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ns
온라인에서 소통하는 모든 것
사회에 긍정이냐 부정이냐?
질적 연구 결과
긍정적이다
왜?
소통하며 조정된다.
부정적인 내용 많던데..
미국연구 결과
부정적인 내용은 일부만 소비생산 중
아주 극소수가 생산하고
나머지가 전체 소비의 80%를 소비하는데
대부분 보수화된 노인층이더라
편향을 강화할까?
실험결과
스스로 선택해 편향 강화
추천 1순위로 가니까 중도로 가더라
# sns 업체에서 보정 중
가짜 뉴스 피해가 큰데 어떻게 예방?
생산은 쉽고
파악은 어렵고
방법 두 가지
공유 클릭 시 가짜 가능성 생각 팝업 띄우기
콘텐츠에 진짜 가짜 투표 기능으로 사전 검토
집단지성으로 해결
당부하고 싶은 것
혐오 콘텐츠는 그냥 피하시라.
소비가 안되면 사라진다.
스트레스가 정치 혐오로 이어져 정치를 멀리하게 한다
정치를 멀리하는 것이 가짜 뉴스가 원하는 것이다
https://podbbang.page.link/NApjLi4qDizdjwAA8
[플러스] 1/2(목) SNS가 민주주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박재혁 교수)
손에 잡히는 경제
podbbang.page.link
'○ 공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꽁이 서식지 돌아 보기. (0) | 2025.04.13 |
---|---|
쇼핑. 지구를 생각 한다 (0) | 2025.03.03 |
최재천. 친구랑 지난 이야기 하면 즐거운 이유 (0) | 2025.02.26 |
하상응. 대한민국 정치 실패 하는 이유 (0) | 2025.02.18 |
이철희. 인구 변화에 따른 대비 (0) | 2025.01.01 |