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적 생활교육

 

 

현 사회는 아이가 안전하게 돌아갈 사회시스템이 없다

 

현재는 가정만이 유일한 안정시스템

학교에서 낙인 찍어 문제아가 된다.

 

 

[목적]

단기 : 바른 행동에 대해 설명해 문제행동을 그만두도록 하는 것

장기 : 아이가 자신의 행동과 그 결과를 알고 책임지며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선도하여 건강한 공동체 구성원이 되게 하는 것

 

아이와의 상호작용 중요

상호작용 시 나의 맥락이 아닌 아이의 맥락으로 돌려줘야

 

아이는 동기가 중요하다. ‘결과는 모른다.

 

아이들은 크고 작은 잘못을 저지르며 옳고 그름의 차이를 배워가는 과정이다.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은 성숙한 단계에 이르러 깨닫게 된다.

그래서 나이에 맞게 올바름을 알려줘야 한다.

 

아이마다 내적 성장 속도가 다르다

아이마다 독특성을 가지고 성장한다

생활교육은 각 아이의 필요를 채우는 형태다

 

대안교육이 개인욕구를 추구하다 보니 관계형성에 어려움이 생겨 폭력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처벌은 응보적 개념으로 통제하기 위해 사용

생각하는 의자, 칭찬스티커, 경쟁구도 모두 통제를 목적으로 한다면 처벌!!

처벌로 인해 무리에 들어가기 위해 스스로 통제한다.

 

그럼 처벌없이 어떻게

의무와 요구, 지원과 격려

보상보다는 조건 없이 줘라~

 

처벌 연쇄효과

처벌

-> 분노 원망     : 행동보다 처벌에 집중한다

-> 비난          : 처벌권자 비난

-> 화풀이        : 친구 등 타인 공격

-> 소극적 저항   : 다른 일에서 반항

 

 

아이들의 학업성취도

아이들이 가장 잘하는 과목의 기준은?

그 과목 선생님이 나를 좋아하는가?”

생활교육의 핵심은 관계

 

 

차이관계로 해결한다

관계가 형성되면 문제해결이 수월하다

# 관계가 동기를 만들고 행동하게 한다

 

관계성을 쌓아야 하는 이유는 인간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것이 옳은 일이기 때문이다.

 

 

관계성의 계좌

생활지도는 예금계좌와 같다.

공동체에서 형성된 존중과 상호책임, 우정 등을 기초로 입출된다.

 

 

예시

부모 : 소리 지른다

자녀 : 놀란다

부모 : (원하는 답변 없음) 분노 한다.

자녀 : 떨린다 -> 얼어 붙는다 -> 감정을 삭제하며 회피 -> 감정 표현 불가 -> 행동 표출

 

자아존중감이 감정조절에 영향을 미친다

 

처벌이 되고 남는 것은? 감정 + 필요(욕구) -> 트라우마

 

모든 아이들은 가장 사랑스러워 보이지 않는 순간이

바로 가장 사랑이 필요한 순간이다.”

문제 발생 시 그 아이는

문제가 아니라 사람이라는 것을 꼭 기억해야 한다.

 

 



수치심, 모멸감

: 나에게 문제가 있어서 소속감을 누릴 가치가 없다고 생각할 때 극심한 고통을 뜻한다

: 존재의 부정 시 발생

: 최악의 감정

 

수치심에 따른 행동

- 침묵     : 고립

- 자기공격 : 자학

- 타인공격 : 폭력

- 회피하기 : 중독 등

 

장소에 따라 책임을 지고 아이들 대해야

부모

학교 선생님

 

비난의 악순환

비난 받으면 마음의 상처

상처가 수치심으로

수치심을 털어내기 위해 남을 비난

 

안전한 공동체와의 관계가 있다면 수치심도 긍정적 교육 기능 가능

, 재기회가 있는 것이 안전한 공동체

공동체에서 적절하게 수용되고 재통합되어야 한다

) 오줌싸개와 키

 

 

생활교육의 페러다임

2*2 : 의무와 요구 * 지원과 격려

 

회복적 생활교육은

높은 의무와 요구

높은 지원과 격려 필요

 

 

전인교육보다 통제하거나 손쉽게 처리하는 방법은 창의력 상실

 

생활교육

- 갈등 상황은 가르침을 전할 순간이라고 생각해야

- 창의적 가능성 제시

- 교육의 유연성

- 규칙보다는 본래의 의미 생각

- 공동체의 평화적 압력 문화

- 더불어 살고 함께 일하는 문화

 

 

생활교육의 3요소

- 훈육적 개념

- 연습, 훈련

- 사회적 행동과 역할 (실천)

 

 

프로그램

※ 피해의 심각성, 문제의 복잡성, 참가자 수(좌측으로는 개인 우측으로는 다수/단체) 고려

 

질문 상담 신뢰서클 문제해결서클 피해자 가해자 대화모임 학교 공동체 회복 위원회 마을 공동체 회복 위원회

 

 

기본 4가지 회복적 질문

중립적 접근을 하되 기계적 접근은 안됨

순차적 시행

 

1.   무슨 일이 있었는가?

2.   사건으로 누가 영향을 받았는가?

3.   영향을 받은 사람들에게 채워져야 할 필요는 무엇인가?

4.   참석한 모든 사람이 각자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응용) 회복적 성찰문

 

변화에서 전환으로 : 갈등 해결에서 갈등 전환으로

 

 “다른 많은 사람들처럼 나도 내 경력을 시작하면서 가졌던 마음은 세상에 어떤 것도 내가 직접 볼 때까지 믿지 않을 것이다였다. 하지만 내가 더 많은 경험과 경력을 쌓으면서 깨닫게 된 것은 완전히 반대대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내가 믿지 않는 한 변화는 볼 수 없다. 이것이 진정한 삶의 순리였다!” – Dewitt Jones, National Geographic









'★ 교육 > 회복적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서가 나를 성장 시킨다  (0) 2017.11.02
회복적 질문 만들기  (0) 2015.09.07
회복적 정의의 실천  (0) 2015.07.16
회복적 정의란?  (0) 2015.07.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