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47년
생산인구 90% 유지 가능
. 여성 참여 상승
. 노인 정년 연장
기술 발달하면 100% 넘길 수도
<경제적 관점>
문제는 청년 부족
청년은 기술 변화에 대처 가능
인구 적기 때문에 활용이 중요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게 구조 노력
기업도 국가도 유연한 사고 필요
교육은? # 더 유동적이야, 적성 고려, 다양성
노인은
선진국은 고학력 생산성 높은 일
우리는 저학력 생계형 다수
정년 연장은
비추천
생산성 낮아져 임금피크제 적용 급여 깍아
능력자는 나간다
결론은 생산성 저하
왜 나이만 보는가?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
개인은 능력에 대한 정보를 축적하고
이를 기업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문화
근무환경도
원데이, 오직 우리 일만해가 아닌
원격, 파트 등 다변화 필요
<지역적 관점>
각 지역마다 다 다르게 인구 문제 접근해야
해결방법은
사람을 중시하는 사회로
인구가 적으니 있는 사람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향
# 기업, 국가 우선이 아닌 개인에 적성에 맞는 곳에서 일하게 유연한 구조 마련
https://podbbang.page.link/SexGnPjt9KdCACz76
[경제콘서트] 인구 붕괴의 시대, 우리 노동의 미래는? (이철희 교수)
손에 잡히는 경제
podbbang.page.link
'○ 공존 > 트랜드-IDE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종훈. 키즈카페 역사 (0) | 2025.03.27 |
---|---|
박정호. 인터넷도 지역화로. (0) | 2025.03.21 |
양자 컴퓨터 개발 해야해? (0) | 2025.03.10 |
미래뉴스. 2055년 사회는 고령화 심각 (0) | 2025.03.02 |
미래뉴스. 기대수명 획기적으로 늘고 있어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