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은 제가 매일경제의 경제월간지 럭스멘 1월호에 기고한 컬럼입니다.)
2012년의 계획을 수립하고 다듬을 시기이다. 우리 사회와 경제의 트렌드에 대해 안테나를 세우는 일이야 항상 해야하는 중요한 숙제이지만, 연말 연초에는 특히 그 중요성이 크다. 한 해의 ‘씨앗’을 뿌리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가 해외무역관의 직원들을 통해 2012년의 트렌드를 14가지로 정리했다. 이미 널리 알려진 항목들도 보이기는 하지만 세계각국의 생생한 현지 케이스들이 눈길을 끈다. 코트라가 정리한 14가지 트렌드는 제로(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시티 팜(도시 농장), 뉴 프로페셔널(아주 작고 사소한 틈새 전문가), 퀴어 비즈니스(다양성을 인정할 때 열리는 황금시장), 스피드(빨리 빨리를 외치는 사람들), 럭셔리 푸어(가난해도 당당하게, 갖고 싶은 건 산다), 양극화(부자와 빈자의 극명해진 구매성향), 세컨드 홈(이민자가 만드는 놀라운 시장), 고물가(값비싼 세상에서 살아남는 법), 착한 거래(단순기부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중년(자기만족을 추구하는 아름다운 나이), 한류2.0(더 넓은 영역으로의 진화), SNS(소통방식과 접근방식의 대혁명), 재난(위기를 기회로 바꾸다)이다.
먼저 시티 팜. “이제 일본에서 작물을 가꾸는 것이 하나의 레저 혹은 취미생활로 자리 잡은 느낌이다. '원산지는 우리 집'인 야채가 하나의 붐이 된 것이다. 이렇게 가정이나 주말농장에서 직접 채소 등을 기르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관련 시장도 크게 성장했다.” (58쪽)
‘도시 농장’ 트렌드는 일본, 미국, 독일 등 세계 각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현상이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먹을거리의 안전이 중요해진데다 경제적으로도 절약이 되고, 자연체험도 할 수 있다는 것이 이런 트렌드를 만든 사회경제적 배경이다. 판매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자급자족용이니 외형 유지를 위한 화학비료를 쓸 필요도 없고 장거리 이동이 필요 없으니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된다.
이 트렌드는 한걸음 더 나아가 기업형 시티 팜으로 성장하고 있다. 태양빛이 아닌 LED(발광다이오드) 빛과 적외선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도시농장이 시도되고 있는 것이다. 물 사용량이 기존 재배방식에 비해 90퍼센트나 절감되는데다 수직재배로 공간효율성이 극대화된다. 앞으로는 주거공간, 슈퍼마켓 지하, 쇼핑센터 등 도심 한가운데에 이런 도시농장이 설치되어, 원산지가 농촌이 아닌 도시의 어느 건물이라고 표시된 채소를 사는 날이 올 것으로 보인다.
‘럭셔리 푸어’도 있다. 명품으로 치장해 겉으로는 화려해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만큼 부자가 아닌 사람들. ‘철없는’ 사람이라는 말을 듣기도 하지만, 스스로는 ‘당당하게’ 산다는 자부심을 갖고 지내는 사람들. 이런 럭셔리 푸어는 중국, 일본, 캐나다 등 여러 나라에서 하나의 트렌드로까지 자리를 잡았다. 명품 구입을 위해서라면 생활고를 겪는 것은 감수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신인류’인 셈이다. 명품 제품들이 고가임에도 계속 잘 팔리는 요인 중 하나이다.
‘중년’도 중요한 키워드이다. 과거 근검절약을 미덕으로 여기던 중년층이 외모와 여가, 건강, 취미에 많은 관심을 보이며 적극적인 소비에 나서고 있는 것. 일본의 꽃중년을 뜻하는 ‘비보오’가 대표적인 사례다. 구매력을 갖고 있으면서 자기 자신을 위해 아낌없이 투자하는 중년을 대상으로 한 시장이 계속 커지고 있다.
‘퀴어 비즈니스’도 눈에 띈다. 네덜란드, 아르헨티나, 호주, 캐나다 등에서는 ‘제3의 성’인 동성애라는 소재를 마케팅에 접목하는 사례가 꽤 많은가보다. 핑크머니(Pink Money)는 남성 동성애자들의 소비로 창출되는 시장을, 블루머니(Blue Money)는 여성 동성애자들의 소비로 창출되는 시장을 말한다. 이런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인데, 우리나라에서도 통할지는 아직은 의문이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