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한국생활사박물관 3 고구려
[산성의 나라]
고구려 = 높을 고 + 마을 구루
170개 산악지대
산성의 구조
. 산성 + 평지성 = 이중 구조
. 이중구조 + 나(성 밖 마을) => 지자체
. 도시와 농촌 구별 시작
. 환도산성 + 국내성, 대성산성 + 안학궁
부경 : 개인 다락 창고 # 사적 부의 축적 예상
대장간 : 철기의 대중화 의미 (야철신)
. 그리스 헤파이스토스 (대장앙이 신)과 유사
. 복장과 모습으로 보아 우대 직업 예상
수레 이용 : 도로를 사용했다는 의미
쇠바퀴는 고급차
. 수레 바퀴신 (제륜신)
. 당시 당나라가 1080대의 수레를 징발했다는 기록 # 중요한 물건
. 조선시대에도 수레가 없었다 한다 #???
[고조선]
동명성왕 - 주몽
. '동명'은 부여 시조로 고구려가 부여의 후손임을 알리는 역할
입식 생활 : 의자, 평상, 쪽구들
# 지역적 요소로 추운 지방이라 냉기를 막기 위해 입식
물이 안 새는 토기(경질 토기)
. 유약을 안 바르고 600도에서 구운 토기
. 발효 음식을 만들 수 있게 됨 -> 간장 개발 (적은 소금으로 더 짜게 더 많이 만듬) 중국이 부러워함
맥적 : 간장으로 저린 고기 음식으로 구워서 먹음. 손님 접대용으로 사용
식탁 이용 : 당시 중국은 도마에서 음식 먹었음
서옥제 (데릴사위제)
. 서옥에서 결혼 생활 시작해
. 아이가 크면 신랑 집으로
. 노동력의 형평성으로 시행한 듯
경당
. 고조선 화랑
. 문무 모두 중시
효도 : 절대 복종
전쟁
전쟁 초기에는 지배층과 부유한 백성만 참여하고 전리품도 그들만 챙겼음
4세기 후반 대규모로 바뀜
[벽화 + 별자리 + 사신도]
벽화 - 각저총 (5세기)
방향 |
표현 |
그림 |
의미 |
동 |
해 |
세발 까마귀 |
|
서 |
달 |
두꺼비 옥토끼, 계수나무 |
복 불사 신화 관련 |
남 |
|
|
현세/무병/장수 |
북 |
|
|
내세/불사 |
별자리
동 : 심수(전갈자리) + 방수 => 심방육성 (동쌍삼성)
서 : 벌성(오리온자리) + 삼수 => 삼벌육성 (서쌍삼성)
남 : 남두육성 (궁수자리)
북 : 북두칠성 (큰곰자리)
사신도
. 수호 + 액운 막아
. 천장에 그려져 있다 6세기 부터 벽면으로, 풍수로 인해 지상으로 내려 온 듯
동 : 청룡 : 봄, 생산(먹고 사는 것)
서 : 주작 : 여름, 날으는 기운
남 : 백호 : 가을, 죽이는 것 (사냥)
북 : 현무 : 겨울, 주인공 부부
.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대에도 방위 개념 없었음
# 풍수의 시작?
악단 구성
신과 인물의 가까움 (불, 농사, 바퀴, 대패질 신)
-> 농사 수공인 우대 시대
-> 실리 문화 예상
[벽화]
벽화를 가진 민족은 미술의 '족보'를 가진 민족
고구려 벽화는 우리 민족의 독자성과 우수성의 증거
# 과거로 돌아가 시대상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벽화의 변화
- 고인의 생활관 + 하늘세계 표현
-> 연꽃 장식이 추가
-> 사신도 위주 : 주술적, 예술적
고인 만을 위한 예술작품 #내세에 대한 믿음 반증
무덤은 살아서 준비하고
죽으면 슬퍼하고
장례 시 축제를 벌여 고인을 보낸다
세계 벽화
고분
이집트 (기원전 27 ~ 11세기)
. 신(왕)이 원래 있던 사후세계로 돌아가 계속 살아가도록 하기 위해
. 아름다움이 아니라 완전하게 그리려 노력
. 완전은 빠짐없이 표현 (얼굴은 측면, 몸은 정면, 다리는 측면으로 엇갈려)
고구려 (기원후 4~7세기)
. 죽은자의 집이자 하늘세계로 가는 통로
. 완전하게 묘사
사원
둔황의 석굴사원 (기원전 4~11세기)
. 실크로드의 여행자와 상인의 길목
. 불교는 문화 교류의 촉매제 역할
도시
폼페이 (기원전 3~1세기)
. 현실 세계의 풍요와 여유 묘사
# 같은 시기 다른 장소에 비해 매~우 세밀, 지금의 서양화 같음
# 여유있는 사회가 예술을 발달시키나?
'◎ 여가 >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6 - 조선 (0) | 2017.01.18 |
---|---|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5 - 고려 (0) | 2016.10.01 |
한국생활사박물관 1(선사생활관) 2(고조선 생활관) (0) | 2016.08.28 |
용선생의 시끌벌적 한국사 4 - 고려 (0) | 2016.07.13 |
용선생의 시끌벌적 한국사 3 - 통일신라, 발해 (0) |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