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호
식량 자급율 25% 목표
. 현재 땅 100% 활용 중 추가 생산을 위해서 토지 필요
. 토지 개발하면 비용 많이 들어
토지 개발 보다 부족한 부분은 수입하면 식량 안보는 괜찮은 편임
앞으로 우리나라는
일부 생산 (우리 나라에서 우리가 쓰거나 파는)
일부 유통 (다른 나라에서 사와 다시 파는)
복합 구조가 되면 좋음
다양한 생산품으로 삶의 질 향상
협동조합형태로 발전 중
유럽 몇백년 전통
우리는 60년 정도 밖에
빠르게 발전 중
# 아직 초기 단계가 문제가 있겠지만
협동조합 발전 시 참여 하면 부농 될 수도 있겠다
https://podbbang.page.link/6tBnZa8n6w3TqSJ97
[플러스] 12/3(화) 우리나라의 식량 안보 지수가 후퇴하고 있습니다 (이주량 박사)
손에 잡히는 경제
podbbang.page.link
'○ 공존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루즈 산업 발달 중 (0) | 2025.02.13 |
---|---|
이광수. 한국 부동산 안전화 방법 (0) | 2025.02.12 |
오건영. 트럼프 시대 투자 어려워 (1) | 2025.02.04 |
권용주. 자동차 기름, 최초는 식물성 이었다 (0) | 2025.01.24 |
박종훈. 금 언제 살까? (0) | 2025.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