록 조언해줘야 하나?"
 
인공지능이 점점 더 주목을 받으면서 기계가 고용의 미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단순 반복작업의 경우는 물론이고 '전문직'으로 분류되는 직업들도 미래가 불투명하다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지요. 내 일자리의 미래, 나아가 자녀의 직업 선택에 대해 고민할 때 이 인공지능을 빼놓고는 생각할 수 없는 시대가 온 겁니다.
 
이와 관련해 일본의 경제학 박사인 이노우에 도모히로가 'CMH'이라는 세 가지 분야의 직업은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더군요. CMH는 아래 세 단어의 머릿글자를 딴 것입니다.
 
1)창조성 계열(Creativity)
2)경영 관리 계열(Management)
3)고객 감동 계열(Hospitality)
 
이 중 '창조성 계열'에 대해 저자는 소설 쓰기, 영화 찍기, 발명하기, 새로운 상품 기획하기, 연구하고 논문 쓰기 등을 사례로 들었습니다. 
'경영 관리 계열'은 공장,점포,프로제트의 관리, 회사 경영을, 
'고객 감동 계열'은 돌보미, 간호사, 보육사, 지도사 등의 일로 설명하더군요.
 
이 이노우에의 CMH 개념은 칼 프레이와 마이클 오스본이 '고용의 미래'에서 인간에게 남는 업무 스킬로 '창조성'(Creativity)과 '사회적 지성'(Social Intelligent)을 꼽은 것을 참고해 발전시킨 것입니다. 사회적 지성을 경영 관리와 고객 감동으로 나눈 셈이지요.
 
내 직업의 미래나 자녀의 직업 선택에 대해 고민할 때, 이노우에의 'CMH'와 칼 프레이의 '창조성(Creativity)/사회적 지성(Social Intelligent)'이라는 개념을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창조성은 새로운 사고, 융합 등의 자기만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경영과 고객은 상대에 대한 공감 능력이 중요해 보입니다.

둘의 공통점으로 소통 능력을 꼽고 싶네요

표현, 공감, 소통의 능력이 중요해 질 것으로 보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